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952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작나무 - 도종환

북유럽이나 눈이 많이 내리는 추운 지방에서는 자작나무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껍질이 희고 옆으로 얇게 벗겨지며 키가 큰 나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북의 깊은 숲에서 자라는 나무입니다. 자작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는 추운 삼림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내성적이고 과묵하다고 합니다. 자작나무 숲은 보기에는 좋지만 너무 추워서 사람들이 많이 살지 않습니다.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수렵어로로 어렵게 생활을 이어가던 습성이 남아 있어서 그런지 고독과 사적 자유를 즐기고 술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무슨 일이든 서두르지 않으며 타인과도 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산다고 합니다.
저도 언젠가 자작나무를 보며 이런 시를 쓴 적이 있습니다.

자작나무처럼 나도 추운 데서 자랐다
자작나무처럼 나도 맑지만 창백한 모습이었다
자작나무처럼 나도 꽃은 제대로 피우지 못하면서
꿈의 키만 높게 키웠다
내가 자라던 곳에는 어려서부터 바람이 차게 불고
나이 들어서도 눈보라 심했다
그러나 눈보라 북서풍 아니었다면
곧고 맑은 나무로 자라지 못했을 것이다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몸짓 지니지 못했을 것이다
외롭고 깊은 곳에 살면서도
혼자 있을 때보다 숲이 되어 있을 때
더 아름다운 나무가 되지 못했을 것이다

---졸시 「자작나무」전문

저는 자작나무를 보면서 희고 맑은 빛깔의 나무지만 한편으론 창백한 모습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꽃은 제대로 피우지 못하면서 꿈의 키만 높게 키운 나무라는 생각도 했습니다. 그 모습이 나와 같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어려서부터 추운 데서 자란 모습이 저하고도 비슷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자작나무는 눈보라와 북서풍이 아니었다면 희고 곧고 맑은 나무로 자라지 못했을 겁니다. 사는 동안 내내 그치지 않던 추위와 혹독한 환경 때문에 그렇게 아름다운 나무가 되었는지도 모릅니다. 소나무처럼 독야청청하기보다 옆의 나무를 찾아가 숲을 이루고 있을 때 자작나무는 더 아름답습니다.

자작나무가 많은 북유럽의 추운 지방에 사는 사람들도 겉으로 보면 말이 없고 폐쇄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생각이 깊다고 합니다. 수다를 떨거나 호들갑스럽지 않은 대신 성격이 차분하다고 합니다. 허세를 부리거나 자신을 과장하지 않고 정직하다고 합니다. 지리적 환경적 영향으로 끈기가 있고, 쉽게 무너지지 않는 정신력을 지니고 있으며, 자립심과 독립심이 강하다고 합니다. 그렇게 해야 살아남을 수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눈을 감고 눈이 가득 쌓인 숲속의 눈부시게 희디흰 자작나무들을 생각합니다. 이 겨울, 고독하지만 서두르지 않고 차분하게 그 고독과 추위 속에서 안으로 깊어져 가고 있는 사람들을 생각합니다.



/도종환 시인


  1.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Date2023.02.04 By風文 Views12273
    read more
  2. 친구야 너는 아니

    Date2015.08.20 By風文 Views101657
    read more
  3. 쉬어가라

    Date2012.05.18 By바람의종 Views9045
    Read More
  4. 좋은 생각, 나쁜 생각

    Date2008.10.22 By바람의종 Views9041
    Read More
  5. 엄마의 기도상자

    Date2013.02.14 By바람의종 Views9034
    Read More
  6. 어떤 이가 내게 정치소설가냐고 물었다 - 이외수

    Date2008.12.28 By바람의종 Views9018
    Read More
  7. 사랑해요 엄마

    Date2017.01.02 By風文 Views8998
    Read More
  8. 다다이스트가 되어 보자!

    Date2008.08.19 By바람의종 Views8997
    Read More
  9. 그대에게 의미있는 일

    Date2012.12.17 By바람의종 Views8996
    Read More
  10. 진흙 속의 진주처럼

    Date2008.12.23 By바람의종 Views8991
    Read More
  11. 간절하지 않으면 꿈꾸지 마라

    Date2013.03.13 By윤안젤로 Views8984
    Read More
  12. 하늘 같은 지도자보다 바다 같은 지도자

    Date2013.04.19 By윤안젤로 Views8982
    Read More
  13. 우기 - 도종환 (48)

    Date2008.07.26 By바람의종 Views8980
    Read More
  14. 위대한 당신의 위대한 판단

    Date2012.12.21 By바람의종 Views8957
    Read More
  15. 자작나무 - 도종환 (127)

    Date2009.02.06 By바람의종 Views8952
    Read More
  16. 8.15와 '병든 서울' - 도종환 (57)

    Date2008.08.19 By바람의종 Views8933
    Read More
  17. 아는 만큼 보인다?

    Date2014.08.06 By風文 Views8919
    Read More
  18. '남의 떡이 더 커 보인다'

    Date2013.01.10 By바람의종 Views8910
    Read More
  19. 그대 생각날 때면

    Date2015.08.09 By風文 Views8906
    Read More
  20. 그들의 뒤를 따라가 보자

    Date2008.03.06 By바람의종 Views8904
    Read More
  21. '느낌'

    Date2014.08.12 By風文 Views8901
    Read More
  22. 창밖의 눈

    Date2013.01.25 By바람의종 Views8899
    Read More
  23. 개 코의 놀라운 기능

    Date2008.05.08 By바람의종 Views8889
    Read More
  24. 원초적인 생명의 제스처, 문학

    Date2008.05.06 By바람의종 Views8888
    Read More
  25. 이장님댁 밥통 외등

    Date2008.07.04 By바람의종 Views8882
    Read More
  26. 카프카의 이해: 먹기 질서와 의미 질서의 거부

    Date2008.08.19 By바람의종 Views8868
    Read More
  27. 내 사랑, 안녕!

    Date2014.08.11 By風文 Views886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