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子 - 道德經 : 第二十一章 (노자 - 도덕경 : 제21장)
孔德之容, 惟道是從, 道之爲物, 惟恍惟惚, 惚兮恍兮, 其中有象, 恍兮惚兮,
其中有物, 窈兮冥兮, 其中有精, 其中有信, 自古及今, 其名不去, 以閱衆甫,
吾何以知衆甫之狀哉, 以此.
공덕지용, 유도시종. 도지위물, 유황유홀.홀혜황혜, 기중유상. 황혜홀혜,
기중유물. 요혜명혜, 기중유정. 기정심진, 기중유신.자고급금, 기명불거, 이열중보.
오하이지중보지상재? 이차.
--------------------------------------------------------------
바람은 멈추는 순간 사라진다 - 유재용 저
스물 한째 장
직역
빔의 덕은 포용이니, 오로지 도는 이것을 따른다. 도가 물로 되는 것은 오로지 홀하고 오로지 황하다. 홀하도다 황하도다, 그 가운데 이미지가 있네. 황하도다 홀하도다, 그 가운데 사물이 있네. 깊고 어둡도다, 그 가운데 정기가 있네. 그 정기가 참으로 참되도다. 그 가운데 믿음이 있네. 예로부터 지금까지 그 이름 사라지지 아니하니 이로써 뭇처음을 살필 수 있지. 내어찌 뭇처음의 모습을 알겠는가. 이것(도)으로 알 따름이다.
해석
도는 빔의 덕을 따른다. 도는 그 자체로 구분을 짖지 않다. 그럼 물은 어떻게 해서 생기는가.
도가 물이 되는 것은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홀과 황이라고 했다. 홀과 황은 비몽사몽간이라는 말이다. 그렇게 구분 지을 수 없다는 것이다. 도와 물은 칼로 벨 수 있는 관계가 아니다. 자 그럼 도가 어떻게 물이 되는 지 살펴보자. 그리고 도와 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보도록 하자. 물은 인간의 의식이 규정을 짖는 것이다. 노자는 인간의 의식이 사물을 규정짓는 것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우선 홀하고 황한 가운데 이미지를 가지게 된다. 이 이미지가 발전하여 사물이 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황하고 홀한 것이다. 이 이미지가 굳어져 사물이 된다. 이것이 일장에서 본 무명이 유명으로 넘어가는 것을 자세히 설명한 것이다. 천지는 이미 있다.
자 보자 어린아이가 사물을 익히는 것은 맨 처음부터 구분되어 있는 것을 아는 것이 아니다. 그 사물의 이미지를 먼저 머리 속에서 만든다. 그리고 나서 그 이미지가 뚜렷해지면서 하나의 사물을 구체적으로 보게 되는 것이다.
자 잠으로 돌아가 보자 잠속에서 깨어날 때 우리는 흐릿한 사물을 보게 된다. 이것은 사물이 흐릿해서 그렇게 보는 것이 아니다. 사물과 사물을 구분해서 보는 작용이 우리에게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때가 홀황한 것이다. 그리고 점점 구분이 뚜렷해지면서 개개의 사물을 뚜렷하게 구분 되어 가는 것이 황홀한 것이다. 그때 우리는 하나의 사물을 볼 수 있는 것이다.
그 사물을 깊이 파고들어 가면 깊고 어둡다는 것이다.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사물은 도의 다름이 아니다. 그래서 사물 가운데 정기가 있다는 것이다. 사물은 사물이면서 동시에 도이다. 이 사물의 도를 통해서 뭇 처음의 모습을 알 수 있는 것이다.
---------------------------------------------------------------
가장 오래된 글 가장 새로운 글 노자 - 김석환 저
21.
큰 덕의 형상은 오직 도에서 나올 뿐이다. 도라는 것은 다만 황홀하기만 하여 그 형태를 포착할 수도 없는 것이다. 볼 수도 잡을 수도 없는 그 속에서 사물의 본바탕이 있다. 포착할 수도 살펴볼 수도 없는 불가사의한 그 곳에 사물의 형상이 들어 있다. 도는 아득하고 신비스러우며 어둡기만 하지만 그 안에는 정기가 스며 있다. 그 정기는 매우 순수하고 그 속에는 믿음성이 들어 있다. 아주 옛날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그 이름은 사라지는 법이 없다. 그 불멸의 도로부터 만물의 조상은 생성과 소멸을 거듭하게 된다. 내가 어떻게 만물의 조상 때의 상황을 알 수 있느냐 하면 앞에서 언급한 도를 통하여 알 수 있게 된 것이다.
주
공덕 : 큰 덕, 공은 크다는 뜻임. 공을 공으로 보아 공덕을 공허한 덕으로 풀이하는 이도 있으며, 통한다 두루 미친다의 뜻으로 보아 널리 통하는 덕, 두루 미치는 덕 등으로 해석하는 이도 있다.
용 : 형용, 태도, 움직이는 모습.
황홀 : 제 14장의 홀황과 같은 뜻임,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한 어슴푸레한 상태. 형용을 분별해 인식할 수 없는 상태, 꿈을 꾸는 것 같은 아리송한 상태.
상 : 모양, 모습, 형상.
요혜명혜 : 깊고 아득하고 신비스럽고 어두운 모양.
정: 정기.
불거 : 사라지지 않음, 도의 영구불멸성을 말함.
열: 열은 통과 동일한 의미로 거느리다, 통솔하다의 뜻으로 쓰임.
중보 : 만물의 처음, 만물의 시작, 만물의 조상이란 의미임.
이차: 차는 도를 지칭한 것임.
해
이 장에서 노자는 도는 만물의 실체요, 그 작용과 현상으로 구체화된 것이 덕임을 설명하고 있다.
도는 흐릿하고 황홀하므로 그 본모습을 알 수는 없다. 그러나 그 가운데 형상이 있고 실질이 있다. 도는 아득하고 신비스럽기만 하다. 그러므로 그 본질은 알 수는 없으나 그 가운데 정기가 있다. 그 정기는 매우 순수하며 또 믿음성이 있다. 도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며 그 이름은 불멸이다. 우리는 도로부터 천지, 음양, 일월의 운행과 변화의 원리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도는 만물의 배후에서 만물을 주재하는 만물의 제일 원인이기 때문이다. 만물의 생성과 소멸은 모두 눈에 보이지 않는 도의 작용 때문이다. 도는 이 모든 일을 무위자연의 법칙으로 운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모든 덕과 윤리적 질서는 사실 도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므로 도와 덕은 동전의 양면처럼 표리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