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있음, 없음, 닫혔음
인기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는 당시의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장면들이 자주 등장한다. 드라마는 1989년 2월의 어느 날 TV 뉴스를 통해 맞춤법과 표준어 개정 소식을 다루었다. 뉴스를 보던 고등학생 선우가 동생의 공책에 쓰인 ‘있읍니다’를 얼른 ‘있습니다’로 고쳐 주는 장면이 방영되었다.
1988년 개정 이전에는 ‘읍니다’와 ‘습니다’를 둘 다 쓰도록 했다. 즉 ‘읍니다’보다 ‘습니다’가 더 깍듯한 표현이라고 하여 둘을 구분해서 썼다. 그러나 점차 둘 사이에 의미 차이가 없어지게 되어 ‘습니다’ 하나로 통일해서 쓰도록 한 것이다. 이에 ‘있읍니다, 먹읍니다, 입읍니다’ 등은 더 이상 쓰지 않고 ‘있습니다, 먹습니다, 입습니다’로만 적게 되었다.
그런데 이때의 개정 내용을 잘못 이해해서 ‘있음, 없음’ 등도 모두 ‘있슴, 없슴’으로 바뀐 줄 아는 사람들이 있다. ‘있음, 없음’을 ‘있습니다, 없습니다’의 준말로 알고 ‘있슴, 없슴’으로 써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음’은 동사나 형용사를 명사로 만들어주는 명사형 어미로, ‘습니다’와는 상관이 없다. ‘지금 여기 있음은 없음만 못하다’ ‘동지에는 팥죽을 먹음으로써 잡귀를 쫓는다’ 같은 문장을 살펴보자. ‘있다, 없다, 먹다’ 같은 형용사나 동사를 명사처럼 기능할 수 있게 바꾸어주는 역할을 ‘음’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습니다’는 서술형으로 문장을 끝낼 때 쓰는 어미 ‘ㄴ다’의 높임말이다. ‘아침에 밥을 먹는다’ 대신 ‘밥을 먹습니다’로 쓰면 상대를 높이면서 문장을 끝맺게 된다. 이 ‘습니다’ 형태는 따로 준말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주변에서 흔히 보는 ‘있슴, 없슴, 닫혔슴’ 등은 모두 잘못된 표기다. ‘있음, 없음, 닫혔음’으로 적어야 맞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6,198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2,518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36,887 | 2006.09.09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656 | 2024.11.08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679 | 2024.11.08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576 | 2024.11.06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516 | 2024.11.06 |
3622 | 손글씨 | 風文 | 462 | 2024.11.04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624 | 2024.11.04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539 | 2024.11.01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561 | 2024.11.01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502 | 2024.10.28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594 | 2024.10.28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631 | 2024.10.25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587 | 2024.10.25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1,172 | 2024.10.24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 1,087 | 2024.10.24 |
3612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風文 | 1,219 | 2024.10.23 |
3611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風文 | 1,119 | 2024.10.23 |
3610 | 웃프다 | 風文 | 703 | 2024.10.22 |
3609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風文 | 594 | 2024.10.22 |
3608 | 아저씨 | 風文 | 609 | 2024.10.21 |
3607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 | 風文 | 806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