老子 - 道德經 : 第十七章 (노자 - 도덕경 : 제17장)
太上, 下知有之 其次, 親而譽之 其次, 畏之 其次, 侮之
信不足焉 有不信焉 悠兮, 其貴言 功成事遂
百姓皆謂我自然.
태상, 하지유지 기차, 친이예지 기차, 외지 기차, 모지
신부족언 유불신언 유혜, 기귀언 공성사수 백성개위아자연.
--------------------------------------------------------------
바람은 멈추는 순간 사라진다 - 유재용 저
열 일곱째 장
직역
가장 좋은 것은 밑에 있는 사람들이 다스리는 자가 있다는 것만 알뿐이다. 그 다음은 백성들과 친해지고 사랑하는 것이다. 그 다음은 백성들을 두려워하게 하는 것이다. 그 다음은 백성들에게 모멸감을 주는 것이다. 믿음이 부족하면 불신이 있기 마련이다. 그윽 하도다, 다스리는 자는 그 말을 귀히 여긴다. 일이 이루어져 공이 있으면 물러난다. 백가지 성의 사람들이 모두 일컬어 나 스스로 그러할 뿐이라고 한다.
해석
필요한가. 필요하다면 일장부터 다시 읽기를 바란다.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어도, 도움을 받는 사람은 그 덕을 알지 못한다. 새냇물에 쓰레기가 하나 떠간다. 그것을 줏어서 쓰레기통에 버렸다. 아무도 보는 이 없고, 그 자신도 덕을 행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은 물을 깨끗하게 한 행위이다. 밑에서 그 물을 마시는 사람은 산의 물은 원래 깨끗하다고 생각한다. 그는 누가 위에서 쓰레기를 치웠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것이 가장 좋은 다스림이다.
---------------------------------------------------------------
가장 오래된 글 가장 새로운 글 노자 - 김석환 저
17.
최상의 군주는 아래의 백성들이 단지 임금이 있다는 것만을 알뿐이다. 그 다음 수준의 군주는 백성들이 친근함으로 그를 칭송한다. 그 다음 수준의 군주는 백성들이 그를 업신여긴다. 군주에게 믿음성이 없으면 백성들이 그를 믿고 따르지 않게 마련이다. 말은 함부로 해서는 안되며 조심하고 삼가하여야 한다. 가장 훌륭한 군주는 작위 없는 다스림으로 공을 이루며 일을 성사시켜도 백성들이 그 공을 모르고 내 스스로 그렇게 한 것이라고 말한다.
주
태상 : 가장 훌륭한 것을 뜻함, 이장에서는 최상의 임금을 의미함.
하 : 아랫사람들, 하민, 백성.
하지유지 : 백성들이 임금이 있다는 사실만을 안다는 의미.
친예 : 친밀하고 자랑스럽게 여긴다.
외 : 두려워하다, 무서워하다.
모 : 업신여기다, 멸시하다.
귀언 : 말을 소중하게 여겨 삼가고 조심한다는 뜻.
해
이 장에서는 노자는 도가의 무위자연 설의 다스림을 유가의 덕치주의, 법가의 법치주의와 비교하여 기술하고 있다. 가장 훌륭한 군주는 도에 순응하여 인위적인 행위를 삼가므로 백성들이 그의 존재만을 알뿐 감사할 줄 모른다.
마치 공기 속에 사는 생물들이 공기의 고마움을 망각하고 있는 것과 같다(도가의 무위자연의 정치). 그 다음의 군주는 무위로써 다스릴 재능이 없으므로 인의의 방도로써 힘써 백성들에게 덕정을 베푼다. 따라서 백성들이 그를 믿고 따르게 된다(유가의 덕치주의 단계). 그 다음 수준의 군주는 법과 형벌로써 세상을 다스린다.권위와 위신으로 통치하는 경우이다. 백성들이 전전긍긍하며 그를 두려워한다(법가의 법치주의 단계).
최하의 군주는 법과 형벌의 공정한 집행으로 공권력의 위신을 유지할 만한 능력도 없는 인물이다. 그는 그때 그때의 임시방편적 속임수와 거짓말로 현실을 오도해 나간다. 백성들이 그를 믿지 못하고 업신여기는 것은 당연하다. 군주는 말을 함부로 하지 말고 자신이 한 말에 대해서는 신의와 책임을 질 수 있어야 한다.
최상의 군주는 말없이 무위로써 공을 이루고 일을 성취한다. 백성들은 그의 공덕으로 태평성대를 누리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그들은 내가 잘한 덕분에 일이 저절로 이렇게 잘 되었다고 만 생각한다. 이 장에서 독자들은 그 옛날 요임금 시절의 격양가 소리를 듣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