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311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예수님이 오신 뜻


예수님은 따뜻하고 안락한 침대 위에서 태어나지 않으셨다. 짐승이 거처하는 마굿간에서 태어나셨다. 예수님은 예루살렘 같은 세계적인 도시에서 성장하지 않으셨다. 갈릴래아에 위치한 나자렛이란 작은 마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셨다. 나자렛은 구약성서에 한 번도 등장한 적이 없는 시골 변방이었다. 우리가 어느 특정지역 사람을 편견을 가지고 대하듯 그렇게 유대인들이 천하게 바라보는 지역에서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아버지 요셉이 목수였으므로 목수 일을 도우며 젊은 시절을 보냈을 것이다. 예수님은 30년 가까이 무명의 인물로 살았다.

예수님은 당대 사회의 지식인, 종교인, 식민지 지배자의 편에 서지 않으셨다. 정신적으로 병들고 육체적으로 고통 받는 이들을 위해 기적을 행하고, 가난한 사람들의 배고픔을 함께 아파하며, 지식인 계급의 위선과 모순을 지적하고 비판하며, 외세의 폭정과 착취에 시달리고 핍박받는 이들을 위해 기도하였다. 예수님을 따르는 열두 제자 중 대부분이 어부였고, 마태오는 세리였으며 유다는 돈을 좋아하는 이였다. 제자들은 학문이 뛰어나거나 종교적으로 경지에 이른 이들이 아니었다. 베드로는 성격이 급하고 마음이 약했으며, 토마는 보이지 않는 것은 믿지 못하는 인물이었다.

예수님의 주위에는 소외받는 이들, 병든 이들, 여성과 어린이 같은 사회적 약자들, 남들로부터 손가락질 받는 창녀가 모여 있었다. 예수님이 마태오의 집에서 음식을 잡수실 때에 세리와 죄인들도 많이 와서 함께 음식을 먹었다고 마태오복음서에는 기록되어 있다. 그래서 나는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신 것을 참으로 고맙게 생각한다.

차동엽 신부는 예수님이 우리에게 가르쳐 주신 교육의 원리를 다섯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가 사랑의 원리이다. 예수님의 인간에 대한 사랑은 지위 고하, 남녀노소, 부자와 가난한 이들, 정상인과 장애우를 불문하고 모든 사람을 향하였다.

둘째, 가능성의 원리이다. 사람을 과거나 현재의 모습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가능성을 보고 믿어서 교육적 노력을 기울였다. 예수님이 교육시켰던 제자들은 대부분 계발되지 못한 사람들, 충동적인 사람들, 죄인들, 무지와 편견에 빠진 사람들, 불안정한 사람들이었으나 그 제자들은 예수님이 보았던 가능성대로 변화하였다.

셋째, 본보기(Modeling)의 원리이다. 예수님은 스스로가 가르침의 구체적인 모델이었고, 제자들이 예수님에 동화됨으로써 그들의 삶이 변화되게 하였다. 섬김을 가르치기 위해 직접 제자들의 발을 씻겨 주셨다.

넷째, 인격적인 만남의 원리이다. 서로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인격과 인격의 만남은 그 자체로 탁월한 가르침이었다. 유대인들이 상종도 하지 않는 사마리아 여인에 대해 관심과 애정을 갖고 직접 다가가 인격적인 만남을 가졌다.

다섯째, 깨달음의 원리이다. 예수님은 자신의 가르침이 아무리 훌륭하고 진리 그 자체라고 하더라도 그것을 강요하거나, 지시하거나 주입시키려 하지 않았다. 상대방이 스스로 깨달아 변화하도록 인도했다.

우리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얼마나 믿고 따르고 있는 것일까. 마음이 가난한 사람으로 살아가며, 온유하고, 옳은 일에 주리고 목말라 하며, 자비를 베풀고, 평화를 위하여 일하고 있는가. 마음이 깨끗하여 예수님의 제자 되기에 부끄럽지 않으며, 옳은 일을 하다가 박해를 받을지라도 행복하다고 여기고 있는가.




 


J 아리아스 신부는 『내가 믿지 않는 하느님』이라는 책에서 "사려 깊은 사람, 총명한 사람, 조리정연한 이론에 밝은 사람들에 의해서만 이해되는 하느님, 자기 집 문 밖에서는 굶주림과 비참이 심한데 집안에서는 포식하는 부자들로부터 흠숭을 받는 하느님, 계속 약탈하고 비방을 일삼으면서도 미사 참여하러 가는 이들에게 흠숭을 받는 하느님, 인간과 사랑에 빠질 줄 모르는 하느님을 나는 믿지 않는다."고 했다. 우리가 믿는 하느님은 어떤 하느님일까. 우리는 예수님의 어떤 제자일까.



/도종환 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2238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1625
3034 153세 냉동인간이 부활했다? - 냉동인간에 대하여 바람의종 2007.09.19 46796
3033 ‘옵아트’ 앞에서 인간은 천진난만한 아이가 된다! 바람의종 2007.08.15 46240
3032 '푸른 기적' 風文 2014.08.29 39058
3031 사랑이 잔혹한 이유는 에로스 신 부모 탓? 바람의종 2008.03.27 26426
3030 쥐인간의 죄책감은 유아기적 무의식부터? - 강박증에 대하여 바람의종 2007.10.10 25236
3029 행복과 불행은 쌍둥이 형제라고? 바람의종 2007.08.09 22404
3028 세한도(歲寒圖) - 도종환 (125) 바람의종 2009.02.02 21479
3027 희망이란 風文 2013.08.20 19321
3026 현대예술의 엔트로피 바람의종 2008.04.09 18748
3025 '야하고 뻔뻔하게' 風文 2013.08.20 18745
3024 정말 당신의 짐이 크고 무겁습니까? 바람의종 2007.10.10 18641
3023 136명에서 142명쯤 - 김중혁 윤영환 2006.09.02 18347
3022 Love is... 風磬 2006.02.05 18066
3021 그가 부러웠다 風文 2013.08.28 18059
3020 다다이즘과 러시아 구성주의에 대하여 바람의종 2010.08.30 17775
3019 커피 한 잔의 행복 風文 2013.08.20 17535
3018 히틀러는 라디오가 없었다면 존재할 수 없었다 바람의종 2008.08.05 16874
3017 자연을 통해... 風文 2013.08.20 16608
3016 젊은이들에게 - 괴테 바람의종 2008.02.01 16371
3015 흉터 風文 2013.08.28 16328
3014 방 안에 서있는 물고기 한 마리- 마그리트 ‘낯설게 하기’ 바람의종 2007.02.08 15409
3013 길 떠날 준비 風文 2013.08.20 15350
3012 신문배달 10계명 風文 2013.08.19 15343
3011 세계 최초의 아나키스트 정당을 세운 한국의 아나키스트 바람의종 2008.07.24 152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