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짜장면’은 ‘자장면’으로만 적어야 했다.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외래어표기법 제1장 제4항)라는 규정을 따랐기 때문이다.
흔히 /께임, 뻐쓰, 쎈터, 쨈/으로 발음하지만 ‘게임, 버스, 센터, 잼’으로 적는다. /짜장면/을 ‘자장면’으로 적는 것이 특별한 일은 아니었던 것이다. 보통의 외국어는 ‘울림소리-안울림소리’의 대립을 이루는데, 한국어는 ‘예사소리-거센소리-된소리’의 대립을 이룬다. 이런 불일치 때문에 울림소리를 예사소리 또는 된소리로 발음한다든지(boat-/보트/~/뽀트/), 안울림소리를 거센소리 또는 된소리로 발음한다든지(Paris-/파리/~/빠리/) 하는 혼란이 생기는 것이다. 이런 혼란을 줄이려고 외래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 울림소리는 예사소리로, 안울림소리는 거센소리에 대응시키고 된소리는 쓰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운 것이다. 이에 따라 ‘뻐쓰’와 마찬가지로 ‘짜장면’도 틀린 표기가 되었던 것이다.
‘짜장면’은 2011년에 열린 국어심의회에서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으로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외래어 표기법 제1장 제5항)라는 규정을 이 말에 적용하기로 하면서 바른 표기가 되었다. 관용 표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껌(gum)’, ‘카메라(camera)’ 등이 있는데, 이렇게 범위와 용례를 따로 정하는 까닭은 관용 표기가 많아지면 표기법 전체의 안정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2004년에 제정된 타이어와 베트남어에 대한 한글 표기 세칙에서는 예외적으로 된소리 표기를 인정한다. 이에 따라 ‘Phuket’은 ‘푸켓’이 아닌 ‘푸껫’으로, ‘Ho Chi Minh’은 ‘호치민’이 아닌 ‘호찌민’으로 적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