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91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우리말의 풍토성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눈은 마음의 창이다. 이 창을 통하여 밖을 내다보기도 하고 내 안의 속마음을 내보이기도 한다. 눈은 분명 외계의 사물을 보는 것 이상으로 내밀한 자신을 드러내 보이는 창구가 된다. 눈짓을 보내고, 남의 눈치를 살피고, 눈인사를 나누고,  눈웃음을 치고... 비록 소리는 없으나 눈은 또 하나의 훌륭한 언어 기관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여인은 입보다 눈으로 더 많은 말을 한다."고 어느 작가는 말한다. 한국 여인의 눈가에 내비친 그 은밀한 속뜻을 알아내기는 결코 쉽지 않다. 박두진 시인은 "아내를 위한 자장가"에서 그런 여인의 눈을 이렇게 그린다.

  수림으로 둘리운 잔잔한 수면
  하늘 먼 옛날로의 옛날로의
  푸른 네 두 눈은 생각하는 호수

  안이나 목과 같은 한자말도 있지만 우리말 "눈"의 의미 범주에는 미치지 못한다. 인간은 신의 눈에서 비롯되었다는, 옛날 이집트의 신화도 있지만 눈은 그대로 인간의 생명을 상징한다. "눈을 뜨다, 눈이 시퍼렇다"하면 생생하게 살아 있음을 뜻하고 "눈을 감다, 눈에 흙이 들어간다"라고 하면 생명의 종식을 의미한다. 눈은 또한 애정을 표시하는 또다른 창구가 된다. 중국인들도 연인을 일러 "눈에 든 사람", 곧 안중인이라 한다. 우리말에서도 "눈에 들었다"는 말로 사랑은 시작되고, 이어 눈길을 주고 받고, 눈을 맞추는 과정을  거치면 이내 "눈맞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 때로 "제 눈에  안경"이라고 눈이 삐어 사랑에 눈이 멀 수도 있다. 이럴 땐 그 대상을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다"면서 눈을 뒤집거나 눈에 쌍심지나 불을 켜고 맹목으로 덤비기도 한다. 만남 뒤의 헤어짐에서도 그 애틋한 여운은 눈에서 떠나지 않는다. "눈에 어리고", "눈에 밟힌다"는 말은 그 애틋한 심정의 표현이다. 승부가  아주 미세한 바둑판의 싸움을 가리켜 "눈 터지듯 계가 바둑"이라 하고, 누군가 애타게 기다릴 때는 "눈이 빠진다"고 엄살을 떨기도 한다.

  애정 표현에만 눈이 관계하는 것은 아니다. 짧은 순간이라면 "눈 깜짝할 사이"요, 곤란한 일은 "눈 딱 감고"묵인해 주기도 한다. 눈을 뜨고도 글을 읽지 못하면 "까막눈"이요, 욕심을 내서 눈여겨 보면 "눈독 들인다"고 한다. 피곤할 때 잠시 "눈을 붙일 수"도 있고, 눈 밖에 나서 보기에 거북하면 "눈꼴이 사납다"고 고개를 돌린다. 어떤 화려한 정경을 두고 "눈부시다"고 하고, 한두 번만 보고도 곧잘 해낼 수 있는 재주를 일러 "눈썰미가 있다(좋다)"고 한다.

  눈의 생김새, 곧 눈의 맵시를 줄여 "눈매"라 일컫는다. 눈매는 고울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데 대체로 좋지 않을 때 그에 합당한 이름을 붙인다. 마늘모눈, 가자미눈, 도끼눈, 나비눈, 고리눈 등이 그런 예인데 이들은 대개 불평, 불만, 경멸, 무시 따위의 불편한 심기를 드러낼 때 쓰는 말이다. 그런데 나비눈이라고 할 때의 나비는 곤충이 아니라 고양이를 귀엽게 부르는 이름이다. 도끼눈의 도끼 역시 나무를 찍는 도끼(부)가 아니라 토끼가 변한 말이다. 고양이나 토끼의 그 동그란 눈을 닮았기에 붙인 이름인데, 우리는 그 본래의 뜻을 잘못 알고 사용하는 듯하다. "놀란 토끼"라는 말이 있듯이 토끼의  눈이나 고양이의 눈은 크게 뜨고는  있지만 기실은 매우 부르덥고 선량한 모습이다. 그런데 토끼눈의 경우 토끼가 도끼로 바뀌는 바람에 그만 험악한 의미로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나  정적 무서운 눈매는 고리눈일  것이다. "삼국지"에 등장하는 장비가 그런 눈을 가졌다는데, 어떤 눈인고 하면 눈을 부릅뜨면 흰 자위가 빙글빙글 동자를 굴리는 듯한 그런 험상궂은 눈이다.

  심사가 편치 않을 때 이르는 눈매의 호칭말고도 눈꼴,  눈씨, 눈살, 눈총, 눈초리, 눈깔 등의 말도 좋지 않은 상태의 표현이다. 눈의 언저리를 가리키는 눈자위, 눈두덩이, 눈퉁이도 이와 다를 게 없다. "눈퉁이가 밤탱이"라는 속어에서  보듯 얻어맞아 퉁퉁 부었다면 눈두덩이요, 건강이 좋지 않아 푹 꺼져 버렸다면 눈자위가 될 것이다. 같은 뜻이기는 하나 눈보다는 눈망울 또는 그냥 "망울"이라는 말이 더 운치가 있다. 그 가운데서도 눈알을 덮는 얇은 피부를 눈시울 또는 눈까풀이라 부르는데, 눈알, 눈망울(방울)에서 보듯 눈시울과 눈까풀의 경우도 용법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 눈시울이 시적인 표현이라면 껍질에서 파생된 까풀(꺼풀)은 산문적이라 할까. 붉어지거나 눈물이 흘러 적시는 경우는 눈시울이지만 졸려서 주체하기 어렵거나 성형 수술의 대상이 될 때는 눈까풀이기 때문이다. 마음의 창이자 제2의 언어기관인 눈은 늙음이 가장 먼저 찾는 곳이기도 하다. "가선이 졌다"는 멋진 우리말이 있다. 가선이란 눈웃음을 지을 때 눈가에 잡히는 가느다란 잔주름을 이름이다. 어느 날 문득 가선이 진 아내의 옆 모습을 보면서, 또는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의 그것을 보면서 "아, 이제 우리도 늙었구나!"라는 탄식을 토하게 되는 그런 주름살 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2779
270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2796
269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2815
26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마니산과 하늘신 바람의종 2009.11.29 2836
267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2843
266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2850
265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2885
264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2891
263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바람의종 2008.09.09 2904
»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4 2912
261 우리말의 상상력- 3. 물과 불의 만남 - 생명의 기원 바람의종 2010.02.08 2925
260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2929
259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2952
258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3/4) 바람의종 2009.05.09 2954
257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2969
256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2974
255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2982
254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5 2982
253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2994
252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2997
251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2997
25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새로움과 관동(關東) 바람의종 2009.12.01 2999
249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002
248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바람의종 2008.04.02 3013
247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0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