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04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우리말의 풍토성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어느 해인가 정월 대보름과 "발렌타인데이"가 겹친 때가 있었다. 그때 모 신문에서 "부럼과 초콜릿의 한판 승부"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이 승부는 단순히 두 상품의 판매 경쟁을 넘어서서 고유 명절과 외래 명절의 한판 대결이기도 했다. 두 상품의 판매 경쟁은 아쉽게도 초콜릿의 압승으로 끝났다. 전통 민속이 상업적인 외래 풍물에 백기를 들고 만 것인데, 이를 두고 필자는 초콜릿을 팔아 주는 행위가 민족의 혼을 파는 일이라면서 분개했다. 사랑 고백을위한 것이라지만 초콜릿 같은 서양 식품이 건강에도 좋은 고유 식품을 몰아낸 일이 못마땅했던 것이다. 발렌타인데이가 본래 장삿속에서 유래한 행사가 아닐진대 어쩌다가 "연인의 날"로 둔갑하여 이 땅에서도 값비싼 수입 추콜릿을 먹어야 한단 말인가.  외신에 따르면 멀리 있는 연인을 위해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키스 체험을 느끼게 하는, 이른바 "사이버 키싱"이라는 상품도 개발되었다고 한다. 서양풍이라면 덮어놓고 맹종하고 보는 우리네 풍조로는 이 사이버 키싱도 조만간 파급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더욱이 발렌타인데이의 상술은 초콜릿만으로 그치지 않는 데 문제가  있다. 한 달 후인 3월에는 "화이트데이"라는 이름으로 사탕을 내놓고 어린 고객들의 주머니를 노린다. 내세우는 구실은 그럴 듯하다. 앞서 여자친구가 준 초콜릿 선물에 남성이 사탕으로 답례한다는 그럴듯한 얘기다. 뿐만 아니라 한술 더 떠서  4월에는 "엿데이"라는 괴상한 날을 만들자는 제안도 있다. 말하자면 메아리 없는  사랑 고백에 대해 "에라, 엿이나 먹어라!"하며 바람맞은 자가 보복을(?) 가한다는 것인데, 어떻든 스토리까지 갖춘 명절 상술도 이 정도에 이르면 가히 경지에 들었다고 할까.

  우리 민족에게 연인의 날이 있다면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경칩이 되어야  마땅하다. 음력으로는 2월중이지만 양력으로는 3월 5일경으로 화이트데이와 근접한 무렵에 해당된다. 예로부터 경칩일은 사랑을 나누는 날이었다. 이 날 해가 저물면 동네 처녀, 총각들이 동구 앞 은행나무 주변을 맴돌면서 서로의 속마음을 표시하곤 했다. 다 아는 대로 은행나무는 암수가 마주보고 있어야 열매를 맺는, 그야말로 격조 높은 사랑의 나무다. 은행나무의 열매, 곧 은행알은 예사로운 열매가 아니다. 나무 주위를 돌며  자신의 속마음을 내보였던 이들이 함께 은행알을 나눠 먹었다면 이는 사랑이 결실을 맺었다는 증거가 아닐까. 이제 경칩을 우리 고유의 연인의 날로 정하고 초콜릿이나 사탕 대신 잘 구운 은행알을 나눠 먹게 하면 어떨까? 이렇게 하는 것이 어줍잖은 외래 풍조를 배격하고 우리 것을 찾는 지름길이라 생각되기에 하는 말이다.

  세밑이나 성릉 맞는 풍속도 마찬가지다. 한 해의 밤을  마지막으로 지운다는 섣달 그믐밤을 제야 또는 제석이라 한다. 이 섣달 그믐 곧 세밑(본래는 설밑 또는 설아래)을 각종 "세시기"에서는 신일이라 적고 있다. 신일이란  "삼가고 조심하는 날"이란 뜻인데, 이런 뜻 깊은 날을 요즘처럼 해외 여행이나 풍치 좋은 유원지에서 흥청거릴 일은 아니라고 본다. 세밑, 곧 신일은 새해라는 시간 질서에 맞추기 위한 준비 기간에 해당한다. 예전에는 실제로 외양간을 치우기도 하고 부뚜막을 손질하기도 하며 밭에 해묵은 거름을 퍼내는 등 집안 정리에 여념이 없었다. 또한 묵은 세배를 올리고 해지킴(수세)라 하여 집안 곳곳에 불을 밝히고 첫닭이 울 때까지 밤을 새우곤 했다. 특히 마당을  쓸어 티끌을 모아 모닥불을 피우는 것은 모든 잡귀를 물리치고 새해를 맞는다는 신앙적 의식이 깃들인 행사였다. 조상들이 맞은 이런 신일과는 달리 현대인들은 그믐날 공연한 일로 바쁜 시간을 보낸다. 한 해를 마무리 짓고 묵은 해를 보낸다는 송년회라면 그런대로 괜찮다. 뭐가 그리 잊어야 할 일이 많은지 망년회라는 이름으로 술자리를 펼치고 술기운으로 흥청망청 헤매기 일쑤다. 얼마 전까지 성탄을 전후한 세밑은 마치 지구의 종말이라도 온 듯 그야말로 광란의 밤이었다. 지난 시간도 소중한 법인데, 그렇게 깡그리 잊는다고 좋은 일만은 아닐 게다.

  1999년 12월 31일, 1천년대의 마지막  밤 광화문 네거리에서의 행사  역시 뒷맛이 개운치 않았다. 남들처럼 우리도 꼭 그렇게  많은 돈을 들여 화려한 굿판을  벌여야만 했을까 묻고 싶다. 그것도 시민이 배제된 유명인사들만의 행사를 말이다. "밀레니엄"이라는 용어 사용부터 좀더 신중해질 필요가 있다. "새천년"이란 쉬운 말도 있고 또 조금만 성의를 보인다면 "즈믄 해"라는 멋진  고유어를 찾아 쓸 수도 있다. 즈믄이란 천을 뜻하는 옛말로서 고려가요를 비롯한 옛 문헌에 즈믄 해, 즈믄둥이라는 말이 쉽게 발견된다. 서기를 연호로 삼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라 어쩔 수  없다지만 새 천년을 맞는 행사만은 우리 식에 따랐어야 했다. 정말  새 천년에는 초콜릿보다는 은행알을 나눠 먹고,  쾌락의 밤을 지새기보다는 근신의 밤을 보내야 하지 않을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6 우리말의 상상력 2 - 2. 곰신앙과 땅이름 바람의종 2010.02.07 3023
245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바람의종 2008.04.30 3028
244 우리말의 상상력 1 - 6. 가루와 분절 바람의종 2009.05.28 3028
243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바람의종 2008.09.02 3030
242 우리말의 상상력 2 - 1. 강과 삶 바람의종 2009.10.02 3035
241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8 3040
240 '사냥'은 원래 한자어 風磬 2006.11.14 3041
239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041
»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042
237 '메리야스'(내의)는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요? 風磬 2006.12.23 3052
236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058
235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1/2) 바람의종 2009.06.15 3067
234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죽령(竹嶺)과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바람의종 2010.01.19 3084
233 우리말의 상상력 1 - 3. 3-1. 싹과 사이 (1/2) 바람의종 2009.05.12 3085
232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바람의종 2008.09.04 3086
231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089
23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소리란 무엇인가 바람의종 2010.01.22 3100
229 '시냇물'은 '실'+'내'+'물'이 합쳐서 생긴 말 風磬 2007.01.02 3106
228 우리말의 상상력 1 - 10. 막다른 골목 (1/2) 바람의종 2009.06.17 3107
227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118
226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4/4) 바람의종 2009.05.09 3125
225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2/2) 바람의종 2009.06.16 3126
224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129
22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해'의 소리 상징, 말하는 남생이 바람의종 2010.01.23 3133
222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2/2) 바람의종 2009.06.12 31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