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01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우리말에 대한 반성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한국어에는 주어나 목적어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단수, 복수의 구분이나 성의 구분, 과거, 현재, 미래의 시제 구분도 그리 철저하지 않다. 그런데 이런 애매한 표현에 대하여 한국인들은 별로 불편이나 곤란을 느끼지 않는 것 같다. 대화 현장에서 이런 불투명성을 고도로 발달한 우리의 눈치, 코치가 보완해 주기 때문일까? "시원섭섭하다"라는 말이 그 사람이 떠나서 후련하다는 것인지 아니면 몹시 아쉽다는 표현인지 분명치 않다. 시큼달큼, 들락날락,  붉으락푸르락, 오락가락 등의 표현도 비빔밥처럼 맛(의미)의 본뜻을 알아내기가 쉽지 않다. 우리말의 "예, 아니오"의 답변을 비롯하여 "그래요"라든가 "그렇지 뭐"라는 긍정적  의사 표시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꺼림칙한 구석이 있다. "집에 갈래?" 라는 물음과 "집에 안갈래?" 라는 물음이 실제에 있어 동의어일 수 있다. 이처럼 물음 자체가 애매한 만큼 답변 또한 모호해질 수밖에 없다. "나도 그렇게  생각하지마는..." , "그 말씀도 일리가 있습니다마는..." , "백번 지당한 말씀이지만..." , "좋기야 좋지만..." 이런 답변에는  말미에 붙는 "-마는(만)"에 무게의 중심이 놓인다 우리말에서 "글쎄요, 생각 좀 해봅시다"라면서 수염을 쓰다듬거나 콧등을 어루만진다면 이는 분명 거절을 뜻한다.

  오랜 세월 농경 문화에 길들여져 온 우리는 이웃과의 화합을 고려하여 거절이나 반대의 뜻을 직설적으로 내뱉지 않는다. 남의 불행에 대해서도 "참 안됐습니다만 그만하길 다행입니다." 라고 위로한다. "불행중 다행"이라든가 "그만하면 됐다"는 표현도 비슷한 유형이다. 우리 정치사에서 지우고 싶은 사건, 곧 12, 12 사태의 해석도 이런 유형이 아닐까. 이 사건이 하필이면 왜 12월 12일에 발생했는지 모르겠다. 태생부터 시비거리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숫자 십이와 동음인 시비는 옳고 그름만을 지칭하지 않고 그 잘잘못을 따지는 다툼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쓰인다. 특히 "시비"라는 말의 중첩어인 "시시비비"는 가타부타나 왈가왈부, 시야비야와 함께 시비가 지속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12, 12사태의 규정으로 말하면 초기 "불가피한"사태에서부터 출발하여 "군사 쿠데타적 사건"을 거쳐 최종적으로 군사반란이라는 엄청난 사건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쿠데타에 붙는 "적"이라는 꼬리표와 반란이라는 용어다. 그 반란이란 것이 한 때 기소 유예 판정을 받았기에 그것이 반란이 아니냐는 또다른 시비거리를 제공하기도  했다.

  우리말에 끼어든 한자어 가운데 이 "적"만큼 활용도가 높은 글자도 드물 듯 하다. 이 애매한 용어가 그만큼 우리 정서에 맞아떨어졌는지는 모르겠으나 어떻든 이 말은 모호한 입장이나 불완전한 식견을 도배질하는 데 단골로 사용된다. "그는 인간적이다"라는 말은 가능해도 "그는 사람적이다"는 말은 불가능하듯이 "적"은 반드시 한자어 뒤에만 붙는다. 그런데 쿠데타라는 서구어(불어)에도 이 접미어를 붙일수 있는지 의문이다. 뿐인가, "귀족적"이라고 하면 실지 귀족은 아니면서 겉으로 귀족 행세를 하는 사람을 빗댄 말이다. 그렇다면 쿠데타적 사건을 실제 쿠데타는 아니면서 이와 유사한,  또는 이에 준하는 사건이라고 해석해야 할까? "글쎄요..." 라면서 콧등이나 쓰다듬으며 고개가 갸웃거려질 대목이다. 굳이 말한다면 적은 영어의 틱(-tic)에 해당하므로 쿠데타적이  아니라 "쿠데타틱"이라 해야 어울리지 않을까? 로맨틱이란 말은 있어도 "로맨스적"이란 말은 없기 때문이다. 한자말 "적"이나  영어의 "틱"에 해당하는 우리말에 "척하다"의 "척"이나  티를 낸다는 "티"가 있다. 그런데 "티, 틱, 적, 척"등은 묘하게도 언어의 국경을 초월하여 의미 뿐 아니라 어형까지도 닮았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한자어 적이 우리말에 들어와 이처럼 마구 쓰이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우리말은 좋게 말하여 완곡 어법이 발달된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완곡 어법이란 일종의 회색적 표현법으로 본의를 흐려 놓는다는 점에서 결코 좋은 표현법은  못된다.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분명히 밝히기는 꺼리는,이러한 언어의 자폐증은 불투명한 표현을 낳는다. "예스냐 노우냐" 또는 "살 것인가 죽을 것인가" 하는 결단은 서양인의 것이고 우리는 어디까지나 "글쎄요, 생각 좀 해봅시다."식의 뜨뜻미지근한 반응을 견지할 뿐이다. 이런 현상을 두고 한국어는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라고  말하기도 한다. 최근 우리 사회가 흑백 논리로 소란스러운 것도 이런 관습이나 고유 정서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적하는 이도 있다. 그런데 인간적인 것까지는 좋으나 "너무나" 인간적이라는 데 문제가 있다. 현대와 같은 산업화, 정보화 사회에서는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밝힐 필요가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이런 인간적인 표현법은 "글쎄요, 생각 좀 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6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2982
245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2984
244 우리의 미의식 2 - "안 미인"과 "못 미인" 바람의종 2008.04.19 3408
243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바람의종 2008.04.17 3196
»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바람의종 2008.04.30 3019
241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바람의종 2008.03.16 4447
240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바람의종 2008.03.18 3790
239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바람의종 2008.03.16 4804
238 우리말의 상상력2 - 4. 먼 눈 뜨기와 천수관음(千手觀音) 바람의종 2010.03.09 8823
237 우리말의 상상력2 - 4. 마음의 귀, 처용의 노래 바람의종 2010.03.02 9519
236 우리말의 상상력2 - 4. 돌아 간 누이를 위한 노래, 제망매가 바람의종 2010.03.07 8820
235 우리말의 상상력2 - 4. 도솔가의 뒤안 바람의종 2010.03.05 8913
234 우리말의 상상력2 - 4. 길 쓸 별의 노래 바람의종 2010.03.04 8388
233 우리말의 상상력2 - 4. 고리모양의 어우름, 한라산 바람의종 2010.03.10 9684
232 우리말의 상상력2 - 4. 경덕왕과 찬기파랑가 바람의종 2010.03.06 9181
231 우리말의 상상력- 4. 원왕생(願往生)의 그리움 바람의종 2010.03.03 10181
230 우리말의 상상력- 4. 원망(怨望)의 노래와 잣나무 바람의종 2010.03.08 9650
229 우리말의 상상력- 4. 금란굴과 지모신(地母神) 바람의종 2010.02.28 10062
228 우리말의 상상력- 3. 집과 수풀 바람의종 2010.02.21 4926
227 우리말의 상상력- 3. 울 안의 복숭아나무, 기다림의 미학(美學) 바람의종 2010.02.23 4301
226 우리말의 상상력- 3. 옷이 날개인가 / 겨레와 한 몸 되기 바람의종 2010.02.15 3210
225 우리말의 상상력- 3. 밥이 하늘 바람의종 2010.02.12 3251
224 우리말의 상상력- 3. 물과 불의 만남 - 생명의 기원 바람의종 2010.02.08 2915
223 우리말의 상상력- 3. 목숨과 어우르기 / 술 바람의종 2010.02.09 3589
222 우리말의 상상력- 3. 금 캐는 마동(薯童) 바람의종 2010.02.22 46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