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다라’는 ‘짜드라, 짜드락, 짜다락’과 함께 ‘그렇게나 많이, 정도에 넘게, 많이’의 뜻을 갖는 고장말이다. 표준어 ‘많이’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경상 지역에서 쓰인다. “맥지로(공연히) 소문만 짜다라 냈다가 잘 안 대 보이소, 우째 대겠능교?”(<쌈짓골> 김춘복) “산전에(생전에) 뭐 벌이서(벌어서) 짜드라 해 놨다고 쌀밥 찾고 보리밥 찾노?”(<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짜다라’가 어떻게 생겨난 말인지 그 어원을 찾기 어렵다. 다만 ‘짜다라’의 또 다른 형태인 ‘짜드라’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 ‘짜드라오다’(많은 수량이 한꺼번에 쏟아져 오다)와 ‘짜드라웃다’(여럿이 한꺼번에 야단스럽게 웃다)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짜드라오다’와 ‘짜드라웃다’의 ‘짜드라’가 경상 지역에 흘러들어 고장말로 쓰이게 되었는지, 아니면 고장말 ‘짜드라’가 서울말에 흘러들어 표준어로 쓰이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짜다라’는 이 지역에서 ‘짜달시리, 짜달스리, 짜달스레’와 함께 ‘그다지’ 또는 ‘특별히, 별나게, 별로’의 뜻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너그 집도 짜다라 잘난 것도 없더라.”(<우리 청춘의 푸른 옷> 김영현) “지 꼴리는 대로 하고 사는 게 니 아이가? 그런데 짜달시리 또 뭘 보이 주는데?”(<똥개> 곽경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