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깨미’는 표준어의 ‘-을까 봐’에 해당하는 고장말로, 주로 충청·전라 쪽에서 쓰이는 말이다. “아따, 돈 쓸 데 없으깨미 뼈다구도 사야 하고 …”(<샛강> 이정환) “미운털 백혀서 명대로 못 살깨미 잠도 안 온다.”(<완장> 윤흥길) “우리 할아버지가 저승이서는 혼자 죽으깨미서는 오던 질 도루 가지 말라구 했는디 …”(<한국구비문학대계> 충남편)
‘-으깨미’의 다른 꼴은 ‘-으까마, -으까미’인데, 이들은 ‘-을까 봐’가 ‘-으까 봐>-으까 바>-으까마>-으까미>-으깨미’와 같은 변화를 겪어 하나의 말처럼 굳어진 것이다. ‘-으까미>-으깨미’는 ‘학교’를 ‘핵교’, ‘호랑이’를 ‘호랭이’라 하는 것과 같다. “내가 모냐 가까마 지가 압장을 스드라고.” “하니나 네가 잡으까미 언능 네삐드라.”(<전남방언사전>)
또한 ‘-으까마’에 ‘-니’가 결합된 ‘-으까마니’는 전남에서만 보이는 말이다. “내가 진역 살리고 벌받게 하까마니 그케 우냐고 그람서 꺽쩡 말라고 했제.”(위 책) ‘-으까마니’가 전남에만 있는 반면, ‘-으까마니’의 ‘ㅏ’가 탈락하여 만들어진 ‘-으깜니’는 충청·전라 두루 발견된다. “막 눈만 흘겨도 찢어지게 생긴 도포를 찢어지깜니 살살 어트게어트게 입었어.”(<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애덜 눈깔 찔르깜니 고려장하러 가는 할머니가 막대기를 끊어 쌌더란다.”(위 책, 충남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