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은 표준말 ‘-고서’에 해당하는 제주말로, 한 사실이 뒤에 생긴 일의 원인이 됨을 나타낸다. “어머님 공 못 갚앙 저승 가는 불효식 …”(<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앙’은 ‘-어서’의 뜻으로도 쓰인다. “그놈들이 다 물러가면 우리대로 잘 살곡 마음대로 해산물도 잡앙 팔곡 헐 수 있는 거 아닙니까.”(<껍질과 속살> 현길언)
‘-앙’의 또다른 형태는 ‘-어근’과 ‘-엉근’이다. ‘-엉근’은 ‘-엉’에 ‘-근’이 합친 말로, ‘-근’은 표준어 ‘-서’에 대응하는 제주말 ‘-근에’의 ‘근’과 같은 것으로 보인다. ‘-어근’은 ‘-엉근’의 ‘ㅇ’이 떨어져 생긴 말이다. “할마님이랑 받다 남은 거 웃제반(제사상에 올린 각 제물을 처음 조금씩 걷어 모으는 일) 걷어근 동이용궁 아방국데레 모도 지울리곡 ….”(<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제주말에는 ‘-고서’ 형태가 쓰이지 않는다. 이는 표준어 ‘-고’와 대응하는 제주말 ‘-곡’이 둘 이상의 사실을 단순히 늘어놓는(물이 맑고 차다.) 구실만 하기에 ‘-곡’과 ‘-서’가 합친 ‘-곡서’가 인과 관계를 나타내기 어려운 탓으로 보인다.
표준말 ‘-고서’의 다른 고장말은 ‘-구서’다. ‘-구서’는 전라·경상·제주를 뺀 대부분의 지역에서 쓰인다. “영감 죽구서 무엇 맛보기 첨이라더니!”(<태평천하> 채만식) “사람이 살구서 볼 일이지.”(<등대> 리북명·북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