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6 05:55

벌주기

조회 수 6343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벌주기

언어예절

“사람을 죽인 자는 그도 죽이며, 남을 다치게 한 이는 곡물로 보상하고, 물건을 훔친 이는 임자의 노비로 삼는다.”(옛조선 8조 금법에서)


형벌을 담은 선언이다. 소략한 듯하지만 기록이 사라졌을 뿐 옛조선의 규율이라고 그리 허술하지만은 않았을 터이다. 나무라거나 꾸짖어도 안 되면 결국 벌주기(징계)로 갈 수밖에 없다. 이는 일상적인 말로 풀 수준을 넘은 것으로서, 집단마다 간추린 학칙·사규·복무규정 등 갖가지 제도화된 법규가 있다. 드물지만 사사로이 행하는 벌도 있다.

학교에서는 경고·견책·근신·정학·퇴학·제적·퇴교 등이, 기업·공무원 쪽에서는 경고·견책·감봉·정직·해임·파면 등 단계를 나눠 벌을 준다. 형사·민사 사항은 이런 쪽과 상관없이 법 따라 행한다.

이처럼 틀로 굳혀 행하는 절차들이 과연 말의 영역을 벗어난 것인가? 그렇지는 않다. 좀더 복잡해질 뿐이다. 누구도 억울해선 안 되겠기에 절차마다 말글로 경위를 밝힐 기회를 준다. 떼나 억지처럼 보이는 시위도 나름의 정당성이 있다. 잘못이 없음을 말하거나(발명), 구실을 대며 그럴듯하게 둘러대고(변명), 그리 된 까닭이나 이유를 밝힌다.(해명) 집단 앞에 개인은 약하지만 집단을 걸어 시비를 가리는 절차가 있다.

법·행정·정치도 결국은 말글로 이뤄진다. 법은 강제력을 바탕으로 행정·판결의 근거가 되는데, 언제든 새롭게 거래를 트고 규제할 필요가 생기므로 손질을 자주한다. 법·제도가 아무리 정치해도 사람을 가장 많이 죽이는 동물이 사람이다. 극단적 징계 방식인 전쟁도 말로 합리화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2163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1561
2885 괜찮은 어른 風文 2023.07.27 806
2884 우주심(宇宙心)과 에고(Ego) 風文 2023.07.27 740
2883 리더에게 던지는 질문 風文 2023.07.26 1030
2882 꺾이지 않는 힘 風文 2023.07.26 795
2881 스승 사(師) 風文 2023.07.22 820
2880 60조 개의 몸 세포 風文 2023.07.22 579
2879 배움은 늙지 않는다 風文 2023.07.04 727
2878 순두부 風文 2023.07.03 615
2877 아르테미스, 칼리스토, 니오베 風文 2023.06.28 544
2876 오감 너머의 영감 風文 2023.06.28 672
2875 아스클레피오스 / 크로이소스 風文 2023.06.27 929
2874 한 수 아래 風文 2023.06.27 577
2873 좋은 부모가 되려면 風文 2023.06.26 599
2872 음식의 '맛'이 먼저다 風文 2023.06.21 842
2871 '밥 먹는 시간' 행복론 風文 2023.06.20 847
2870 오기 비슷한 힘 風文 2023.06.19 731
2869 유목민의 '뛰어난 곡예' 風文 2023.06.17 846
2868 2. 세이렌 風文 2023.06.16 707
2867 제 5장 포르큐스-괴물의 출생 風文 2023.06.14 730
2866 '한심한 못난이'가 되지 않으려면 風文 2023.06.14 743
2865 울엄마의 젖가슴 風文 2023.06.13 830
2864 무화과 속의 '작은 꽃들' 風文 2023.06.13 702
2863 살아있는 지중해 신화와 전설 : 17, 18 風文 2023.06.09 843
2862 사람은 세 번 변한다 風文 2023.06.08 817
2861 '내가 왜 사는 거지?' 風文 2023.06.08 6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