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0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우리말의 풍토성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입은 음식을 먹는 일 이상으로 말을 하는 일을 주임무로 삼는다. 먹고 말하는 일이 일상 생활에 절실한 만큼 옛말에도 "입이 보배"라 하여 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경상도 말로 "이바구"라고 하는 "이야기"는 입에 기원을 두고 있다. 입을 열다, 입을 떼다, 입을 다물다, 입이 더럽다, 입이 걸다, 입담이 좋다, 입심이 세다, 입이 싸다, 입에 오르내리다, 입방아 찧다, 입씨름하다, 입버릇이 고약하다 등은 모두 말하기로의 입의 기능을 나타내는 말이다.

  말(어원)의 어원은 입, 그 가운데서도 혀에 있다고 한다. "혓바닥을 조심하라"는 우리 속담이나 "세 치의 혓바닥이 다섯 자 몸을 좌우한다"는 중국 속담에서 혀가 곧 말의 의미로 쓰임을 본다. 옛 문헌에 자주 등장하는 가로되, 가라사대의 (왈)은 혀를 지칭하는 몽골어와 뿌리를 같이한다. 영어의 "language"도 혀를 가리키는 라틴어 "lingua"에서 나온 말이며, 영어의 "tongue"이나 독일어의 "Zungue" 역시 "lingua"와 맥을 같이하는 말이다. 현대를 "자기 PR 시대"라 한다. 입이 무거워야 점잖은 사람으로 대우받던 옛날과는 달리 현대인들은 자기 표현에 능숙하다. 말하자면 입이 가벼워야 인정받는 그런 시대라고나 할까. "고기는 씹어야 맛이고 말은 해야 맛"이라고도 하고, 또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가린다"고 했다. 무언가 말하고 싶을 때 "입이 근지럽다"고 하고,  심지어 "입고프다"고 투정하는 사람도 있다.

  말의 본질적인 기능은 생각이나 느낌을 입을 통하여 소리로  내보내는 일이다. 여기에 곁들여 입이 담당하는 또 하나의 기능은 소리 없는 애정 표현이 아닌가 한다. 쫑긋이 내미는 도톰한 입술, 입가에 어리는 잔잔한 미소, 한걸음 더 나아가 상대와 서로 입을 맞추는 행위는 애정 표현의 절정이다. "키스"라 불리는 이런 행위는 일반적으로 서양인의 것으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우리에게도 이 멋진 애정 행위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다만 시도 때도 없이 내놓고 하지는 않는다는 점이 서양인과 다를 뿐이지 우리에게도 그보다 더 은밀한 입맞춤이 있었다. 말하자면 "밥물림"이라는 전통 풍습에서 입맞춤의 기원을 찾는다. 밥물림이란 옛날 우리의 어머니, 할머니들이 당신의 입 속에서  죽으로 변한 밥을 입에서 입으로 되먹이는 방식을 이름이다. 이  고귀한 애정 행위는 후일 남녀  간의 애정 표현으로 옮겨가 "입주다"라는 고유어를 낳게 된다. "사랑은 주는 것"이라는 사랑의 참 뜻을 우리 조상들은 진작부터 알고 있었던 모양이다.  옛 문헌에도 보이는 이 말은 아마도 몸을 바치는 최종 단계에 이르러 이를 허락한다는 신호정도로 인식했던 모양이다.

  입맞춤을 한자말로 접문이라고 한다. 때로 "입 구"자를 두 개 나란히 쓰고 그 아래 "합할 합"자를 보태어 독특한 고유 한자를 만들어 쓰기도 한다. 그러나 한자를 그토록 선호했던 우리 조상들도 이 접문이란 한자말은 잘 쓰지 않았다. 밥물림이나 "입주는"행위를 단순히 입을 갖다 맞추는, 그런 동물적 행위로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입맞춤이라는 말조차도  최근에 와서 비로소 쓰이는 걸 보면 이런 행위가 부부 사이에서나 가능하고, 또 은밀한 장소에서 몰래 이루어 지는 "짓"이기에 우리네 정서로는 내놓고 입에 올리기를 꺼렸던 모양이다. 입맞춤이라는 말은 사용자의 나이를 낮춤으로써 어색함을 덜어 보고자 한다. TV의 "뽀뽀뽀"라는 어린이 프로가 그 좋은 예인데, 그 이후로 "뽀뽀"나 "쪽쪽" 또는 "응아"라는 어린이말이 보편적으로 쓰이는 계기가 된 것 같다. 그러나 좀 더 관심을 기울인다면  더 멋진 고유어를 찾아낼  수도 있다. "심알을 잇는다" 또는 "심알을 맺는다" 는 말이 그건데, 이 말의 본뜻을 안다면 누구나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심알은 마음의 알맹이, 곧 심성의 핵을 지칭한다. 너와 내가 심알을 잇는다면 속마음을 서로 연결한다는 뜻이니 이보다 더 멋진 표현은 없으리라.

  독일의 시인 셸리는 "사랑하는 사람끼리의 입술이 서로 닿는 넋의 맞닿음"이라는 표현을 썼다. 셸 리가 말하는 "넋의 맞닿음"이 바로 우리말 "심알"의 본뜻이 아닐까 싶다. "뽀뽀"는 너무 가볍고, "쪽쪽"은 천박스러우며, 외래어 "키스"는 여전히 거부감을 준다. 입으로 하는 또 다른 언어, 입맞춤은  어떤 용어로도 심알을 맺는다는, 고유어의 그  은근하고 고상한 품위를 따를 수가 없다. 인정이 날로 메말라 가는 요즘, 그 인정의 샘을 되찾는 의미에서도 이웃끼리, 사랑하는 사람끼리 서로서로 심알을 맺었으면 좋겠다.
 


  1. No Image 16Apr
    by 바람의종
    2008/04/16 by 바람의종
    Views 4605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2. No Image 05May
    by 바람의종
    2008/05/05 by 바람의종
    Views 3044 

    문래

  3. No Image 20Apr
    by 바람의종
    2008/04/20 by 바람의종
    Views 3738 

    미각어의 다양성 - 달짝지근하고 달콤새콤하고

  4. No Image 25Mar
    by 바람의종
    2008/03/25 by 바람의종
    Views 3291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5. No Image 26Jul
    by 바람의종
    2008/07/26 by 바람의종
    Views 2997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6. No Image 02Sep
    by 바람의종
    2008/09/02 by 바람의종
    Views 3105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7. No Image 08May
    by 바람의종
    2008/05/08 by 바람의종
    Views 2891 

    보은단

  8. No Image 29Mar
    by 바람의종
    2008/03/29 by 바람의종
    Views 3800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9. No Image 02Apr
    by 바람의종
    2008/04/02 by 바람의종
    Views 3083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10. No Image 24Mar
    by 바람의종
    2008/03/24 by 바람의종
    Views 3497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11. No Image 27Oct
    by 風磬
    2006/10/27 by 風磬
    Views 4150 

    생식기 근처에 난 털을 뭐라고 하는지 아셔요?

  12. No Image 12Jul
    by 바람의종
    2008/07/12 by 바람의종
    Views 2884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13. No Image 01Aug
    by 바람의종
    2009/08/01 by 바람의종
    Views 3816 

    서울의 어원

  14. No Image 06Sep
    by 바람의종
    2008/09/06 by 바람의종
    Views 3310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15. No Image 28Nov
    by 風磬
    2006/11/28 by 風磬
    Views 4357 

    섬유회사 '코오롱'은 '코리아'+'나이롱'

  16. No Image 26Jan
    by 바람의종
    2007/01/26 by 바람의종
    Views 4243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 같은 게 달려 '따발총'이라고 불렀답니다

  17. No Image 08Aug
    by 바람의종
    2008/08/08 by 바람의종
    Views 3299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18. No Image 28Mar
    by 바람의종
    2008/03/28 by 바람의종
    Views 3371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19. No Image 01Jan
    by 風磬
    2007/01/01 by 風磬
    Views 3576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20. No Image 22Jun
    by 바람의종
    2008/06/22 by 바람의종
    Views 3513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21. No Image 15Nov
    by 風磬
    2006/11/15 by 風磬
    Views 4293 

    아기들이 차는 '기저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22. No Image 04Sep
    by 바람의종
    2008/09/04 by 바람의종
    Views 3151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23. No Image 15Jan
    by 風磬
    2007/01/15 by 風磬
    Views 4243 

    애국가 가사 중의 '남산'은 '앞산'이란 의미

  24. No Image 16Jan
    by 風磬
    2007/01/16 by 風磬
    Views 4133 

    애국가 가사 중의 '바람서리'는 '풍상'(바람 풍, 서리 상)이란 뜻

  25. No Image 24Jul
    by 바람의종
    2008/07/24 by 바람의종
    Views 3624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