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126 추천 수 3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로마네스크, 고딕 양식 등은 유럽의 경관을 대표하는 양식들이다. 이들은 금박, 은박 등의 화려한 재료를 소재로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촛불과 빛을 이용한 효과로 미술사에서 보기 드문 장관을 연출한다. 이러한 중세 미술의 기반이 되는 철학은 무엇이었을까? 감각론으로서의 미학의 간략한 역사를 통해 살펴보자.
 







어떤 대상의 속성을 알려면 우리가 그것을 느끼는 감각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감각론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에게서 본격적으로 얘기가 된다. 그는 감각을 ‘영혼의 기관’이라 불렀다. 영혼을 위한 수단이란 것이다. 그리고 시각, 청각, 후각, 미각의 네 가지 요소가 감각을 구성하는 것이라 보았다. 그는 시각을 매우 중요한 특권적인 것으로 보았으며, 촉각은 다른 기관과 다르게 그것에 해당하는 기관이 없다는 이유로 따로 분류하지 않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네 가지 요소에 촉각을 더해서 다섯 개의 감각론을 주장하고 이들을 위계적으로 분류했다. 또 기존에 능동적인 지각으로 생각되던 감각을 수용기관으로 규정하고, 감각을 느끼는 것은 직접 접촉을 통하는 것이 아니고, 매질을 통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감각론은 중세로 넘어가면서 변화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을 보면 중세 감각론의 특징이 잘 드러나고 있다. 여기서 그는 다섯 가지 감각을 은유와 비유, 상징의 수단을 갖고 변주하며 신을 찬양한다. 영원 불변하는 초월적인 아름다움은 신을 통해서 드러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의 은총, 신의 섭리를 읽어야 한다는 것이 아우구스티누스에 와서 변화된 중세 감각론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세 감각론은 이중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이 창조한 현재는 한편 아름다운 곳이지만, 단지 스쳐지나가는 곳일 뿐이다. 때문에 신이 창조한 현실 이면에 있는 신의 섭리를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 것이다. 그래서 다섯 가지 감각을 통해 지각된 세상에 대해서 경계하는 한편, 다섯 가지 감각을 육체를 떠난 정신화 된 형태로 신에게 바치는, 초월적인 세계에 주목하게 됐다.












또한 초월적인 세계를 표현하는 재료에 있어서 매우 세속적이고 감각적인 재료 취향을 보여주었다. 즉, 초월적 세계라는 형이상학을 현실에서 표현해야 하는 과제가 떨어진 미술가들이 결국 물질이라는 재료를 갖고 작업을 해야 했고, 여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해 낸 것이 바로 금박, 은박 등 광채가 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라 생각한 것이다. 따라서 가장 감각적이고 관능적이면서, 초월적인 해석이 붙는다는 것. 이것이 중세 감각론을 보는 중요한 포인트라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배경에서 나타난 중세 예술은 결국 색채가 화려한 예술이 되었다. 고대 그리스의 조각이나 회화가 형(形)을 중요시 했던데 반해, 굉장히 감각적인 색 표현을 통해서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초월하는 신학적 의미, 종교적 의미, 초월적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예컨대 어두운 로마네스크에서 촛불의 빛이 뻗어 나오는 효과라던가, 스테인드 글라스를 설치하여 자연 채광을 활용한 빛의 향연은 대단히 감각적인 효과를 내면서 어떤 초월적 세계를 암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2339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No Image 12Jul
    by 바람의종
    2008/07/12 by 바람의종
    Views 6395 

    생각의 집부터 지어라

  4. 왕이시여, 어찌 이익을 말씀하십니까?

  5. No Image 09Jul
    by 바람의종
    2008/07/09 by 바람의종
    Views 6977 

    후배 직원을 가족같이 사랑하라

  6. No Image 04Jul
    by 바람의종
    2008/07/04 by 바람의종
    Views 8882 

    이장님댁 밥통 외등

  7. No Image 03Jul
    by 바람의종
    2008/07/03 by 바람의종
    Views 6544 

    얼굴빛

  8. No Image 01Jul
    by 바람의종
    2008/07/01 by 바람의종
    Views 7824 

    雨中에 더욱 붉게 피는 꽃을 보며

  9. No Image 27Jun
    by 바람의종
    2008/06/27 by 바람의종
    Views 6073 

    빈 병 가득했던 시절

  10. No Image 24Jun
    by 바람의종
    2008/06/24 by 바람의종
    Views 7714 

    그 시절 내게 용기를 준 사람

  11. No Image 23Jun
    by 바람의종
    2008/06/23 by 바람의종
    Views 7821 

    여린 가지 / 도종환

  12. 길 떠나는 상단(商團)

  13. No Image 21Jun
    by 바람의종
    2008/06/21 by 바람의종
    Views 7228 

    목민관이 해야 할 일 / 도종환

  14. No Image 19Jun
    by 바람의종
    2008/06/19 by 바람의종
    Views 7257 

    우산

  15. No Image 13Jun
    by 바람의종
    2008/06/13 by 바람의종
    Views 7142 

    지금 아니면 안 되는 것

  16. 화려한 중세 미술의 철학적 기반

  17. No Image 11Jun
    by 바람의종
    2008/06/11 by 바람의종
    Views 5691 

    매일 새로워지는 카피처럼

  18.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8/06/09 by 바람의종
    Views 7957 

    촛불의 의미 / 도종환

  19. No Image 07Jun
    by 바람의종
    2008/06/07 by 바람의종
    Views 6896 

    이로움과 의로움 / 도종환

  20. No Image 02Jun
    by 바람의종
    2008/06/02 by 바람의종
    Views 7943 

    등 / 도종환

  21. No Image 31May
    by 바람의종
    2008/05/31 by 바람의종
    Views 8375 

    폐허 이후 / 도종환

  22. No Image 31May
    by 바람의종
    2008/05/31 by 바람의종
    Views 6961 

    일상의 기회를 만들기 위해

  23. No Image 29May
    by 바람의종
    2008/05/29 by 바람의종
    Views 8782 

    가장 큰 재산 / 도종환

  24. 느낌의 대상에서 이해의 대상으로?

  25. No Image 27May
    by 바람의종
    2008/05/27 by 바람의종
    Views 5277 

    매너가 경쟁력이다

  26. No Image 26May
    by 바람의종
    2008/05/26 by 바람의종
    Views 7264 

    오늘 다시 찾은 것은

  27. No Image 23May
    by 바람의종
    2008/05/23 by 바람의종
    Views 10242 

    초록 꽃나무 / 도종환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