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74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天(하늘 천) 地(땅 지) 玄(검을 현) 黃(누를 황)
宇(집 우) 宙(집 주) 洪(넓을 홍) 荒(거칠 황)

하늘은 머리 위에 있어 온갖 빛을 머금고 있고, 땅은 아래 있어서 그 빛이 누르다.
하늘은 검고 땅은 누르며, 우주는 넓고 거칠다.

閏(윤달 윤) 餘(남을 여) 成(이룰 성) 歲(해 세)
律(가락 률) 呂(음률 려) 調(고를 조) 陽(볕 양)

일 년 이십사절기 나머지 시각을 모아 윤달로 하여 해를 이루었다.
천지간의 양기를 고르게 하니 즉 율은 양이요 여는 음이다.


천자문은 본래 4언(四言) 250구로 이루어진 한 편의 시이다. 위진남북조 시대 양(梁)나라 무제(武帝) 때, 주흥사(周興嗣)가 지어 황제에게 바쳤다고 하는데, 내용은 천지자연으로부터 역사와 인물, 교육과 선비의 수양에 이르는 중국인의 자연관, 역사관, 문화에 대하여 아주 간명하게 집약해내었다. 자연스런 조탁 솜씨는 중국 문자가 갖는 특징을 유감 없이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올해는 한중수교 15주년이 되는 해다. 한문과 중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수많은 한문 교재들이 나오고 있지만, 중화와 한문의 세계에 대한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하지 않고, 외우기 식의 기능적 한자교육으로 일관하다 보니, 어릴 때부터 한자란 ‘어려운 것, 재미없는 것’이란 인상을 깊게 갖지 않을 수 없다. 그런 면에서 한문은 모르고 중국어는 말하는 기이한 현상이 만연하기에 이르렀고, 중국과 우리나라의 관계상을 비롯한 동아시아 세계에 대해 기본적인 이해조차 어렵게 만들고 있다.

천자문 (千字文)은 단지 외우기 위한 교본으로써의 의미가 아니라, 상상과 현실의 세계를 집약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한 글자 한 글자 자기 임무를 충실하고 자유분방하게 수행하고 있다.따라서 천 개의 글자, 그것이 이루어낸 시의 세계로 나간다면 천자문내 글자의 관계성은 물론, 중국인이 우주 자연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거기에 어떻게 자신의삶터를 만들고 일구어나갔는지 여실히 눈여겨볼 좋은 기제가 된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천자문을 통해 중국과 동아시아 세계 사유 구조의 특징과 문화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417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776
2660 많은 것들과의 관계 風文 2023.08.07 757
2659 은혜를 갚는다는 것 風文 2019.06.19 758
2658 떠오르는 이름 風文 2019.08.22 758
2657 과일 가게 아저씨가 의사보다 낫다 風文 2019.09.02 758
2656 어둠 속에 감춰진 빛 風文 2020.05.16 758
2655 쾌감 호르몬 風文 2023.10.11 758
2654 사는 맛, 죽을 맛 風文 2019.08.24 759
2653 '너 참 대범하더라' 風文 2020.05.18 760
2652 신에게 요청하라 1, 2 風文 2022.11.30 761
2651 시간이라는 약 風文 2023.08.17 762
2650 사랑의 명언 사랑에대한좋은명언 김유나 2019.12.26 764
2649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風文 2020.05.07 764
2648 실수에 대한 태도 風文 2023.03.08 764
2647 사랑할 준비 風文 2019.08.22 765
2646 거울과 등대와 같은 스승 風文 2022.05.23 765
2645 외로움을 덜기 위해서 風文 2023.01.13 765
2644 24시간 스트레스 風文 2023.08.05 765
2643 큰 방황은 큰 사람을 낳는다 - 26. 비교 風文 2020.07.02 766
2642 빨래를 보면 다 보인다 風文 2023.08.04 766
2641 끈질긴 요청이 가져온 성공 - 패티 오브리 風文 2022.08.22 767
2640 무한대 부드러움 風文 2020.05.15 768
2639 토끼가 달아나니까 사자도 달아났다 風文 2022.02.24 768
2638 당신 자신에게 던지는 질문 4 - 짐 캐츠카트 風文 2022.11.23 768
2637 씨앗 뿌리는 사람이 많을수록 風文 2023.04.03 768
2636 '내가 왜 사는 거지?' 風文 2023.06.08 7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