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열사, 지사
"내가 죽어서 한국이 독립된다면 죽으리라." 도산 안창호 선생의 말처럼 당시 일제에 맞서 기꺼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들의 한결같은 바람은 빼앗긴 주권을 되찾는 것이었다. 내일은 그들의 정신을 되새기는 광복절이다. 독립운동사에 한 획을 그은 애국지사를 부를 때 이름 뒤에 의사나 열사 등의 칭호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어떤 기준에 의해 그렇게 구분하는 것일까?
''의사(義士)''는 나라와 민족을 위해 목숨을 걸고 무력으로써 항거하다 의롭게 죽은 사람으로, 안중근.윤봉길.이봉창 의사 등을 들 수 있다. 군인에겐 쓰지 않는다. ''열사(烈士)''는 나라와 민족을 위해 맨몸으로 저항하다 의롭게 죽은 사람으로, 헤이그에서 자결한 이준 열사나 독립만세운동에 앞장섰다가 옥중에서 순국한 유관순 열사가 대표적 인물이다. 직접적 행동보다는 자결 같은 극단적인 방법으로 강력한 항의의 뜻을 전했다.
이들 독립운동가를 ''나라와 민족을 위해 제 몸을 바쳐 일하려는 뜻을 품은 사람''이란 의미에서 ''지사(志士)''라고도 한다. 의사와 열사가 순국한 뒤 붙일 수 있는 이름이라면 지사는 살아 있을 때도 쓸 수 있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