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미’와 ‘살미’
서울 금천구 독산동이나 김포시 양촌면의 석산은 모두 ‘돌미’라 불리던 지역이었다. ‘돌미’에 들어 있는 ‘미’는 ‘산’을 뜻하는 ‘뫼’가 변한 말이다. 이처럼 산을 나타내는 말이 ‘미’로 변화한 땅이름은 매우 많다. 달이 뜨는 산을 뜻하는 ‘월출산’이나 ‘월악산’은 ‘달나미’, 또는 ‘달미’로 불린다.
그런데 ‘미’가 붙은 땅이름이라고 하여 모두 산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충북 중원(충주)의 ‘살미’는 산과는 관련이 없다. 여기에 붙은 ‘미’는 ‘들판’을 뜻하는 ‘가 변화한 말이다. ‘ 는 〈훈몽자회〉에도 나오는데, 한자 ‘야’(野)를 ‘ 야’로 풀이하였다. 또한 〈두시언해〉에도 ‘누른 흙 두듥엔 하늘 닭이 춤추놋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뫼’와 ‘는 소리가 비슷해서 모두 ‘미’로 바뀔 수 있다. 이처럼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말을 동음이의어라 부른다.
흥미로운 사실은 일상의 언어생활에서는 동음이의어가 생겨날 경우, 뜻을 변별하기 위해 어느 한 낱말은 다른 말로 대체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예컨대 ‘계절’을 뜻하는 ‘녀름’이 머릿소리규칙에 따라 ‘여름’으로 변화하면, 본디 있던 ‘여름’은 ‘열매’로 바뀐다. 그런데 땅이름에 나타나는 동음이의어는 이처럼 자유로운 변화를 보이지 못한다. 충북 제천에서는 ‘살미’를 ‘미산’이라 부르는데, 이 땅이름은 ‘쌀이 산처럼 쌓였다’는 전설보다는 ‘미’의 동음이의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공지 | ∥…………………………………………………………………… 목록 | 바람의종 | 76,245 | 2006.09.16 |
공지 |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 바람의종 | 222,561 | 2007.02.18 |
공지 |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 風磬 | 236,921 | 2006.09.09 |
3626 | 성씨(姓氏)의 장단음 | 風文 | 656 | 2024.11.08 |
3625 | 흙밥과 흙수저 | 風文 | 679 | 2024.11.08 |
3624 | 불규칙용언 (2) -시옷불규칙용언, 디귿불규칙용언 | 風文 | 576 | 2024.11.06 |
3623 | 외래어의 받침 | 風文 | 516 | 2024.11.06 |
3622 | 손글씨 | 風文 | 462 | 2024.11.04 |
3621 | 불규칙용언 (1) | 風文 | 624 | 2024.11.04 |
3620 | 받침과 대표음 | 風文 | 539 | 2024.11.01 |
3619 | 간식(間食)의 순화어 | 風文 | 565 | 2024.11.01 |
3618 | 모음조화 | 風文 | 525 | 2024.10.28 |
3617 | 관용구와 속담 | 風文 | 594 | 2024.10.28 |
3616 | 고급지다 | 風文 | 631 | 2024.10.25 |
3615 | 고유명사의 띄어쓰기 | 風文 | 587 | 2024.10.25 |
3614 | 단위명사 | 風文 | 1,172 | 2024.10.24 |
3613 | 혼밥과 혼술 | 風文 | 1,088 | 2024.10.24 |
3612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 風文 | 1,219 | 2024.10.23 |
3611 | ‘김밥’의 발음, 어떻게 할 것인가 | 風文 | 1,119 | 2024.10.23 |
3610 | 웃프다 | 風文 | 703 | 2024.10.22 |
3609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3) | 風文 | 594 | 2024.10.22 |
3608 | 아저씨 | 風文 | 609 | 2024.10.21 |
3607 |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2) | 風文 | 806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