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9 08:59

용서

조회 수 6601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용서

언어예절

잘못을 너그러이 봐 줄 것을 빌었을 때 기대하는 반응이 용서다. 받아들이고 씻어주는 일이다. 이는 마음 문제여서 고갱이 말은 극히 소박하다. 벌을 받아 마땅한 잘못도 연유를 먼저 밝혀 무겁게 사과하면 책임을 덜거나 마음이 풀릴 수 있다. 말로써 천냥 빚을 갚는다는 얘기는 과장이되 그럴싸하다.

사과가 그렇듯 용서는 힘센 쪽의 덕목만은 아니다. 이해하며 너그러이 삭이고 넘어갈 수 있다면 그가 곧 윗길이 된다. 뉘우치도록 짚고 헤아리지 않는 용서는 포기와 같은데, 헤아림과 챙기기가 보통 수고로운 일은 아니다.

그 갈래로 묵은 용서, 제때 용서, 말뿐인 관용, 감싸고 두둔하기, 종교적 용서 …들에다 개인·집단·종족·나라 등 주체도 갖가지다. 개인은 수양의 폭과 깊이, 집단은 역사·문화·품성에서 정도차가 난다.

용서는 사과를 전제로 한다. 예컨대 군위안부로 끌려갔다 참담한 삶을 사는 팔구십 노인들에게 묵은 잘못을 빌지 못하는 일본 정부는, 그쪽의 낱낱 사람 됨됨이와 상관없이 애꿎은 후손까지 용서받지 못할 족속으로 남긴다. 사과가 먼저다.

사람 사이에서 어른 곧 어버이 쪽, 신과 인간 사이에서는 신의 덕목이자 영역에 든다. 허투루 용서하면 후레자식을 만들고, 관대함이 지나치면 나라 기강이 흔들린다.

“죽여 주시옵소서!, 무슨 벌이든 달게 받겠습니다”는 낡은 말이지만 몹시 다급할 때 쓴다. 법에도 관용과 감형, 사면·복권 등 용서하는 절차가 있다. 정치를 잘못하면 백성들이 해를 보지만 마지막 심판과 용서도 그들의 몫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2378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1813
2885 바로 말해요, 망설이지 말아요 風文 2024.03.26 600
2884 사는 게 힘들죠? 風文 2021.10.30 601
2883 여기는 어디인가? 風文 2021.10.31 601
2882 산은 고요하다 風文 2023.02.01 601
2881 괴로운 불면의 밤 風文 2024.02.24 602
2880 80세 노교수의 건강 비결 두 가지 風文 2024.03.27 602
2879 살아갈 힘이 생깁니다 風文 2022.01.11 603
2878 AI 챗지피티ChatGPT가 갖지 못한 것 風文 2024.02.08 605
2877 단골집 風文 2019.06.21 606
2876 아내의 비밀 서랍 風文 2021.10.28 606
2875 마음 따라 얼굴도 바뀐다 風文 2022.01.15 606
2874 많은 것들과의 관계 風文 2021.10.31 607
2873 잘 웃고 잘 운다 風文 2024.02.08 607
2872 보물 상자를 깔고 앉은 걸인 風文 2023.01.27 608
2871 그저 꾸준히 노력해 가되 風文 2023.01.08 609
2870 아빠가 되면 風文 2023.02.01 609
2869 12. 헤르메스 風文 2023.11.09 609
2868 밥 하는 것도 수행이다 風文 2019.06.21 610
2867 선택의 기로 風文 2020.05.14 611
2866 아이들의 잠재력 風文 2022.01.12 612
2865 긴박감을 갖고 요청하라 - 팀 피어링 風文 2022.09.29 612
2864 생각은 아침에 風文 2024.02.17 612
2863 내면의 향기 風文 2020.05.01 613
2862 '자기한테 나는 뭐야?' 風文 2023.05.19 613
2861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습관 風文 2022.01.30 6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