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子 - 道德經 : 第二十二章 (노자 - 도덕경 : 제22장)
曲則全, 枉則直. 窪則盈, 幣則新. 少則得, 多則惑.
是以聖人抱一, 爲天下式. 不自見故明 不自是故彰
不自伐故有功 不自矜故長, 夫唯不爭, 故天下莫能與之爭
古之所謂曲則全者, 豈虛言哉, 誠全而歸之.
곡즉전, 왕즉직, 와즉영, 폐즉신, 소즉득, 다즉혹.
시이성인포일, 위천하식. 불자견(현)고명 불자시고창,
불자벌고유공, 불자긍고장 부유부쟁 고천하막능여지쟁
고지소위곡즉전자 기허언재 성전이귀지.
--------------------------------------------------------------
바람은 멈추는 순간 사라진다 - 유재용 저
스물둘째 장
직역
휘어지면 온전하고, 구부리면 펴진다. 파이면 고이고, 낡아지면 새로워진다. 적으면 얻고, 많으면 미혹하다. 그러하므로 성스러운 사람은 하나를 껴안고, 하늘 아래 모범이 된다. 스스로 드러내지 아니하니 밝고 스스로 옳다 하지 않으니 빛난다. 스스로 드러내지 않으니 공이 있고, 스스로 자만하지 않으니 으뜸이 된다. 대어 오로지 다투지 아니하니, 하늘 아래 그와 더불어 다툴 자가 없다. 옛말에 굽으면 온전하여 진다고 한말이 어찌 허언이겠는가. 진실로 온전하니 그것으로 돌아가라.
해석
휘어지면 온전하다. 대세를 따르는 것이 몸을 보존하는 길이다. 이렇게 해석을 할 수 있다. 힘이 약하면 굽혀라. 복종하라. 그럼 목숨을 보존할 지니. 이것이 노자의 뜻인가. 자 다르게 해석을 해보자.
강직된 사고를 가지면 더 이상 발전이 없다. 휘어짐은 유연함의 표현이다. 어린아이는 빨리 배운다. 그 이유는 자신을 고집하지 않기 때문이다. 어린아이가 자신을 고집한 다면 그는 영원히 어린아이로 남을 것이다. 죽을 때까지. 그러나 어린아이는 마구 습득한다. 그것은 그가 그만큼 유연하기 때문이다. 유연하지 못한 것은 죽은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부러지고 만다. 자신이기를 고집하지 않기에 자신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을 보자 물은 어디에 담아도 자신이 그 틀에 변용이 된다. 그렇다고 물 그 자체가 바뀐 것인가.
산길을 가다가 열 갈래의 갈림길을 만났다. 그대는 어디로 가는가. 미혹하다. 하나의 길이라면 편하게 갈텐데. 무엇이든지 너무 많으면 미혹해 지는 것이다.
성인은 하나를 껴안는다고 했는데 그것이 무엇일까. 정답은 도이다. 그럼 왜 도를 껴안는가. 이성이면 더 좋지 않은가. 껴안는다는 말은 체득한다. 도와 합일된다는 말이다. 그 도는 드러내지 않고 자랑하지 않으며 옳다고 우기지 않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투지 아니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이 생각해서 옳으면 됐지 남에게 자신이 옳다고 항변할 필요가 있는가. 현대를 살아가면서 이렇게 항변할 필요가 있을 때도 있다. 그러나 그런 때가 아닌데도 나서서 내 행동에 정당성을 부여해야 할 필요가 있는가. 그는 누구를 의식하고 있는가. 자신의 행동이 남에게 어떻게 보일까 걱정을 한다. 이것이 바로 총과 욕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맹자에 이런 말이 나온다. 스스로 반성해서 옳으면 비록 천만인이라도 두렵지 않다. 이런 자세로 삶을 살기 바란다.
---------------------------------------------------------------
가장 오래된 글 가장 새로운 글 노자 - 김석환 저
22.
유연한 나무는 꺾이지 않고 탄력성이 있어 도리어 안전할 수 있다. 구부리는 것은 장차 곧게 펴기 위함이다. 움푹 패인 속에는 물이 가득 찰 수 있고 옷은 헤어져야 새옷을 입게 된다. 숫자가 적으면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하기 쉽지만 수가 너무 많으면 어느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지 결심이 서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성인은 다만 도만을 지키고 있으므로 이 세상의 규범이 된다. 성인은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존재는 도리어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이다. 성인은 자신이 옳다고 주장하는 법이 없다. 자신의 공로를 뽐내지 않기 때문에 큰공을 이룩할 수 있고 자만을 모르기 때문에 그의 공로는 오래가는 것이다. 성인은 남들과 다투지 않는다. 그러므로 천하의 그 무엇도 그와 다툴 수 없는 것이다. 옛날 사람들이 말한 '휘어지면 안전하다'는 것은 결코 빈말이 아닌 것이다. 참으로 온전하게 천하는 그에게로 귀속될 것이다.
주
왕: 굽히다, 곡과 같은 뜻.
와: 웅덩이, 도랑, 우묵이 패인 곳.
폐: 옷이 떨어지다, 옷이 헤어지다.
포일: 만물의 근원이요, 제일 원인인 도 하나만을 굳게 지켜 변함이 없는 것을 뜻함.
식: 규범, 모범, 본보기.
자벌: 자기의 능함을 스스로 자랑하는 것.
상전이귀지: 참으로 온전하게 천하는 그에게로 귀속하게 될 것이다.
해
이 장에서 노자는 우리에게 오로지 도 하나만 지켜 남들의 모범이 될 것을 상조하고 있다. 갈림길이 많으면 어느 길로 가야 할지 망설여지는 경우가 많고 사물이 많으면 쉽게 선택을 못할 경우가 있다. 성인은 도 하나만을 고수하여 세상의 모범이 되는 것이다. 그는 자신의 존재를 세상 사람들이 알아주기를 바라지 않는다. 또 자신의 공덕을 자랑하거나 칭찬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그의 존재는 더욱 잘 드러나며 공덕 또한 오래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휘어지는 나무는 유연성이 있어 안전하고 구부러지는 자벌레는 장차 몸을 곧게 펴기 위함이다. 우묵하게 패인 곳이 있어야 물이 고일 수 있고 옷은 헤져야 새옷을 입을 수 있는 것이다. 성인은 남과 경쟁하여 이기겠다는 생각이나 앞선 존재가 되겠다고 애쓰지 않는다. 사람이 살다 보면 지는 것이 도리어 이기는 것이 되는 수가 많고 무능한 것이 유능한 것보다 유리한 경우도 있다. 구부러져 대들보가 될 수 없는 나무는 오랜 세월 재수명을 다 누릴 수 있으나 곧은 나무는 재목으로서의 쓰임새 때문에 목수에 의해 먼저 베이게 된다.
성인은 끈덕진 승리에의 집념이나 집요한 자기 주장을 할 줄 모른다. 모가 나게 처신하지 않는 그는 도무지 누구하고도 다툴 수 없는 것이다. 이렇게 남과 다투지 않고 천하의 본보기 가 된다면 진실로 천하의 마음은 그에게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