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224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더기 무더기 모여 저희끼리 서로 의지하고 끌어안은 채 추위를 견디는 애기 들국화가 곱다. 그런 애기 들국화나 고갯길에 피어 있는 보랏빛 작은 구절초 그들이 보여주는 애틋한 모습을 보고 있으면 가슴이 싸아해져 온다.

천상병 시인은

"산등성이 넘는 길 / 애기 들국화 // 가을은 다시 올까 / 다시 올테지 / 나와 네 외로운 마음이 / 지금처럼 / 순하게 겹친 / 이 순간이"

이렇게 애기 들국화를 보고 노래했다. 가을이야 계절이 바뀌고 해가 지나면 다시 오는 거지만 나와 네 외로운 마음이 애기 들국화 잎들처럼 그렇게 순하게 겹쳐져 있던 그런 가을은 정말 다시 오는 것일까를 시인은 묻고 있는 것이다. 매년 들국화를 대하면서 사실 한 번도 들국화에 대해서 내가 느끼는 남다르게 애틋한 심정을 글로 다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어제는 건널목 옆 빈터에 차를 세우고 전봇대 너머 들판 끝으로 붉게 타오르는 노을을 보았다. 가끔씩 느리게 지나가는 화물차 사이사이로 하늘은 주홍색 장작불꽃을 피우고 있는 것 같았다. 그렇게 타오르다 구름이 먼저 조금씩 어두워지고 나중에는 불에 타던 것들이 사위는 불꽃과 함께 검게 변하며 재가 되는 것처럼 하늘도 그렇게 거대하게 타다가 재가 되는 풍경을 지켜보았다. 그 속에서 사리처럼 반짝이며 나타나는 별을 보며 죽어버린 하늘에서 다시 솟아나는 목숨의 의미를 생각하였다. 그러나 그 느낌을 글로 다 표현하지 못하고 돌아왔다.

차가운 길가에 옹송거리며 저희끼리 모여 있는 나뭇잎들, 늦가을 저녁 서늘한 밤공기의 느낌, 저무는 저녁 햇살을 받고 서 있는 억새풀의 굽은 어깨, 멀리서 보이는 동네입구 느티나무의 넉넉한 자태, 눈에 갇힌 산골마을의 외딴 집에서 솟아오르는 굴뚝 연기, 내색하지 않고 속으로만 좋아하던 사람의 손을 처음 잡았을 때 손안에 쏙 들어오는 살의 감촉, 세상에는 글로 다 표현이 되지 않는 느낌들이 많다. 글 쓰는 사람이지만 정말 그것만은 아직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였다고 생각하는 그런 것들이 있다.


'씨크릿 가든'의 어느 부분 또는 그리그의 '솔베이지 노래' 첫 두 소절을 듣다가 여기서 그만 생을 멈추었으면 하는 생각이 드는 때가 있다. 앞으로 더 잘 살 것 같지 않아서, 남은 날들 그저 때 묻고 부끄럽고 욕되게 살다가 갈 것만 같아서 차라리 이쯤에서 제 살을 깎아 먹고 사는 삶을 멈추어 버리는 게 어떨까 그런 생각이 드는 날이 있다. 그러나 더 선명하게 그 느낌 그 이유를 글로 표현하려고 해도 잘 표현되지 않는다. 가슴을 후려치던 피아노 소리의 느낌, 그 낱낱의 소리들을 따라가다 초겨울의 낙엽처럼 길가에 마구 뒹굴고 말던 내 마음이 글로는 하나도 표현되지 않을 때가 있다.

아, 어쩌면 좋은가. 글을 쓰는 일이 직업이 되어 있는데도 글로 다 표현하지 못하는 것들이 너무나 많으니.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1995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1434
2756 59. 큰 웃음 風文 2021.11.05 525
2755 5분 글쓰기 훈련 風文 2015.01.20 6915
2754 5분 청소 바람의종 2010.10.04 3301
2753 60조 개의 몸 세포 風文 2023.07.22 553
2752 6개월 입양아와 다섯 살 입양아 風文 2023.01.10 633
2751 6세에서 9세, 66세에서 99세까지 風文 2013.07.09 10569
2750 6초 포옹 風文 2015.07.30 8425
2749 8,000미터 히말라야 산 바람의종 2011.11.14 3752
2748 8.15와 '병든 서울' - 도종환 (57) 바람의종 2008.08.19 8933
2747 80대 백발의 할머니 風文 2023.08.28 732
2746 80세 노교수의 건강 비결 두 가지 風文 2024.03.27 572
2745 9. 아테나 風文 2023.10.18 688
2744 <죽은 시인의 사회> 中 바람의종 2008.02.23 8544
2743 AI 챗지피티ChatGPT가 갖지 못한 것 風文 2024.02.08 602
2742 GOD 바람의종 2011.08.07 3144
2741 Gustav Klimt and the adagietto of the Mahler 5th symphony 바람의종 2008.03.27 14010
2740 Love is... 風磬 2006.02.05 18052
2739 solomoon 의 잃어버린 사랑을 위하여(17대 대선 특별판) 바람의종 2007.12.20 8240
2738 TV에 애인구함 광고를 내보자 바람의종 2008.09.25 9734
2737 ‘옵아트’ 앞에서 인간은 천진난만한 아이가 된다! 바람의종 2007.08.15 46240
2736 「"에라이..."」(시인 장무령) 바람의종 2009.07.06 7775
2735 「1997년도라는 해」(시인 김영남) 바람의종 2009.07.29 7963
2734 「2호차 두 번째 입구 옆자리」(시인 차주일) 바람의종 2009.07.06 9286
2733 「개는 어떻게 웃을까」(시인 김기택) 바람의종 2009.05.28 10980
2732 「개업식장이 헷갈려」(시인 이대의) 바람의종 2009.08.03 78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