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병상련(同病相憐) // ① 같은 병의 환자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
② 어려운 사람끼리 동정하고 도움.
《出典》吳越春秋 闔閭內篇
전국시대인 기원전 515년, 오(吳)나라의 공자(公子) 광(光)은 사촌동생인 오왕(吳王) 요(僚)를 시해한 뒤, 오왕 합려(闔閭)라 일컫고 자객을 천거하는 등 반란에 적극 협조한 오자서(伍子胥)를 중용했다. 오자서는 7년 전, 초나라의 태자소부(太子小傅) 비무기(費無忌)의 모함으로 태자태부(太子太傅)로 있던 아버지와 역시 관리였던 맏형이 처형당하자 복수의 화신이 되어 오나라로 피신해 온 망명객이었다.
그가 반란에 적극 협조한 것도 실은 유능한 光[闔閭]이 왕위에 오름으로써 초나라 공략의 길이 열릴 것이며 초나라를 공략해야 부형(父兄)의 원수를 갚을 수 있으리라는 원려(遠廬) 때문이었다. 그 해 또 비무기의 모함으로 아버지를 잃은 백비가 오나라로 피신해 오자 오자서는 그 를 오왕 합려에게 천거하여 대부(大夫) 벼슬에 오르게 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오자서는 대부 피리(被離)에게 힐난을 받았다.
"백비의 눈길은 매와 같고 걸음걸이는 호랑이와 같으니[鷹視虎步], 이는 필시 살인할 악상(惡相)이오. 그런데 귀공은 무슨 까닭으로 그런 인물을 천거하였소?"
피리의 말이 끝나자 오자서는 이렇게 대답했다.
"뭐 별다른 까닭은 없소이다. 하상가(河上歌)에도 '동병상련(同病相憐)'이란 말이 있듯이 나와 같은 처지에 있는 백비를 돕는 것은 인지상정(人之常情)이지요."
그로부터 9년 후 합려가 초나라를 공략, 대승함으로써 오자서와 백비는 마침내 부형의 원수를 갚을 수 있었다. 그러나 그 후 오자서는 불행히도 피리의 예언대로 월(越)나라에 매수된 백비의 모함에 빠져 분사(憤死)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