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96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한반도의 서남단 무안반도 끝에 위치한 목포만큼 대중가요의 노래말로 유명해진 항구도 드물다. "목포의 눈물", "목포행 완행열차". "목포는 항구다" 등등, 목포를 무대로 하는 노래는 아직도 우리 귓전에 생생하다. 목포의 시정을 자아내게 하는 3박자. 곧 유달산, 삼학도, 영산강은 이미 옛 정취를 잃었음에도 목포가 지금껏 우리의 뇌리 속에 자리한 까닭은 이들 노래말이 심어준 여운 탓이 아니겠는가. 목포를 상징하는 유달산은 정말 "유다른" 산이다. 본래 노적봉이라 불리던 이 산이 유달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 것은 종교적 이유에서라고 한다. 말인즉슨 이 산의 북쪽에 있는 승달산에 대하여 불교가 아닌 유교의 가르침에 의해 도에 통달한다는 의미로 유달산으로 이름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불교의 승달이든 유교의 유달이든 꼭 그런 대립적 개념으로 해석하고 싶지은 않다. 비록 산세는 빈약하지만 기암절벽으로 이루어진 작은 명산일 뿐 아니라 시내 한복판에 자리하고 있어 누구든지 손쉽게 오를 수 있다. 말하자면 유달리 가까이 있고 유달리 친근한 산이기에 유달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지 않았을까.

  목포는 원래 무안군에 속한 땅으로 백제시대에는 "물아래골(물아혜현)"이라 불렀다. 물아혜, 물아래는 이 지역이 영산강 하류에 있기 때문에 물의 아래쪽이라는 뜻으로 쓰인 말이다. 물아래골은 신라 때 무안이라는 한자 지명으로 바뀌었다가 고려 때 다시 물량으로 되돌아온다. 목포라는 현 지명은 조선 태조 때 "목개나루" 즉 목포진을 설치하면서 유래되었다. 일설에 따르면 목포가 나주의 관문으로서 나주의 남쪽 포구라는 뜻으로 남개라 했는데, 이 남개가 "나무개"로도 발음되면서 "남녘 남"을 "나무 목"으로 취하여 목포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여기서 목은 나무와 아무 관련이 없다. 나무 목 자가 아니라 "길목, 골목, 건널목"이라 할 때의 그 "목(정)"을 지칭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나주로 들어가는 길목으로서의 포구, 곧 "목개(정포)"인 것이다. 지금도 고하리 서남쪽에 "큰 목개"니  "작은 목개"니 하는 전래지명이 있어 이를 뒷받침해 준다.

  목포 앞바다에 떠 있는 삼학도는 학으로 변신한 세 처녀의 혼이 깃들인 섬이라는 전설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지금은 섬도 아닌 이 삼학도에 대해 목포인들이 유달리 애정을 쏟는 것도 전설이 너무 애틋하기 때문이다. 옛날 무예에 출중한 한 청년이 유달산에서 수련중일 때의 이야기다. 힘이 장사였던 청년은 빼어난 용모 못잖게 여복도 많았던 모양이다. 산 중턱 옹달샘까지 날마다 물 길러 오는 아랫마을 세 처녀에게서 한꺼번에 사랑을 받게 되었으니 하는 말이다. 수련에 전념하던 청년도 아리따운 세 아가씨의 애정 공세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을 수 없었다. 수도하는 일과 사랑하는 일 사이에 고민하던 청년은 어떤 결단을 내려야 했다.

  "낭자들, 나 역시 세 분을 다  좋아하오. 그러나 사랑은 똑같이 나누어  가질 수 없는 법, 세 분이 어디 먼 섬으로 가서 기다리면 내가 수련이 끝나는 대로 한 분을 택하여 모시러 가겠소."

  세 처녀는 청년의 제안을 승낙하고 그 섬으로 떠날 차비를 차린다. 그런데 일은 이때 벌어졌으니, 처녀들을 실은 배가 막상 포구를 벗어나려 할 즈음 그만 청년의 마음이 흔들리고 만다. 배를 멈추게 할 작정이었던지 배를 향해 마구 화살을 쏘아댄 것이다. 청년이 쏜 화살 하나가 배를 꿰뚫게 되자 배는 서서히 가라앉는다. 배가 바닷속으로 잠기려 할 즈음 돌연 이변이 일어났으니, 죽음을 앞둔 세 처녀가 학으로 변신한 것이다. 세 마리 학은 하늘 높이 솟구치더니 구슬픈 울음소리와 함께 바다 위로 떨어지면서 세 개의 작은 섬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유달산 중턱에 대학루라는 정자가 있어 학으로 변신한 세 처녀의 혼이 돌아오기를 지금껏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이미 육지로 변해 형편없이 일그러진 삼학도의 형편으로는 학의 귀환은 아무래도 기대 밖인 것만 같다. 노래말처럼 슬픈 전설로만 간직할 수밖에 없을 듯 하다.

  목포에 이르러 비로소 몸을 푸는 영산강은 담양땅에서 발원하여 광주, 나주, 영암을 차례로 적시고 하류에 와서 영산호라는 거대한 인공호를 만들어 놓는다. 본래 금강이라 불리던 영산강은 인공호에 이르기 직전에 몽탄강이라는 더 멋진 이름으로 불린다. 몽탄은 꿈에 현몽을 입어 건너게 된 여울이라는 뜻으로 고려를 건립한 왕건의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왕건이 그의 정적인 견훤과 이 강을 사이에 두고 한판 승부를 겨룰 때의 이야기다. 도강 시가를 정하지 못해 망설이던 왕건에게 꿈에 백발노인이 나타나 그 시기와 방법을 일러 주었다고 한다. 왕건이 견훤을 꺾고 고려 왕조를 세울 수 있었던 것도 꿈에 나타난 백발노인의 계시에 따른 것임은 두말할 나위 없다.

  몽탄강의 낙조처럼, 대중 가요의 노래말처럼 목포는 아름다운 고장이다. 영산호 주변이 그렇고 유달산이나 고하도 산정에서 내려다보이는 목포항의 전경이 슬프도록 아름답다. "목포의 눈물"이 남긴 슬픈 이미지 때문일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6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2843
195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바람의종 2009.05.01 3269
194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2833
193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바람의종 2008.09.26 3734
192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바람의종 2008.09.25 3678
191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2992
190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079
189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바람의종 2008.09.20 3550
188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바람의종 2008.09.19 3691
»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2963
186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153
185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바람의종 2008.09.09 2896
184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186
183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바람의종 2008.09.06 3226
182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바람의종 2008.09.04 3078
181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바람의종 2008.09.03 4009
180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바람의종 2008.09.02 3024
179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186
178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바람의종 2008.08.19 3707
177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바람의종 2008.08.08 3206
176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바람의종 2008.08.04 3649
175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4715
174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433
173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115
172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29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