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656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요즘처럼 어린 아이나 여성과 같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범죄가 횡행하는 시대에는 도덕의 존재 이유가 더욱 요청됩니다. 그러나 도덕을 요청하기 이전에 과연 ‘도덕이 무엇인가’라는 철학적 물음을 갖지 않을 수 없다. 다양한 가치와 입장이 상존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도덕철학에 관한 유명한 사상가 칸트의 도덕 개념을 살펴봄으로서 어떤 도덕 철학의 입장에 서야 할지에 대한 고민을 조금이나마 풀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칸트는 도덕철학에서 동기를 굉장히 강조합니다. 도덕을 내면의 문제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칸트에게 있어서 도덕이란 어떤 것일까요? 도덕적으로 선하다는 것은 바로 의무감에 의해서 동기화된 것, 그것이 도덕적으로 선한 것입니다. 행위의 동기가 전적으로 개인의 성향이나 자기 이익으로부터 분리된 행위, 그것이 도덕적인 행위라는 겁니다. 즉, 목적을 위해 수단적으로 행위하는 것은 도덕적이지 않은 것이고, 전제조건 없이 의무 그 자체를 위해 행위하는 것이 도덕적인 행위입니다. 칸트의 표현을 빌리자면, 도덕적 의무감이 자연적 경향성과의 갈등을 이겨내서 그로부터 행해진 행위, 욕망을 물리치고 행해진 행위인 것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지하철에서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젊은이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칸트의 도덕을 적용해보면, 자신의 마음이 불편해서 자리를 양보하거나, 누군가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 자리를 양보한다면, 그것을 도덕적 행위라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자연스러운 도덕적 의무감으로 다른 목적 없이 자리를 양보한다면, 두 행위 모두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은 같을 지라도, 후자를 도덕적이라 할 수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어떤 규칙이 도덕 법칙이 되는 걸까요? 칸트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도덕 법칙을 의식하고 있다고 합니다. 도덕에 어긋나는 일을 하면 스스로가 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보편화 될 수 있어야 한다고 이야기 합니다. 이를 보편화 가능성이라고 합니다. 칸트의 유명한 정언명령 ‘너의 의지의 준칙이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되도록 행위하라’는 말은 어느 누구나 당신의 입장이 되더라도 당연히 그렇게 행위 할 법한 행위를 하라는 뜻입니다. 그렇게 보편성을 가져야만 도덕 법칙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칸트는 도덕을 도덕 법칙에 따르려는 의무감에서 비롯된 것. 그래서 보편적 입장에 서서 모두가 인정을 할 수 있는 것. 그것을 도덕의 영역으로 이야기합니다.

오늘날 위와 같은 칸트의 도덕철학은 다양한 지점에서 생각할 여지를 우리에게 던져줍니다. 그리고 한 가지 주목할 수 있는 점은, 보편화 가능성의 논리는 현재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도덕 판단의 중요한 잣대로 삼는다는 사실일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2472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1912
2910 개 코의 놀라운 기능 바람의종 2008.05.08 8889
2909 어머니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08 7201
2908 찬란한 슬픔의 봄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09 8591
2907 내가 행복한 이유 바람의종 2008.05.13 5170
2906 부처님 말씀 / 도종환 윤영환 2008.05.14 6164
2905 편안한 마음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20 7449
2904 나에게 맞는 옷을 찾아라 바람의종 2008.05.22 7040
2903 로마시대의 원더랜드, ‘하드리아누스의 빌라’ 바람의종 2008.05.22 13390
2902 달을 먹다 바람의종 2008.05.22 6794
» 지하철에서 노인을 만나면 무조건 양보하라 바람의종 2008.05.22 7656
2900 초록 꽃나무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23 10244
2899 오늘 다시 찾은 것은 바람의종 2008.05.26 7266
2898 매너가 경쟁력이다 바람의종 2008.05.27 5283
2897 느낌의 대상에서 이해의 대상으로? 바람의종 2008.05.27 4584
2896 가장 큰 재산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29 8784
2895 일상의 기회를 만들기 위해 바람의종 2008.05.31 6966
2894 폐허 이후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31 8387
2893 등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6.02 7946
2892 이로움과 의로움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6.07 6896
2891 촛불의 의미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6.09 7957
2890 매일 새로워지는 카피처럼 바람의종 2008.06.11 5694
2889 화려한 중세 미술의 철학적 기반 바람의종 2008.06.11 8129
2888 지금 아니면 안 되는 것 바람의종 2008.06.13 7142
2887 우산 바람의종 2008.06.19 7259
2886 목민관이 해야 할 일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6.21 72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