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807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엉뚱스러운 문학교실」(시인 김종태)   2009년 7월 3일_마흔여덟번째





 





대학교 문학 강의실에서 젊은 친구들과 함께 시와 소설을 공부하는 일은 오래된 나의 즐거움이다. 나는 학생들에게 문학작품 감상방법을 지도할 때 어떤 정답을 가르쳐 주는 일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작품 해석이란 ‘오독의 역사’일 것이라는 확신을 품은 나는 수강생들에게 교과서적인 것에 얽매이지 않는 새 해석을 해 보라고 권유한다. 그러나 고등학교 중간 기말고사나 대학수학능력시험에 길들어 온 수강생들에게서 참신한 해석을 기대하는 일은 다소 무모한 일일지도 모른다. 드문 일이지만 생뚱맞으면서도 그럴듯한 설을 풀어 대는 친구를 만나면 모두들 박장대소를 하게 된다. 그중 한 가지 일화를 소개하고자 한다.


 


김수영의 대표시 <풀>에 대해서 두 명의 학생들에게 발표를 시킨 후 그 발표문에 관하여 토론을 하는 시간이었다. 처음 발표를 맡은 A학생은 이 시에 나오는 “풀”과 “바람”의 상징에 대해서 일반론적인 해석을 잘 정리해 주었다. 그 학생의 요지는 “풀”은 민중을 상징하며 “바람”은 독재 권력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A학생은 김수영이 살았던 시대의 역사적인 문제들까지 조목조목 언급했고, 거기에 덧붙여 그의 다른 시 <폭포>, <껍데기는 가라> 등까지 인용하면서 이미 중등학교 문학 참고서에서 많이 들어본 이야기를 잘 풀이해 주었기에 큰 오류를 범한 것 같지는 않았다.


 


두 번째 발표자인 B학생은 앞서의 발표 내용보다는 새로운 이야기를 가지고 나왔다. 그 발표 요지는 “풀”과 “바람”의 관계를 대립 구조로 보지 말고 상호보완으로 보자는 것이었다. “풀”과 “바람”은 서로 도와주는 관계에 있으며 서로가 서로에게 존재함으로써 상대의 존재 의의를 부각시켜 준다는 내용이었다. 그는 “발목” “발밑”이라는 어휘 역시 암울한 현실을 상징한다고 볼 수 없다고 강력히 주장하였다. 지도하는 입장에 있던 나는 두 학생 모두를 칭찬해 주면서 A학생보다는 B학생이 참신성 면에서 더 낫지만 B학생의 견해는 다소 검증되지 않은 점이 있다고 말해 주었다.


 


이렇게 우선 간단한 지적들을 해 준 다음 청중인 다른 학생들에게 더욱 새로운 해석을 해 보라고 했는데, 그 순간 작정을 하고 온 듯 어느 건장한 남학생이 일어나 말하기를 “교수님, 저는 발표한 학형들이 이야기한 것들 모두 다 잘못됐다고 생각해요. <풀>, 이 작품 아주 간단해요. 이 시는 남녀의 정사를 묘사한 시라구요. ‘풀’은 여자구요, ‘바람’은 남자예요. 이렇게 보면 ‘풀’이 눕고 또 울고 ‘바람’보다 빨리 눕다가도 ‘바람’보다 빨리 일어난다는 말, 너무 당연한 말 아닌가요? ‘풀’이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는 말 당연하잖아요? 여자들이란 원래 이렇게 주도면밀하고 인내심 있는 존재 아닐까요? 이렇게 위대하고 거룩한 존재가 여성 아니겠습니까?”


 


그 날 그 강의실에서 이 생뚱맞고 용기 있는 한 남학생의 너무나도 새롭고 충격적인(?) 해석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한 학생은 단 한 명도 없었다. 이 남학생이 자신의 생각을 다 풀어 낸 후 한참 동안 강의실에는 폭소가 넘쳐흘렀다. 그 웃음 소리를 나는 인위적으로 멈추게 하지 못했다. 꽤 오랜 세월이 지났지만 나는 아직도 이 남학생의 새로운 이야기를 잊을 수가 없다. 어쩌면 이 해석이 가장 정답(?)에 가까운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문학작품에 대한 해석에는 정답이란 게 영원히 없으니 이것만 두고 옳다고 말할 수도 없는 노릇 아닌가! 이런 엉뚱한(?) 해석들을 자꾸 내놓다 보면 어느 날 작품의 정수리를 꿰뚫는 날카로운 비평도 생겨날 것이다.

















■ 필자 소개


 




김종태(시인)


1998년 <현대시학>으로 등단. 현재 계간 <시평>, 격월간 <정신과표현> 편집위원. 호서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겸임교수 및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저서 『한국현대시와 전통성』『정지용 시의 공간과 죽음』『문학의 미로』『떠나온 것들의 밤길』등.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0635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0040
352 「호세, 그라시아스!」(소설가 함정임) 바람의종 2009.06.22 6724
351 「헤이맨, 승리만은 제발!」(소설가 함정임) 바람의종 2009.06.17 7613
350 「할머니가 다녀가셨다!」(시인 정끝별) 2009년 5월 25일_스무번째 바람의종 2009.05.25 6916
349 「칠번출구」(시인 정끝별) 2009년 5월 21일_열여덟번째 바람의종 2009.05.24 7759
348 「친구를 찾습니다」(소설가 한창훈) 바람의종 2009.06.09 8353
347 「충청도 말에 대하여」(소설가 한창훈) 바람의종 2009.06.09 6436
346 「출근」(시인 김기택) 2009년 5월 22일_열아홉번째 바람의종 2009.05.24 8089
345 「추어탕의 맛」(시인 조용미) 바람의종 2009.07.13 9264
344 「첫날밤인데 우리 손잡고 잡시다」(시인 유안진) 바람의종 2009.05.17 8749
343 「진한 눈물의 감동 속에도 웃음이 있다 」(시인 신달자) 바람의종 2009.05.20 7914
342 「진수성찬」(시인 이상섭) 바람의종 2009.08.11 6607
341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시인 정끝별) 바람의종 2009.06.09 6091
340 「죽은 연습」(시인 서규정) 바람의종 2009.07.21 7302
339 「인생재난 방지대책 훈련요강 수칙」(시인 정끝별) 바람의종 2009.06.01 7247
338 「이런 웃음을 웃고 싶다」(시인 김기택) 바람의종 2009.05.20 8062
337 「의뭉스러운 이야기 3」(시인 이재무) 바람의종 2009.08.07 6841
336 「의뭉스러운 이야기 2」(시인 이재무) 바람의종 2009.08.06 7262
335 「의뭉스러운 이야기 1」(시인 이재무) 바람의종 2009.08.05 6916
334 「웃음꽃이 넝쿨째!」(시인 손정순) 바람의종 2009.07.31 8429
333 「웃음 배달부가 되어」(시인 천양희) 바람의종 2009.06.12 5991
332 「웃음 3」(소설가 정영문) 바람의종 2009.06.25 5823
331 「웃음 2」(소설가 정영문) 바람의종 2009.06.19 5748
330 「웃음 1」(소설가 정영문) 바람의종 2009.06.16 6632
329 「웃는 여잔 다 이뻐」(시인 김소연) 1 바람의종 2009.06.29 9234
328 「웃는 동물이 오래 산다」(시인 신달자) 바람의종 2009.05.15 77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