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접한 두 소리 가운데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 그와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는 경우가 있다. ‘밥물’이 [밤물]로, ‘신라’가 [실라]로, ‘종로’가 [종노]로 발음되는 것이 그 예이다. ‘입천장소리되기(구개음화)’도 이런 축에 끼는 음운현상이다.
맏이 → [마지] 굳이 → [구지] 갇히다 → [가치다] 밭이 → [바치].
이 예들에서, 첫 음절의 받침으로 쓰인 ‘ㄷ’과 ‘ㅌ’은 잇몸소리(혀끝이 윗잇몸에 닿았다가 떨어지면서 나는 소리)인데 이것이 입천장소리(혓바닥이 입천장에 닿았다가 떨어지면서 나는 소리)인 ‘ㅈ’이나 ‘ㅊ’으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현상을 ‘입천장소리되기(구개음화)’라고 한다. 물론 ‘ㄷ ㅌ’이 아무 때나 ‘ㅈ ㅊ’으로 바뀌지는 않는다. ‘ㄷ ㅌ’ 뒤에 ‘-이’ 또는 ‘-히’가 나올 때만 바뀔 수 있다. 모음 [ㅣ]가 입천장소리와 성질이 비슷하기 때문에 이를 닮아서 입천장소리로 바뀌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개 이런 규칙을 잘 지켜서 발음한다. 그런데 때로 ‘입천장소리되기’를 잘못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쟁기로 밭을 갈다, 팥으로 죽을 쑤다, 솥에 밥을 안치다
이 예들에서 ‘밭을’ ‘팥으로’ ‘솥에’는 각각 [바틀] [파트로] [소테]로 발음해야 한다. 그런데 이들을 [바츨] [파츠로] [소체]로 소리 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입천장소리되기’는 ‘ㄷ’이나 ‘ㅌ’이 모음 /ㅣ/를 만날 때에만 일어나는 현상이다. 다른 모음을 만날 때에는 이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그 소리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 이들을 [바슬] [파스로] [소세]와 같이 소리 내는 경우도 많다. ‘ㅌ’이 ‘ㅅ’으로 변한 셈인데, 이 또한 표준 발음이 아니므로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