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룩새’는 표준말 ‘-을수록’에 해당하는 평안말이다. “고래당 같은 게아집두 짓구 첩두 얻구 무엇두 허구 이러먼 잘사는 거를 생각하넌데 생각하두룩새} 마음이 싱숭상숭해지구 ….”(<한국구전설화> 평안편) “움물은 깊두룩새} 물이 맑고 차디.”(<평북방언사전>) ‘-두룩새’의 ‘두룩’은 15세기에 쓰였던 ‘C록’에서 온 말(C록>도록>도룩>두룩)이다. ‘-C록’은 현대어 ‘-도록’의 뜻으로도 쓰였지만, ‘-을수록’의 기능으로도 쓰였다. “만히 듣C록} 어둑 信티 아니NB니.”(<남명집언해>)
경기·강원·충청 쪽 ‘-다락’도 ‘-두룩새’처럼 ‘-C록’에서 왔다. “자꾸 허다락} 잡울 수가 있는 거니껀.” “통발은 이건 많이 있다락} 좋아.”(충남) 제주의 ‘-닥지’나 ‘-다끼’도 ‘?록’과의 관련이 있겠으나, 형태에서 한참 멀어졌다. “술은 오래 되닥지 많이 좋아.” “짐는 묵이다끼} 맛이 좋아.”(제주)
‘-두룩새·-다락·-닥지’가 쓰이는 곳뿐만 아니라 다른 데서도 ‘-을수록’과 ‘-을수룩’이 함께 쓰인다. “짐승이 있을수룩} 인간 근처에 있어야지, 다른 데 가 잘 수 있는가?”(<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다만 전라·함경 쪽에서는 ‘-을수락’이 쓰인다. 전라말에서는 ‘-을수락’에 ‘-이’나 ‘-에’가 더하여 뜻을 강조하기도 한다. “볼수락이} 이뿌단 말이요.”(위 책 전북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