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024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우리말에 대한 반성

  우리말의 애매성 -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

  한국어에는 주어나 목적어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단수, 복수의 구분이나 성의 구분, 과거, 현재, 미래의 시제 구분도 그리 철저하지 않다. 그런데 이런 애매한 표현에 대하여 한국인들은 별로 불편이나 곤란을 느끼지 않는 것 같다. 대화 현장에서 이런 불투명성을 고도로 발달한 우리의 눈치, 코치가 보완해 주기 때문일까? "시원섭섭하다"라는 말이 그 사람이 떠나서 후련하다는 것인지 아니면 몹시 아쉽다는 표현인지 분명치 않다. 시큼달큼, 들락날락,  붉으락푸르락, 오락가락 등의 표현도 비빔밥처럼 맛(의미)의 본뜻을 알아내기가 쉽지 않다. 우리말의 "예, 아니오"의 답변을 비롯하여 "그래요"라든가 "그렇지 뭐"라는 긍정적  의사 표시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꺼림칙한 구석이 있다. "집에 갈래?" 라는 물음과 "집에 안갈래?" 라는 물음이 실제에 있어 동의어일 수 있다. 이처럼 물음 자체가 애매한 만큼 답변 또한 모호해질 수밖에 없다. "나도 그렇게  생각하지마는..." , "그 말씀도 일리가 있습니다마는..." , "백번 지당한 말씀이지만..." , "좋기야 좋지만..." 이런 답변에는  말미에 붙는 "-마는(만)"에 무게의 중심이 놓인다 우리말에서 "글쎄요, 생각 좀 해봅시다"라면서 수염을 쓰다듬거나 콧등을 어루만진다면 이는 분명 거절을 뜻한다.

  오랜 세월 농경 문화에 길들여져 온 우리는 이웃과의 화합을 고려하여 거절이나 반대의 뜻을 직설적으로 내뱉지 않는다. 남의 불행에 대해서도 "참 안됐습니다만 그만하길 다행입니다." 라고 위로한다. "불행중 다행"이라든가 "그만하면 됐다"는 표현도 비슷한 유형이다. 우리 정치사에서 지우고 싶은 사건, 곧 12, 12 사태의 해석도 이런 유형이 아닐까. 이 사건이 하필이면 왜 12월 12일에 발생했는지 모르겠다. 태생부터 시비거리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숫자 십이와 동음인 시비는 옳고 그름만을 지칭하지 않고 그 잘잘못을 따지는 다툼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쓰인다. 특히 "시비"라는 말의 중첩어인 "시시비비"는 가타부타나 왈가왈부, 시야비야와 함께 시비가 지속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12, 12사태의 규정으로 말하면 초기 "불가피한"사태에서부터 출발하여 "군사 쿠데타적 사건"을 거쳐 최종적으로 군사반란이라는 엄청난 사건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쿠데타에 붙는 "적"이라는 꼬리표와 반란이라는 용어다. 그 반란이란 것이 한 때 기소 유예 판정을 받았기에 그것이 반란이 아니냐는 또다른 시비거리를 제공하기도  했다.

  우리말에 끼어든 한자어 가운데 이 "적"만큼 활용도가 높은 글자도 드물 듯 하다. 이 애매한 용어가 그만큼 우리 정서에 맞아떨어졌는지는 모르겠으나 어떻든 이 말은 모호한 입장이나 불완전한 식견을 도배질하는 데 단골로 사용된다. "그는 인간적이다"라는 말은 가능해도 "그는 사람적이다"는 말은 불가능하듯이 "적"은 반드시 한자어 뒤에만 붙는다. 그런데 쿠데타라는 서구어(불어)에도 이 접미어를 붙일수 있는지 의문이다. 뿐인가, "귀족적"이라고 하면 실지 귀족은 아니면서 겉으로 귀족 행세를 하는 사람을 빗댄 말이다. 그렇다면 쿠데타적 사건을 실제 쿠데타는 아니면서 이와 유사한,  또는 이에 준하는 사건이라고 해석해야 할까? "글쎄요..." 라면서 콧등이나 쓰다듬으며 고개가 갸웃거려질 대목이다. 굳이 말한다면 적은 영어의 틱(-tic)에 해당하므로 쿠데타적이  아니라 "쿠데타틱"이라 해야 어울리지 않을까? 로맨틱이란 말은 있어도 "로맨스적"이란 말은 없기 때문이다. 한자말 "적"이나  영어의 "틱"에 해당하는 우리말에 "척하다"의 "척"이나  티를 낸다는 "티"가 있다. 그런데 "티, 틱, 적, 척"등은 묘하게도 언어의 국경을 초월하여 의미 뿐 아니라 어형까지도 닮았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한자어 적이 우리말에 들어와 이처럼 마구 쓰이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우리말은 좋게 말하여 완곡 어법이 발달된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완곡 어법이란 일종의 회색적 표현법으로 본의를 흐려 놓는다는 점에서 결코 좋은 표현법은  못된다.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분명히 밝히기는 꺼리는,이러한 언어의 자폐증은 불투명한 표현을 낳는다. "예스냐 노우냐" 또는 "살 것인가 죽을 것인가" 하는 결단은 서양인의 것이고 우리는 어디까지나 "글쎄요, 생각 좀 해봅시다."식의 뜨뜻미지근한 반응을 견지할 뿐이다. 이런 현상을 두고 한국어는 "너무나 인간적인 언어"라고  말하기도 한다. 최근 우리 사회가 흑백 논리로 소란스러운 것도 이런 관습이나 고유 정서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적하는 이도 있다. 그런데 인간적인 것까지는 좋으나 "너무나" 인간적이라는 데 문제가 있다. 현대와 같은 산업화, 정보화 사회에서는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밝힐 필요가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이런 인간적인 표현법은 "글쎄요, 생각 좀 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2770
270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2793
269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2808
26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마니산과 하늘신 바람의종 2009.11.29 2827
267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2838
266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2846
265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2879
264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2887
263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바람의종 2008.09.09 2902
262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4 2906
261 우리말의 상상력- 3. 물과 불의 만남 - 생명의 기원 바람의종 2010.02.08 2919
260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2924
259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3/4) 바람의종 2009.05.09 2949
258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2951
257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2966
256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2973
255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2977
254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5 2977
253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2987
252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2988
251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2989
25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새로움과 관동(關東) 바람의종 2009.12.01 2995
249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2996
248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바람의종 2008.04.02 3011
247 우리말의 상상력 2 - 2. 곰신앙과 땅이름 바람의종 2010.02.07 30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