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93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우리말에 대한 반성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레미콘에 물을 타면(가수) 부실 공사 원인 된다" 최근 도로를 질주하는 레미콘 트럭에 적혀있는 표어다. 별로 새로울 것도, 또 일반인들이 알아서 소용될 것도 없는 이런 문구를 붙이고 다닐 필요가 있을까 생각해본다. 지극히 당연한 일이고 또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당사자들만 명심하고 평소에 잘 지키면 될 일이 아니던가. 금년처럼 "부실 공사 추방"을 소리 높여 외쳐댄 적도 없었다. 공사 현장 어딜가도 "추방 원년"이라는 표지판을 설치하지 않은 곳이 없었다. 성수 대교나 삼풍 백화점 붕괴는 지난 일이라고 접어 두더라도 경부 고속철도 공사가 어떻고 인천공항 공사가 어떻게 하는 소문이 들릴 때마다 이런 구호가 새삼 허망하게만 느껴진다. 지금도 간혹 영업용 택시에서 "친절히 모시겠습니다"라는 표어를 볼 수 있다. 언뜻 보면 그럴싸한 말 같지만 되씹어보면 고약한 구석이 있다.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택시가 손님을 친절히 모시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그동안 손님을 어떻게 모셨기에 이런 표어를 붙이게 되었을까.

  자가용 승용차에도 이와 유사한 스티커를 붙인 적이 있다. 이른바 "내 탓이요"라는 다소 특이한 구호가 그것인 바, 어떤 종교 단체가 벌이는 사회운동 차원의 표어라고 한다. 그런데 이런 스티커를 붙인 차량이 마구 교통위반을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땐 "그래, 그렇게 달리다가 사고라도 나면 그건 분명 네 탓이다 이놈아!" 하고 욕을 해주고 싶은 심정이다. 초보 운전자가 붙이는 스티커 문안도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 간혹 "당신도 한때 초보였다"라든가 "형님들 좀 봐 주시오"라는 다분히 시비조의 문구를 붙인 차량을 보게 되는데, 이런 문구가 무슨 효과가 있을까? "긁어부스럼"이라는 말처럼 다른 차량의 협조는커녕 반감을 사서 오히려 곤란을 당하지 않을까 걱정된다.

  북한의 평양 거리에 나붙은 "우리는 행복해요"라는 대형 간판을 보면서도 비슷한 느낌을 받는다. 그들이 실제로 행복한 삶을 누리고 있다면 모르지만 들려오는 이야기가 한결같이 굶어 죽고, 탈북자가 속출한다는 우울한 소식이고 보면 "행복하다"는 표어가 더 허망할 수밖에 없다. 인간이 추구하는 삶의 궁극적 목표가 행복이겠지만 우리는 대체로 "행복하다"는 직설적 표현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말하자면 행복이란 사람이 어찌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하늘에서 내려지는 것, 곧 천운이라 생각한다. 행복이란 곧 위험한 것이라는 인식, 다시 말하면 행복한 사람에게는 반드시 궂은 일이 뒤따른다는 호사다마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다 "아이고, 내 복에 무슨..." 행복이 깨지는 순간 으레 이런 체념 섞인 독백이 터져 나오는 것도 그런 인식 때문이다. "지놈이 복에 겨워서..." , "호강에 겨워서 요강에 똥 싸는 놈" 복이란 이처럼 멀리 있는 것이라고 믿기에 이를 자기  것인 양 즐기는 이들에게 위와 같이 비아냥도 서슴지 않는다.

  시도 때도 없이 "아임 해피(I am happy)"를 연발하는 서구인들을 보며 우리는 적잖은 거부감을 느낀다. 행복이란 추구의 대상이지 도달할수 있는 목표가  아니기에 마치 그것에 도달한 것처럼 호들갑을 떠는 그들의  태도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이다. 남에게 행복을 빌어 줄 때도 행복이라는 말 대신에 대게 행운이란 말을 쓴다. 행복이란 말은 너무 거창하게 느껴지기에 편지글 말미에서도 "행복을 빕니다"가 아닌 "행운을 빕니다" 가 더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사랑의 표현도 이와 다를 바 없다. "아빠 사랑합니다, 엄마 사랑해요"는 최근 어디서나 들을수 있는 흔해빠진 인사말이다. 어린자식이 엄마, 아빠의 볼에 입을 맞추며 이런 말을 했다면 그런 대로 귀여운 맛이나 있다. 그러나 어른들 세계에서 그랬다면 아무래도 어색할 것이다. 한국인에게 사랑 표현은 그렇게 가볍지 않았다. "아이 러브 유"는 어디까지나 서구인의 입에 발린 상투어요, 우리네 부모님들은 사랑한다는 말 한마디 없이 평생을 해로했다. 눈빛이나 표정 따위의 몸짓 언어로, 아니면 화롯불같은 은근한 마음 하나로 이혼하지 않고 평생을 같이 살아 온 것이다. 부모 자식같에 이런 대화가 오갔다고 하자. "엄마 날 사랑하셔요?" , "그럼, 난 너를 무척이나 사랑한단다. 이만큼씩이나..." 어떤가? 혹시 의붓어미와 의 사이에서 생소한 애정을 확인하려는 대화라 생각되지 않는가? 소설에서 이런 장면이 나온다면 이는 분명 우리 정서와는 거리가 먼 외국 작품을 번역한 것이리라.

  표어나 구호의 본성이 그런 것이다. 어디선가 "우리 단결합시다!"를 외친다면 이는 분명 그 단체가 화합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다. 구호나 표어가 없는 편이 낫겠지만 그것까지는 바랄 수 없고, 단지 있다면 그 격을 좀 높일 필요가 있다. 외국의 어느 극장에서 모자를 벗으라는 표어 대신 "노파는 모자를 써도 좋습니다"라는 문안을 썼더니 팔십이 넘은 노파가 슬그머니 모자를 벗더라는 이야기가 참고할 만하다. 아직도 뒷골목에는 "소변금지"라는 조잡한 글씨와 함께 가위 그림까지 곁들인 낙서를 볼 수 있다. 이곳은 "당신은 문화인(혹은 "신사")입니다"라는 표어를 붙이거나 아니면 깨끗한 화장실을 지어 놓는다면 그런 식의 허망한 표어는 자취를 감추게 될 것이다.

 


  1. No Image 19Aug
    by 바람의종
    2008/08/19 by 바람의종
    Views 3709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2. No Image 20Mar
    by 바람의종
    2008/03/20 by 바람의종
    Views 3976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3. No Image 11May
    by 바람의종
    2008/05/11 by 바람의종
    Views 3993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4. No Image 03May
    by 바람의종
    2008/05/03 by 바람의종
    Views 3938 

    허망한 언사들 2 - 구호가 없는 사회

  5. No Image 01May
    by 바람의종
    2008/05/01 by 바람의종
    Views 3921 

    허망한 언사들 1 - 별 볼일 있는 말

  6. No Image 25Sep
    by 바람의종
    2008/09/25 by 바람의종
    Views 3678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7. No Image 04Aug
    by 바람의종
    2008/08/04 by 바람의종
    Views 3649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8. No Image 03Aug
    by 바람의종
    2008/08/03 by 바람의종
    Views 4715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9. No Image 31Jul
    by 바람의종
    2008/07/31 by 바람의종
    Views 4433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10. No Image 08Dec
    by 風磬
    2006/12/08 by 風磬
    Views 4628 

    처녀들께서는 부끄럼 타지 말고 '총각김치'를 드셔요

  11. No Image 22Mar
    by 바람의종
    2008/03/22 by 바람의종
    Views 3910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12. No Image 03Sep
    by 바람의종
    2008/09/03 by 바람의종
    Views 4009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13. No Image 02Jun
    by 바람의종
    2008/06/02 by 바람의종
    Views 3442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14. No Image 29May
    by 바람의종
    2008/05/29 by 바람의종
    Views 3548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15. No Image 20Sep
    by 바람의종
    2008/09/20 by 바람의종
    Views 3550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16. No Image 13Apr
    by 바람의종
    2008/04/13 by 바람의종
    Views 4011 

    주술적 용어 3 - "고시"는 가까이, 잡귀는 물러가라

  17. No Image 10Apr
    by 바람의종
    2008/04/10 by 바람의종
    Views 3910 

    주술적 용어 2 - 고마워하고 비는 기원의 말

  18. No Image 09Apr
    by 바람의종
    2008/04/09 by 바람의종
    Views 3857 

    주술적 용어 1 - 끼, 그 가능성의 유전자

  19. No Image 26Sep
    by 바람의종
    2008/09/26 by 바람의종
    Views 3734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20. No Image 24Jun
    by 바람의종
    2008/06/24 by 바람의종
    Views 3737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21. No Image 08Nov
    by 風磬
    2006/11/08 by 風磬
    Views 3614 

    전북에서는 '생강'을 '시앙/새앙'이라고 말합니다.

  22. No Image 07Sep
    by 風磬
    2006/09/07 by 風磬
    Views 5058 

    전북 지방에서는 씀바귀를 '씸바구, 씸바구리'라고도 합니다.

  23. No Image 03Jun
    by 바람의종
    2008/06/03 by 바람의종
    Views 3046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24. No Image 18Jul
    by 바람의종
    2008/07/18 by 바람의종
    Views 2768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25. No Image 06May
    by 바람의종
    2008/05/06 by 바람의종
    Views 3211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