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자 표기법에서 자음을 표기할 때 주의할 점을 살펴보자. 자음 중에서 ‘ㄱ ㄷ ㅂ’은 모음 앞에 나올 때는 각각 ‘g d b’로 적는다. Gimpo(김포) Daegu(대구) Hobeop(호법). 자음 앞이나 단어 끝에 나올 때는 ‘k t p’로 적는다. Okcheon(옥천) Wolgot(월곶[월곧]) Hapdeok(합덕). ‘k t p’는 ‘ㅋ ㅌ ㅍ’를 적을 때도 쓴다. kong(콩) Taereung(태릉) Pyeongchang(평창). ‘k t p’는 쓰이는 자리에 따라 다르게 읽힌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모음 앞에서는 ‘ㅋ ㅌ ㅍ’로 읽고, 자음 앞이나 단어 끝에서는 ‘ㄱ ㄷ ㅂ’로 읽으면 된다. 된소리는 같은 글자를 두 번 적는다. beotkkot(벚꽃) hotteok(호떡) Ssangrim-myeon(쌍림면).
'ㄹ’은 모음 앞에서는 ‘Guri(구리)’와 같이 ‘r’로 적고, 자음 앞이나 단어 끝에서는 ‘Chilgok(칠곡)’이나 ‘Imsil(임실)’과 같이 ‘l’로 적는다. 단 ‘ㄹ’이 연이어 나오는 경우에는 ‘Ulleung(울릉)’과 같이 ‘ll’로 적어야 한다. 두 번째 ‘ㄹ’이 모음 앞에 나온다고 해서 ‘*Ulreung’과 같이 적으면 안 된다는 뜻이다. 그럼 ‘설악’과 ‘대관령’은 각각 어떻게 적어야 할까? ‘설악’을 ‘Seolak’으로 적는 것은 한글 표기에 이끌려 잘못 적은 것이다. [서락], 즉 ‘ㄹ’이 모음 앞에서 실현되므로 ‘Seorak’으로 적어야 한다. ‘대관령’을 ‘Daegwanryeong’으로 적는 것도 한글 표기에 이끌린 오류이다. [대괄령], 즉 ‘ㄹ’이 연이어 실현되므로 ‘Daegwallyeong’으로 적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