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412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허균의 조카 허친이 집을 짓고서 통곡헌(慟哭軒)이란 이름의 편액을 걸었습니다. 그러자 사람들이 크게 비웃으며 세상에는 즐길 일이 얼마나 많거늘 무엇 때문에 곡(哭)이란 이름을 내세워 집에 편액을 건단 말이냐 하며 비웃었습니다.
그러자 허친이 이렇게 대꾸하였습니다.

"저는 이 시대가 즐기는 것은 등지고, 세상이 좋아하는 것은 거부합니다. 이 시대가 환락을 즐기므로 저는 비애를 좋아하며, 이 세상이 우쭐대고 기분 내기를 좋아하므로 저는 울적하게 지내렵니다. 세상에서 좋아하는 부귀나 영예를 저는 더러운 물건인 양 버립니다. 세상에서 제일 미워하는 것은 언제나 곡하는 행위입니다. 그래서 저는 곡이란 이름을 내세워 제집의 이름을 삼았습니다."

말하자면 시대의 비천함과 세태의 천박함을 보면서 통곡하는 마음으로 살아간다는 저항의 마음을 편액에 담아 표현한 것입니다. 잘못된 세상과 불화하며 맞서고자 하는 사연을 듣고 허균은 조카를 비웃은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국가의 일은 날이 갈수록 그릇되어 가고, 선비의 행실은 날이 갈수록 허위에 젖어들어가며, 친구들끼리 등을 돌리고 저만의 이익을 추구하는 배신행위는 길이 갈라져 분리됨보다 훨씬 심하다. 또 현명한 선비들이 곤액(困厄)을 당하는 상황이 막다른 길에 봉착한 처지보다 심하다. 허친이 통곡한다는 이름의 편액을 내건 까닭이 여기에 있을 것이다."

허균은 타락한 한 시대의 모습이 말세에 가깝다고 비판하며 이렇게 직설적으로 말하였습니다. 그런 허균이 "국가의 일은 날이 갈수록 그릇되어 가고" 있는 지금의 정치 사회 상황을 보면 똑같이 말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부자들이 가진 것을 지키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는 사회, 가난한 농민들을 등치는 뻔뻔한 행정, 역사를 자기 입맛에 맞게 마음대로 뜯어 고치려는 위험한 발상, 근본을 잊은 채 경쟁의 채찍만을 휘두르는 교육, 약자들에게는 추상같고 부자들에게는 너그럽게 적용되는 법률을 보면서 허균 또한 '통곡의 집'이란 편액을 써서 집집마다 나누어 주고 있을 것 같습니다.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5160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4616
260 타인의 입장에 서서 요청하라 風文 2022.10.04 904
259 타인이 잘 되게 하라 風文 2022.05.23 1144
258 타자(他者)의 아픔 風文 2014.10.06 14018
257 탐험가들의 철저한 준비 風文 2023.03.10 1077
256 태교 윤영환 2011.08.09 7558
255 태양 아래 앉아보라 風文 2024.03.27 722
254 태풍의 소리 바람의종 2010.07.30 4094
253 태풍이 오면 바람의종 2009.04.30 6761
252 터놓고 말하고 가슴으로 듣기 바람의종 2011.08.29 5875
251 터닝 포인트 風文 2015.04.28 7535
250 텅 빈 안부 편지 風文 2022.04.28 1088
249 테리, 아름다운 마라토너 바람의종 2008.02.22 8904
248 토굴 수행 바람의종 2011.04.29 4775
247 토끼가 달아나니까 사자도 달아났다 風文 2022.02.24 934
246 토닥토닥 바람의종 2012.09.14 9227
245 토스카니니의 기억력 바람의종 2010.01.27 5494
244 토스카니니의 기억력 風文 2017.11.29 4255
243 통, 통, 통! 어디로 튈지 아무도 몰라 風文 2019.08.30 1025
» 통곡의 집 - 도종환 (95) 바람의종 2008.11.17 7412
241 통장 바람의종 2010.02.20 4932
240 통찰력 바람의종 2009.03.14 7663
239 트라우마 바람의종 2010.09.08 4547
238 튼튼한 사람, 힘없는 사람 風文 2023.01.04 785
237 파도치는 삶이 아름답다 風文 2022.01.12 1167
236 파도치는 삶이 아름답다 風文 2023.10.13 9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