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67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모님께 큰절 하고」(소설가 정미경)   2009년 6월 10일_서른한번째





 





“많이 울었지?”


 


아들을 훈련소로 보낸 날, 선배 Y가 전화를 했다. 울긴요, 했지만 말과 달리 눈물이 금새 주르르 흘러내렸다.


 


“밥은 안 넘어갈 테고 칼국수 사 줄 테니 나와.”


 


해가 설핏하게 지는 시간이었다. 자식놈 생각하니, 국수는커녕 물 한 모금 삼킬 마음이 없었다. 몇 번이나 권하는 걸 마다하고 방구석에 쪼그리고 앉아 하염없이 눈물을 훔쳐냈다. 월말이 되자 카드 대금청구서가 날아오는데 술집으로 추정되는 상호들이 줄줄이 찍혀 있었다. 아무리 입대가 충격이로되 엄마 카드에 손을 대다니. 앞서거니 뒤서거니 날아오는 청구서마다 찍힌 걸 다 합하니 가히 천문학적인 액수다. 슬픔을 일시에 사라지게 하는 방법도 참 여러 가지구나. 원래 수업 빠지고 도망가면 남은 녀석들이 혼나는 것처럼, 집에 있는 나머지 하나를 불러 앉혔다.


 


“얘. 무슨 이런 법이 있니? 얘네들은 빈손으로 친구 송별회 나와서 진탕 마시고 간 거야?”


 


“다들 바쁜데 나와 주는 것만도 고맙죠. 원래 그런 법이에요.”


 


그것도 몰랐느냐는 투다. 별 쓰잘데기 없는 법을 하나 배운 비용치고는 너무 과하다. 눈물로 써서 특급우편으로 부치던 편지를, 이를 갈며 써서 보통우표를 붙여 보냈다.


 


아가, 그 안에서 홍익인간이 되어 나오너라…. 교훈조의 편지를 쓰다 보니, 슬픔에 눈 멀어 잠시 잊고 있던 풍경들이 영화처럼 떠올랐다. 양말 뒤집어 벗어놓기, 속옷 아무데나 던져놓기, 한 번도 닫은 적이 없는 치약 뚜껑, 컵라면 먹은 빈 그릇 침대 밑에 감춰 두기, 벽지에 코딱지 붙여 놓기, 서랍은 빼놓고 장롱 문은 죄다 열어 놓고 학교로 달아나기…. 정말이지 끝이 없었다. 그래. 군대 안 갔으면 어쩔 뻔했냐. 빡세게 고생하고 철들어 나오너라. 네가 긁어 놓고 간 술값은 국립대학 수업료 낸 셈 치겠다. 그렇게 나를 위로했다. 당사자가 들으면 화를 내겠지만, 눈 깜짝할 사이에 제대 날짜가 코 앞으로 다가왔다. 저로선 소회가 남달랐는지 ‘사랑하는 부모님’으로 시작하는 긴 편지를 써서 보내왔다. 비싼 수업료 내가며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외치고 싶었던 내 소박한 꿈은 이대로 물거품이 되고 마는 것인가. 대략의 편지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언젠가 돈을 많이 벌어 엄마 손에 꼭 롤스로이스 키를 쥐어 드릴게요.(이런 약속이 적힌 편지가 서랍에 도대체 몇 장이던가. 이미 명차가 다섯 대, 노후를 보장해 줄 빌딩이 두 채, 완두콩만 한 다이아몬드 반지까지. 철없이 좋아했는데, 확정일자가 없는 이런 약속보다 오늘 홍삼 캔디라도 한 통 받아 먹는 게 낫다는 생각이 갑자기 스쳤다) …병장이 되고 보니 저도 많이 편해졌어요. 내무반에서 내 맘대로 방귀를 뀌다 보니, 늘 춥고 어두운 복도로 나가 해결해야 했던 이등병 시절이 떠오르네요. 참, 후임들이 얼마나 착한지 몰라요. 누워 있으면 얼음을 동동 띄운 물에 스트로를 꽂아서 입에 대주고 양말을 거꾸로 벗어던져 놓으면 가지런히 개켜 놓는답니다.(엄습하는 이 불안감의 정체는 뭘까?) 요즘 저는 거의 산유국의 왕자처럼 지내고 있어요. 사랑하는 엄마. 그러니 저에 대해선 너무 걱정 마세요….














■ 필자 소개


 




정미경(소설가)


1960년에 경남 마산에서 태어나 이화여대 영문과를 졸업했다. 198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희곡 부문에「폭설」이, 2001년 <세계의 문학> 소설 부문에「비소 여인」이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2002년『장밋빛 인생』으로 오늘의 작가상을, 2006년『밤이여, 나뉘어라』로 이상문학상을 수상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2173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1573
2185 상사병(上司病) 바람의종 2009.05.21 6761
2184 모과꽃 - 도종환 (148 - 끝.) 바람의종 2009.03.29 6753
2183 냉이꽃 한 송이도 제 속에서 거듭 납니다 바람의종 2008.04.11 6752
2182 「호세, 그라시아스!」(소설가 함정임) 바람의종 2009.06.22 6745
2181 건강과 행복 風文 2015.02.14 6744
2180 최고의 유산 바람의종 2008.10.11 6743
2179 어머니의 사재기 바람의종 2007.04.13 6734
2178 새로운 곳으로 떠나자 바람의종 2012.12.31 6733
2177 맑고 좋은 생각으로 여는 하루 바람의종 2007.06.05 6732
2176 들꽃 나리 . 2007.06.26 6719
2175 행복을 만드는 언어 風文 2015.02.09 6719
2174 상상력 바람의종 2009.02.17 6716
2173 좋아하는 일을 하자 바람의종 2010.03.27 6709
2172 봄은 소리 없이 옵니다. - 도종환 (140) 바람의종 2009.03.14 6708
2171 이웃이 복이다 바람의종 2011.11.10 6708
2170 인생은 서로 고마워서 산다 바람의종 2007.12.18 6702
2169 직관 바람의종 2009.05.08 6702
2168 자신있게, 자신답게 風文 2014.12.15 6700
2167 기다려야 할 때가 있다 바람의종 2012.07.02 6696
2166 평화의 장소 바람의종 2012.12.27 6694
2165 베토벤의 산책 風文 2015.02.17 6692
2164 기적의 탄생 바람의종 2008.09.22 6690
2163 지식 나눔 바람의종 2011.12.22 6686
2162 문학대중화란 - 안도현 바람의종 2008.03.15 6685
2161 나는 너에게 희망의 씨앗이 되고 싶다 바람의종 2012.06.12 66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