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35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충청도 말에 대하여」(소설가 한창훈)  2009년 6월 2일_스물네번째





 





(비참하고 슬픈 이야기이긴 하지만)


 


몇몇 사람들 사이에는 5, 6공 시절, 운동권 대학생 잡아들여 취조 고문을 하던 이의 사적인 증언이 떠돌았다. 그자의 말에 의하면 삼남(경상 전라 충청)의 특성이 취조실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는 것이다. 먼저 경상도 학생. 잡아 족치면 한번에 다 분단다. 그 다음 전라도 학생. 족친 만큼만 분단다. 다음날 조금 더 조져 보면 그만큼만 더 나온단다. 가장 독한 애들은 바로 충청도. 아무리 족쳐도  


 


“물류. 그게 아뉴.”


 


소리만 한단다. 빨리 안 불어? 아무리 때리고 거꾸로 매달아도, 뭔 소리를 하는지 당췌 물르겄슈, 잘못 아신규, 소리만 해서 결국 내보내고 말았단다. 뒷날 알고 보니 내보낸 학생이 그들이 찾고 있던 사람이란다.  


 


그런데 그 말을 들은 충청도 출신 어느 시인 왈.


 


“독해서 그러기버덤은 갸도 말을 하려고 했을 겨. 막 실토하려고 하는데도 말 안한다고 두들겼을 겨. 그러니 원제 말을 햐.”


 


삼남의 기질 차이는 말투에서 가장 극명하게 나타난다. 경상도 말은 왜 그렇게 짧고 공격적일까. 답은 산이 높고 날카로워서. 어떤 방문자라도 불쑥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이미 눈앞이라 재빠르게 대응할 수밖에 없어서.


 


전라도는 리듬을 타야 한다. 산이 낮지는 않지만 구릉이 많고 완만하여 그렇다고 본다. 그럼 충청도는? 평야가 넓은 곳이다. 모르는 이가 저만치에서 나타나면 궁리하기 시작한다. 삼국시대부터 그랬다. 침범이 잦았던 탓에 저것들이 고구려일까, 신라일까, 우리 백제일까, 정보가 모아질 때까지 판단을 유보한다. 그러기에 직설이 없다.


 


충청도 말이 느린 것은 생각을 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대답 없이 가만히 있는 것도 그 이유이다. 직설이 없다 보니 비유가 발달했다.  


 


충청도를 배경으로 비유의 언어를 가장 뛰어나게 구사한 분이 돌아가신 명천 이문구 선생이다. <보기 싫은 새끼>가 충청도 언어로 가면 <장마철에 물걸레 같은 새끼>가 된다.


 


일전에 친구들과 술집엘 갔다. 안주가 마땅찮아 주저하고 있는데 빨리 안 시킨다고 안주인이 구시렁거렸다. 내가 나서서 한마디 했다.    


 


“뱃속에 간도 있고 쓸개도 있고 곱창도 있고 다 있는데 뭐하러 안주 먹어요. 술만 넣어 주면 되지.”


 


이문구 선생의 단편 <우리동네 김씨>에 나오는 말이다.


 


이정록 시인도 충청도 출신이다. 그가 최근에 아들 운동화를 빨다가 갑자기 무릎을 치며 웃었다. 자기가 아들녀석 나이였을 때 뭔가를 잘못해서 선친께 욕을 먹은 적이 있었다. <저 운동화나 씹어 먹을 자식>이 그건데 무슨 내용인지 오래도록 알지 못하다가 아들 운동화 빠는 순간에 깨달은 것이다(도대체 무슨 말일까. 힌트. 댓돌에 신발 벗어 놓으면 누가 와서 이빨로 씹을까).


 


요즘 그는 아들이 잘못했을 때 해줄, 상처가 되지 않고 되레 웃음이 나는 그런 욕을 만들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 필자 소개


 




한창훈(소설가)



1963년 전남 여수에서 태어났다. 소설집 『바다가 아름다운 이유』『가던 새 본다』『세상의 끝으로 간 사람』『청춘가를 불러요』가 있다. 산문소설 『바다도 가끔은 섬의 그림자를 들여다 본다』와 장편소설『홍합』『섬, 나는 세상 끝을 산다』『열 여섯의 섬』등이 있다. 동화 『검은섬의 전설』과 공동 산문집 『깊고 푸른 바다를 보았지』를 펴냈다. 제3회 한겨레문학상을 받았다.


  1.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Date2023.02.04 By風文 Views6034
    read more
  2. 친구야 너는 아니

    Date2015.08.20 By風文 Views94973
    read more
  3. 「웃음 배달부가 되어」(시인 천양희)

    Date2009.06.12 By바람의종 Views5949
    Read More
  4. 「누구였을까」(소설가 한창훈)

    Date2009.06.12 By바람의종 Views5246
    Read More
  5. 젊었을 적의 내 몸은

    Date2009.06.12 By바람의종 Views5793
    Read More
  6. 지금의 너

    Date2009.06.11 By바람의종 Views7345
    Read More
  7. 「부모님께 큰절 하고」(소설가 정미경)

    Date2009.06.10 By바람의종 Views6600
    Read More
  8. 뿌리를 내릴 때까지

    Date2009.06.10 By바람의종 Views5355
    Read More
  9. 「똥개의 노래」(소설가 김종광)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6569
    Read More
  10. 아이의 웃음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6397
    Read More
  11. 「친구를 찾습니다」(소설가 한창훈)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8257
    Read More
  12. 1cm 변화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5110
    Read More
  13. 우리 사는 동안에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5741
    Read More
  14. 「그녀 생애 단 한 번」(소설가 정미경)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10042
    Read More
  15. 나무 명상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5857
    Read More
  16. 「내 이름은 이기분」(소설가 김종광)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8422
    Read More
  17. 「스페인 유모어」(시인 민용태)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7889
    Read More
  18. '안심하세요, 제가 있으니까요'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3791
    Read More
  19.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시인 정끝별)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6021
    Read More
  20. 「충청도 말에 대하여」(소설가 한창훈)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6354
    Read More
  21. 지난 3년이 마치 꿈을 꾼 듯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5493
    Read More
  22. 「인생재난 방지대책 훈련요강 수칙」(시인 정끝별)

    Date2009.06.01 By바람의종 Views7143
    Read More
  23. 소망의 위대함을 믿으라

    Date2009.06.01 By바람의종 Views5271
    Read More
  24. 역경

    Date2009.05.30 By바람의종 Views5667
    Read More
  25. 먼 길을 가네

    Date2009.05.29 By바람의종 Views5383
    Read More
  26. 「개는 어떻게 웃을까」(시인 김기택)

    Date2009.05.28 By바람의종 Views10900
    Read More
  27. 「그 모자(母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Date2009.05.28 By바람의종 Views605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