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서(尙書) 경명편에는 주(周)나라 목왕(穆王)이 백경을 태복(太僕)으로 임명하며 훈계하였던 말이 기록되어 있다.
그대의 아래 사람들을 신중히 고르되, 교묘한 말을 하는 자, 좋은 듯 꾸민 얼굴을 하는 자, 남의 눈치만 보는 자, 아첨하는 자는 쓰지 말고, 오직 올바른 사람만을 쓰도록 하시오(無以巧言令色便 側媚, 其惟吉士). 논어(論語) 학이(學而)편에는 교묘한 말과 꾸민 얼굴에는 인이 적다(巧言令色鮮矣仁(교언영색선의인) 이라는 말이 있으며, 공야장(公冶長)편, 양화(陽貨)편 등에도 巧言令色 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巧言(fine words)은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교묘하게 꾸민 말을 뜻하며 令色(an insinuating appearance) 이란 보기 좋게 꾸민 거짓된 표정 을 뜻한다.
………………………………………………………………………………………………………………………………… 공자(孔子 : 이름은 '丘', B.C 551-479)는 아첨꾼에 대해《論語》'학이편(學而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발라 맞추는 말과 알랑거리는 태도에는 '인(仁)'이 적다.(巧言令色 鮮矣仁)
말재주가 교묘하고 표정을 보기 좋게 꾸미는 사람 중에 어진 사람은 거의 없다는 뜻이다. 이 말을 뒤집어서 또 공자는 '자로편(子路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강직 의연하고 질박 어눌한 사람은 '인(仁)'에 가깝다.(剛毅木訥 近仁)
의지가 굳고 용기가 있으며 꾸밈이 없고 말수가 적은 사람은 '인(덕을 갖춘 군자)'에 가깝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람이라도 '인(덕을 갖춘 군자)' 그 자체는 아니라고 공자는 '옹야편(擁也篇)'에서 이렇게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