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子 - 道德經 : 第二十六章 (노자 - 도덕경 : 제26장)
重爲輕根, 靜爲躁君. 是以聖人. 終日行, 不離輜重, 雖有榮觀,
燕處超然. 柰何萬乘之主, 而以身輕天下. 輕則失本, 躁則失君.
중위경근, 정위조군. 시이성인. 종일행, 불리치중, 수유영관,
연처초연. 내하만승지주, 이이신경천하. 경즉실본, 조즉실군.
--------------------------------------------------------------
바람은 멈추는 순간 사라진다 - 유재용 저
스물 여섯째 장
직역
무거운 것은 가벼운 것의 뿌리가 되고, 고요한 것은 조급한 것의 주인이 된다. 이러한 까닭에 성인은 종일 다녀도 무거운 짐을 내려놓지 않는다. 비록 영화로운 모습을 보아도 편안히 처하며 초연해 있다. 어찌 일만 수레의 주인으로 하늘 아래 몸을 가벼이 하겠는가. 가벼운 즉 근본을 잃고, 조급한즉 주인 됨을 잃는다.
해석
무거운 것은 밑으로 내려가니 당연히 가벼운 것의 뿌리가 된다.
일을 행함에 조급히 하면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침착한 마음을 가지고 일에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까닭에 성인은 매사에 무겁게 고요히 일을 하는 것이다. 영화로운 모습에 마음이 들뜨면 그 근본을 잃는 것이다. 자신의 일을 제대로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화려한 유혹을 보아도 가지려 하지 않기 때문에 마음이 편하다. 일만 수레의 주인이라는 말은 천자를 가리킨다. 옛날 중국에서는 천자는 일만 수레, 여기서 수레는 고대 전차를 가리킨다. 일만대의 전차를 움직일 재력과 힘이 있었다. 전차 일만대면 움직이는 병력이 수십만이다. 그 아래 제후는 천승제후 백승제후라고 했다. 만승은 천자의 존엄을 나타낸다.
스스로 주인이 되면 천자와 같은 존재가 된다. 그런 사람이 함부로 몸을 굴리겠는가. 천하가 자신의 땅인데, 자신의 존엄성을 잃고 가볍게 움직이면 자신의 영역을 잃고, 조급히 행동하면 고요한 사람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 그러니 스스로 주인 됨을 잃는 것이다.
---------------------------------------------------------------
가장 오래된 글 가장 새로운 글 노자 - 김석환 저
26.
무거운 것은 가벼운 것의 밑바닥이 되고, 안정된 것은 움직여 소리내는 것의 임금이 된다. 그러므로 성인인 왕자는 하루종일 가벼운 수레를 타고 여행하더라도 무거운 짐수레를 버리고 안정된 마음으로 초연히 있으면서 구애받지 않는다. 어찌 만승천자의 몸으로 천하 백성들 위에서 자신의 몸을 가볍게 다룰 수 있겠는가? 가벼이 행동하면 밑바탕을 잃게 되고 조급히 움직이면 군주의 자리를 상실하게 된다.
주
조 : 조급하게 움직이는 것, 거동이 침착하지 못하고 성급한 것, 경솔하게 행동하는 것.
성인 : 여기서는 탁월한 군주를 가리킴.
치중 : 여행, 행군시에 식량 등의 필수품을 실은 짐수레.
영관 : 화려하고 볼 만한 구경거리.
연처 : 편안히 있는 것.
초연 : 무관심한 태도, 구애되지 않는 모습.
만승지주 : 전차 1만대를 소유하고 있는 임금 즉 천자를 지칭한 것. 수레 한 채를 1승이라 함.
해
무거운 것은 가벼운 것의 근본이 되고 고요함은 시끄러움의 으뜸이 된다. 처세에 있어서도 경거 망동하거나 성급하게 움직이면 침착하고 신중한 사람에게 쉽게 제압을 당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의 몸가짐과 행동은 언제나 무겁고 신중하고 고요하게 가져야 한다. 성급하거나 가벼이 움직인다는 것은 침착하지 못한다는 것이요, 그것은 그의 마음이 무엇에 현혹되어 있기 때문이다.
훌륭한 임금은 여행이나 행군할 때 속도가 느린 무거운 짐수레를 중심으로 하여 가기 때문에가볍게 먼저 가고자 하지 않는다. 보급품이 충실하여야 아무런 걱정 없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는 비록 화려하고 볼만한 구경거리가 있다더라도 초연히 있으면서 설레거나 경거망동하지 않는다. 천자는 만백성의 으뜸이다. 그러므로 그의 몸가짐은 신중하고 행위는 백성의 모범이 될 수 있어야 한다.
몸가짐을 함부로 가볍게 하면서 날뛰다가 임금의 소중한 지위마저 상실하는 어리석은 군주가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노자는 이 장에서 사람의 처세 특히 백성의 대표자인 임금의 몸가짐과 행위는 반드시 신중하고 침착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또한 우리가 일을 처리할 때도 지엽적인 것, 말단적인 것에 구애되거나 현혹되지 말고 밑바탕이 되는 근본적인 것에 우선 치중해야 함을 교훈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