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이야기 2 - 정채봉, 류시화 엮음
3. 함께 사는 삶
부끄러움 - 강수희
그해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렸다. 몇 권의 책과 낡아빠진 카메라 한 대 그리고 여행에 필요한 간단한 차림들을 배낭에 넣고 나는 무턱대고 집을 나섰다. 미래에 대한 막연함과 불안함이 나로 하여금 집을 떠나게 만든 것이다. 강원도 속초까지 버스를 타고 간 나는 거기서부터 동해안을 따라 걸어 내려가기 시작했다. 물론 넉넉하지 못한 돈을 가지고 떠난 여행길었기에 호화판 여행을 활 수도 없는 일이었지만, 설사 돈이 많았다 해도 그때 나는 일부러라도 고생스런 길을 택하고 싶었다. 눈 쌓인 길을 종일 걸으며 매서운 동해의 바람 속에서 나는 무한대의 자유인이었고 또한 한없는 고독자였다. 그것으 곧 나의 앞으로의 생애였다. 날이 저물면 아누 동네나 들어가 간판도 없는 여인숙의 작은 방에서 낯 모르는 여러 사람들 속에 섞여 새우잠을 잤다. 어떤 때는 행상이나 장꾼들과 동숙하기도 했고, 어떤 때는 고향을 찾아가는 한 무리의 광부들 틈에 끼여서 자야 했다. 어쩌다 만난 그들, 그러나 다시는 만날 수 없을 그들이었지만 하룻밤을 같이 보낸 인연으로 하여 나는 참으로 많은 얘기와 새로운 인생들을 배웠다. 어디든 사람이 있다는 것, 비록 남루한 옷을 입고 공부는 하지 않았더라도 저 나름의 세게를 이룩하고 웃으며 살아가고 있다는 것, 그것은 굉장한 발견이었다.
그러나 나는 아직도 허영에 차고 불안한 한 속물에 지나지 않았다. 왜냐하면 나는 매일 밤 그들의 진지한 얘기들을 다만 하찮은 마음으로 듣고 있었고, 유치하다고 건방진 우월감을 품고 있었으며, 그들을 믿지 못하고 있었다. 나는 밤이면 몇 번씩이나 잠을 깨서 혹시난 내 낡아빠진 카메라를 도둑맞지나 않았는가, 다른 무엇을 잃어버리지나 않을까 불안해 했던 것이다. 돌이켜보면 그것은 정말 얼마나 부끄러운 일이었던가. 삼척을 하룻길 앞두고 어느 이름 모를 촌락에서 밤을 묵을 때 나는 한 노인과 같이 자게 되었다. 얘기는 그 노인이 주로 했고 나는 언제나처럼 듣는 입장이었다. 자잘한 일상사에서부터 시작된 얘기는 이윽고 그 노인이 살아온 과거에까지 이르렀다. 퍽이나 파란만장한 생애였다. 우리 나라의 팔도강산 안 가본 곳이 없고 일본, 만주에까지 가서 살았다는 그 노인의 얘기는 한 편의 대하 드라마였다. 육체로 할 수 있는 일이라면 안해 본 일이 없다는, 얼마쯤은 자랑스러운 표정으로 그러나 훨씬 더 많은 피로함과 함께 노인은 결론처럼 말하는 것이었다.
"좋은 시절도 많았었지. 하지만 다 지나간 얘기요. 지금 늙어서 이렇게 행상을 하면서 여행하는 게 고작 내 팔자인 모양이여."
그날 밤 나는 꿈 많은 잠을 잤다. 그리고 예의 불안감으로 몇 번이고 잠이 깨곤 했다. 다음날 아침 일찍 나는 삼척을 향해 떠나려 했다. 막 문을 나서는데 노인이 뒤에서 불렀다.
"이 시계, 학생 거 아닌가? 우물가에 있던데."
아차, 그렇다. 아침에 세수를 하며 풀어 놓았던 것이다.
"고맙습니다."
시계를 받아 그냥 주머니에 쑤셔 넣으면서 나는 몹시 부끄러웠다. 이런 사람들을 의심하면서 밤새 불안해 했던 나. 나는 얼마나 옹졸하고 지난 16년 동안의 교육은 얼마나 편견에 차 있었던가. 그렇다. 인간의 곁에는 언제나 인간이 있는 것이다.
(아주 임업 인도네시아 주재원)
양말에 비친 얼굴 - 김 이사벨라
지난 해 12월, 눈길에 넘어져 오른쪽 손목뼈가 부러지는 바람에 거의 40일 동안을 깁스를하고 있어야만 했다. 마침내 깁스를 풀고 오니, "야아!" 하고 환호성을지르며 꼬마들이 몰려들었다. 내손이 아플까 봐 차마 매달리지는 못하고 가만히 와서 만져 보기도 하고 쓰다듬기도 하는 것이었다.
"이제부터 머리도 우리가 빗고 손톱도 우리가 깎을게요."
"왜, 내가 머리 빗겨 주는 게 싫으니?"
"아뇨, 엄마가 일 많이 하면 또 다치잖아요."
아이들은 수녀님라는 호칭 대신 우리를 엄마라고 부른다.
"난 엄마의 차가운 손은 싫어요. 따스한 손이 좋아요."
나의 깁스한 차가운 손이 싫다는 미아의 솔직한 말이다. 그렇다. 그들은 한없이 그리워하고 있다. 가까이에서 그들을 어루만져 주는 따스한 손길을. 벌써 8년 전의 일이다. 그 당시 난 판자 마을 무료 진료소에서의 일이 끝난 후 시간만나면 부랑아들이 수용되어 있는 곳에 가서 그들의 갖가지 상처를 치료해 주곤 했었다. 그들 중엔 손에 큰 상처를 입은 훈이라는 아이가 있었다. 매일 깨끗이 치료한 후 새 붕대로 매어 주었는데 이상하게도 이튿날 가보면 붕대는 온데간데없고 대산 다 떨어진 양말로 상처를 동여매고 있었다. 그러니 상처는 불결해서 더욱 심해만 가는 것이었다.
"또 풀었구나. 그러면 상처가 낫지 않아요."
하지만 훈이는 아무 말없이 두 눈만 깜박이고 있었다. 그 눈 속엔 가슴을 찡하게 하는 어떤 슬픔과 갈망 같은 것이 가득 깃들여 있어 난 더 이상 야단을 칠 수가 없었다. 그저 정성껏 훈이의 손을 다시 싸매어 준 후, 손을꼭 쥐어 줄 따름이었다. 그후 바쁜 일 때문에 닷새 만에 그곳에 갔더니 훈이가 울면서 말했다.
"수녀님, 제가 말 안 들어서 다신 안 오시는 줄 알았어요. 이젠 안 풀어요. 절대로요."
"그래, 그래야지."
"밤만 되면 손이 더 아파요. 그러면 엄마가 자꾸 생각나요. 이 양말은 엄마가 짜주신 거예요. 엄마는 돌아가셨거든요. 이 양말을 보면 엄마의 얼굴이 보이는 것만 같았어요."
훈이의 까만 눈에 눈물이 반짝 빛났다. 그제야 난 알 수 있었다. 왜 그 애가 그 양말로 상처를 싸맸는지를. (수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