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 8년(1784년), 살인사건이 일어나 주검의 상한 곳을 살펴보니 옆구리 아래 사타구니 위에 상처가 있었다. 피해자 어머니 유씨와 동생을 불러 물으니 ‘큰발강이’가 가슴을 발로 막고 ‘잔발강이’가 수없이 밟았다고 하였다. 두 번째 검시에서 상한 곳을 살펴보니 배는 땡땡해지고 창자가 불거져 나오고 사타구니 위에 피멍이 있었다.
‘발강’은 발간(빨간) 빛깔이나 물감이다. 발간빛을 띠는 것과 잉어 새끼를 ‘발강이’라 한다. 물고기의 새끼를 이르는 말에 여러 가지가 있다. 명태 새끼는 ‘노가리’. 충남 보령 지역에서 ‘간재미/갱개미’라 일컫는 가오릿과 생선은 가오리 새끼쯤 된다. 숭어 새끼는 어느 고장에선 밀치라 한다. 부산 자갈치시장에서 물으니 밀치는 숭어 비슷한 가숭어라 하고, 숭어 새끼는 ‘모치’라 한다. ‘모치’는 ‘모쟁이’의 고장말이며, ‘모치/모티’가 든 사람이름에 ‘골모티·돌모치/돌모티’도 있다. 경상도말 ‘모티’는 모퉁이를 이른다. 웅어 새끼 ‘모롱이’, 돌고래 새끼 ‘가사리’도 이름에 보인다.
발강의 센말은 ‘빨강’ 또는 ‘벌겅’이다. 이데올로기 시대를 지나면서 ‘빨갱이’란 말에는 아주 각별한 의미가 더해졌다. 적색에 잇닿은 말조차 꺼리게 하는 집단 트라우마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하필이면 물고기 새끼 이름을 사람이름에 썼을까? 귀엽기는 마찬가지이기 때문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