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0.27 20:51

주장

조회 수 6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주장

 

문자는 그림 뒤에 나온 발명품입니다. 그림보다 더 정교하고 세밀한 일이 문자로 일구는 창작입니다. 많은 고통을 주고 시련도 주지만 써냈다는 보람도 줍니다. 작은 소망은 그 시가 내 마음에 들면 됩니다만 나조차 맘에 들지 않는다면 어느 누가 읽겠습니까. 그래서 어렵죠. 당연히 취미로 쓰시는 분도 있고 모든 힘을 다해 쓰시는 분도 있지요.

강단에 서보신 분들이 많겠지만 자다가도 학생들은 시 창작 강론에 들어가면 화들짝 일어납니다. 어떻게 써야 하는가. 어떻게 하면 명작이 나오는가. 물음표죠? 저는 항상 독서를 강조합니다. 한 편을 쓰기 위해 열권은 읽어야 한다고. 무엇인가가 떠올라 갑자기 펜을 들고 쓴다고 하지요? 읽지 않으면 그런 모습은 없습니다.

오늘 읽지 않은 책을 골라냈습니다. 한 스물댓 권은 되더군요. 게을러 진 나를 봅니다.

많은 지인에게 미안한 기분도 듭니다. 창피하기도 하고요.

일기를 제외하곤 모든 글은 남들이 보라고 씁니다. 물론 공개된 일기장도 있습니다.

출판사는 그 많은 책을 출판했는데 왜 명작을 내기 힘들까요?

뇌를 찾아 떠나야 합니다. 색다른 뇌! 이 시대가 원하는 창작의 손짓을 놓치지 말고.

 

 

 

 

風文: 2023.10.27. 20:40 오늘문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62 2년 만에 소주 1 2022.11.10 666
61 A-ha – Take on me 2023.01.24 438
60 Carpenters - Yesterday Once More 2023.01.25 649
59 Eric Clapton - Wonderful Tonight 2023.02.08 723
58 For a few dollars More - Ennio Morricone 2023.01.28 435
57 Sting - Shape of My Heart / Englishman In New York 2023.01.29 587
56 2023.01.24 512
55 감사 file 2023.02.20 696
54 같은 하늘 아래 file 2023.02.10 600
53 글은 독방에서 써야한다 2022.08.11 543
52 기다림 2023.01.28 535
51 기준예고 2023.01.18 479
50 꼬리와 머리 2023.01.25 481
49 꽃집 1 2023.01.17 473
48 꽃집 가는 날입니다. file 2023.02.12 664
47 꽃집에 다녀오다 2023.12.31 372
46 2022.08.11 439
45 끼적끼적 2022.08.10 524
44 끼적끼적 2022.08.11 544
43 나를 봐 - 이정 2023.02.13 806
42 내가 할 일. file 2024.05.30 10
41 너의 편 2023.02.07 594
40 넌 누구니? 1 2022.11.12 638
39 노래 없이 살 수 있나 2022.08.11 541
38 답답 2023.03.03 447
37 file 2023.02.07 605
36 바람 2023.01.29 4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