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거운 생각’은 무슨 생각일까? 미루어 짐작한 것처럼 ‘궁금한 생각’이다. ‘궁겁다’는 표준어 ‘궁금하다’에 대응하는 말로, 남녘과 북녘뿐만 아니라 재중동포 사회에서도 두루 쓰인다. 그래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궁금하다’의 잘못으로 풀이되어 있으며, 북녘의 <조선말대사전>에는 버젓이 문화어로 올라 있다. ‘궁겁다’는 ‘궁금하다’에서 ‘ㅎ’이 탈락한 ‘궁금어다’의 활용형 ‘궁금어서~궁그어서’를 언중들이 마치 ‘고맙다’의 활용형 ‘고마워서~고마어서’와 같은 것으로 생각하고 그 원래의 형태를 ‘궁겁다’로 인식하면서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조모는 손부가 숙성해 가는 꼴을 볼수록 은근히 그들의 사이가 궁거웠다.”(<봄> 이기영) “궁겁기는 어째 궁겁다구 이럼둥?”(<조각달 둥근달> 리태수, 재중동포 작가) “창해가 궁거운 소리로 물었다.”(<여름바다> 신종봉, 북녘 작가) ‘궁겁다’는 지역에 따라 ‘궁급다’로 사용되기도 한다. “니가 가고 하도 오래 핀지(편지)가 없으이 애비는 하리하리(하루하루)가 궁급다.”(<경북 동남부 방언사전> 정석호)
‘궁금하다’의 또다른 고장말로는 ‘궁기허다’와 ‘궁구허다’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주로 전라도 지역에서 쓰이는 말이다. “어찌 궁기허든지 즈그 엄니헌테 가서 물어봤어.”(<전남방언사전>) “궁구허닝께 구다봤을(들여다봤을) 거 아닌갭여.”(<겨레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