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 詩 基 礎
1. 漢詩의 詩體와 詩型
1) 古體詩: 唐 이전. 詩經, 楚辭, 古詩, 樂府
2) 近體詩: 唐 이후. 五言絶句, 七言絶句, 五言律詩,
七言律詩, 排律
3) 近體詩와 古體詩의 比較
(1) 近體詩는 엄밀히 一首 一韻을 사용하는 一韻到底格인데
비하여, 古體詩는 중도에 다른 韻으로 바꿀 수 있다.
(換韻, 轉韻)
(2) 近體詩는 언제나 平聲만을 가지고 押韻하고 있는데
비하여, 古體詩는 仄聲 (上聲,去聲,入聲)으로도 押韻
한다.
(3) 古體詩는 近似한 몇 가지 韻들을 섞어 사용하기도 한
다.(通韻)
(4) 古體詩는 每句에 押韻하는 경우도 있다.
2. 漢詩의 構成法
漢詩의 구성은 엄격하여 구성이 법칙에 어긋나면 안 된다.
구성에 유의할 점은 韻字를 다는 것, 韻字의 高低를 아는
것, 平仄法에 의하여 글자를 배열하는 것, 絶句에서도 對
句를 하는 경우가 있지만 律詩의 경우에는 承 · 轉句 등을
對로 구성하는 것, 중복된 글자가 없을 것, 起 · 承 · 轉 ·
結이 되게 하는 것
1) 押韻法
(1) 五言絶句: 承句와 結句의 밑에 단다.
(2) 五言律詩: 起 · 承 · 轉 · 結구의 둘째 行밑에 단다.
(3) 七言絶句: 起 · 承 · 結의 밑에 단다.
(4) 七言律詩: 起 · 承 · 轉 · 結의 둘째 行밑에 단다.
2) 漢字의 四聲
(1) 平聲: 平聲
平聲 |
上平聲 |
東, 冬, 江, 支, 微, 魚, 虞, 齊, 佳, 灰, 眞, 文, 元, 寒, 刪 |
下平聲 |
先, 蕭, 肴, 豪, 歌, 麻, 陽, 庚, 靑, 蒸, 尤, 侵, 覃, 鹽, 咸 |
(2) 仄聲: 上聲, 去聲, 入聲
한글에서 終聲이 ㄱ · ㄹ · ㅂ字로 끝나는 자는 대부분
仄聲으로 보면 된다.
(3) 沈約(441~513)의 『四聲譜』
四聲八病說-五言詩를 중심으로 한 音聲諧和의 法則.
音聲의 調整을 위하여 반드시 피하여야 할 聲韻上의
여덟 가지 規則(平頭, 上尾, 蜂腰, 鶴膝, 大韻, 小韻,
正紐, 旁紐)
3) 平仄法
4) 對句法
두 句가 相對되거나 對應되는 句로 구성하는 방법을
말한다. 絶句의 경우에는 對를 않는 수가 많지만, 律
詩의 경우는 承句 · 轉句를 반드시 對句로 구성한다.
5) 律詩에 적용되는 몇 가지 規律
(1) 二 · 四不同: 每句의 둘째 字와 넷째 字의 平仄이 달
라야 한다.
二 · 六對: 반드시 둘째 字와 여섯째 字의 平仄이 같
아야 한다.
(2) 反法: 五言律詩에 있어서는 各 句의 둘째 字와 넷째
字, 七言律詩에 있어서는 둘째 · 넷째 · 여섯째 字가 各 聯
마다 平仄이 서로 달라야 한다.
粘法: 따라서 各 句의 둘째 · 넷째 · 여섯째 字들은 둘째
句와 셋째 句, 넷째 句와 다섯째 句, 여섯째 句와 일곱째
句에 있어 같은 平仄의 字들을 쓴다.
(3) 押韻: 五 · 七言 모두 各 聯의 맨 끝 字에 押韻하는데, 七
言律詩는 첫 句의 끝 字마다 押韻하는 것이 原則이다.
五言의 첫 句에 押韻하거나 七言의 첫句에 押韻하지 않는
것은 變調이다. 韻字는 平聲韻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
며, 다만 五言絶句에만은 仄韻을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4) 起承轉結: 首聯에서는 한 편의 뜻을 제기시키고(起),
頷聯에서는 그 뜻을 받들어 드러내며(承), 頸聯에서는
다시 그 뜻을 굴리어 드러내고(轉), 尾聯에서는 결말을
짓는(結) 것이 近體詩 構成의 基本原則이다.
그리고 頷聯과 頸聯은 반드시 對句를 이루어야만 한다.
首聯(起句): 第一句 · 第二句
頷聯(承句): 第三句 · 第四句
頸聯(轉句): 第五句 · 第六句
尾聯(結句): 第七句 · 第八句
(5) 같은 자를 거듭 쓰지 않는다. 五言 40字, 七言 56字 중에
같은 字가 거듭 나와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6) ① 孤平: 平仄의 사용에 있어 仄聲字 중간에 平聲字 한
字가 끼어 있는 것.
② 孤仄: 반대로 平聲字 중간에 仄聲字 한 字가 끼어 있
는 것.
③ 下三連: 句의 끝 세 字를 같은 聲의 字로 채워서
는 안 된다.
八病
平頭 : 五言詩나 七言詩에서 제1자가 모두 平聲인 것
上尾(或名土崩病): 五言絶句의 첫 구 끝과 둘째 구 끝이
同聲인 것
蜂腰(孤平) : 각 구의 3,5자가 측성인데 제4자만 평성
鶴膝(孤仄) : 각 구의 3,5자가 평성인데 제4자만 측성
三字尾 : 下三平, 下三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