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23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우리말에 대한 반성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어찌 들으면 태국어나 아랍어 같은, 또는 고약한 욕설과도 같은 이 노래가 한때 유행한적이 있었다. 현란한 조명과 화려한 율동을 동반한 이 요란스런 노래에 젊은 세대는 물론 중년층에 이르기까지 어깨를 들썩거리며 그 분위기에 휩쓸렸다. 꿍따리 싸바라 - 우리말을 공부하는 필자로서 세간에 풍미하는 이 노래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누군가는 말한다. 이 노래말은 별 의미 없이 그저 "해 보는 소리"라고. 그렇다면 심심해서 내지르는 헛소리를 그토록 목청 돋우어  따라하고 온 몸을 뒤흔들어 대는 이런 풍조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어떤 말이든 비록 무의미하다 할지라도 그 말이 유행하는 연유나 배경은 있을 것이다. "얼러리 껄러리"도 비슷한 유형으로 보인다. 한 아이를 "왕따"시킬 때 노래로 불러대는 이 말은 굳이 따진다면 남녀관계를 뜻하는 "얼다(통정하다)"가 어원이다. 앞에 놓이는 "누구누구는 누구누구와 뭐뭐 했대요"라는 미지칭 대명사의 반복이 이를 대변해준다. 여기서 "껄러리"는 별 의미 없이 "얼러리"에 짝을 맞추는 뒷가지에 불과하다. "싸바라"의 경우도 "꿍따리"에 달라붙는 뒷가지로 본다면 꿍따리의 의미 파악이 핵심이 된다. 우선 비슷한 어형을 찾아보기로 한다. "궁따다"란  말이 있다. 모르는 척 시침을 떼고 딴소리 할 때 쓰는 말인데, 꿍따리와는 무관한 것 같다. 궁상을 떠는 짓을 일러 "궁떨다"라고 하는데, 이 역시 거리가 멀어 보인다. 궁둥이를 지역에 따라 궁딩이 또는 궁뎅이라 하고, 구멍을 옛말로 궁기라 한다. 꿍따리 싸바라가 궁둥이로 무엇을 싼다는 이야기는 아닐 듯하다. 그도 저도 아니라면 꿍따리는 "딴따라"와 같은 의성어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옛말에 풍각쟁이라 부르던 딴따라는 "탄타라 타"라는 북소리를 흉내낸 소리말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꿍따리도 반주에서의 악기 소리, 곧 꿍꽝, 쿵쾅 따위를 흉내낸 말은 아닐는지. 꿍따리와 짝하는 "싸바라"는 더 모호하다. 대소변을 마구 배설한다는 "싸다"에서 온 말인지, 아니면 "싹수머리"가 없다는 "싸가지" 또는 이곳저곳을 배회한다는 "싸다니다",  "싸지르다"에서 온 말인지 도시 종잡을 수가 없다.

  결국 이런 결론에 미친다. 숨가쁜 템포의 반주음에 맞춘 현란한 조명과 발작에 가까운 율동, 그 속에서 현대인들은 목까지 차오른 불안과 울분을 토해 내는 것이라고. 일종의 스트레스 해소용인 노래에 제대로 된 의미가 담길 필요는 없다. 이런 노래말에는 된소리(경음)나 거센소리(탁음)가 제격일 터이니 문제는 된소리의 연속음에서 찾아야 할 것 같다. 된소리, 거센소리가 현대인의 감정과 영합된 지는 이미 오래다. 사랑도 싸랑이요, 작은 것도 짝은 것이며, 사모님도 싸모님이라 해야 요즘 사람들의 정서(?)에 맞는다.  "끄 쌔끼 떵친 짝아도 썽깔은 꽤 싸납던데..." "쐬주를 깡쑬로 들이켰더니 속이 알딸딸하고 간뗑이가 찡한데..."  "쯩도 없고 껀도 없어 못  나가고 그저 집꾸석 틀어박혀  쩜 천짜리 고스톱이나 쳤지  뭐냐."

  된소리가 안 들어가면 말이 안 될 정도로 온통 경음 일색이다. 뿐인가. 골때린다, 쪽 팔린다, 쪽을 못쓴다, 빼도박도 못한다, 찍싸다, 야리꾸리하다, 뽕을 뺀다, 똥줄이 탄다, 뿅갔다, 띨띨하다, 싹쓸이하다, 찍소리 못한다, 똥창이 맞다, 똥줄이 탄다 등등 된소리투성이의 예를 다 열거하기도 쉽지 않다. 이런 종류의 말을 뱉을 때 현대인들은 정신적 쾌감을 느끼는지 모르지만 그 통에 우리말은 너무 살벌해지고 말았다. 본래 예사소리(평음)뿐이었던 한국어의 말소리는 전쟁을 비롯한 사회적 혼란을 겪으면서 점차 된소리나 거센소리로 거칠게 변해 왔다. 그런데 요즘처럼 전쟁도, 가난도 없는  세상에서 말소리만은 왜 이렇게 고약하게 되었을까? 이는 아마도 상대적 빈곤감이나 복잡한 사회생활로 인한 갈등이나 불안 등의 심리 요인에서 기인한 것 같다. 좋은 것도 "좋아 죽겠다"고 하고 기분이 좋은 것도 "기분 째진다"고 해야 직성이 풀린다. 뿐인가. "기가 막히게" 좋다에서 기똥차다, 죽여 준다,  끝내 준다에 이르러 그 표현법은 더 이상 갈 곳을 잃는다. 언어 도단이란 바로 이런 상태를 두고 이른 게 아닌가 한다. 말도 안 되는, 곧 언어의 길이 끊어진 상태 말이다. 무의미한 언사 "꿍따리 싸바라"가 유행하는 현상이 바로 이런 단계에 이른 것이라 진단하고 싶다.

  무질서, 과소비, 퇴폐 풍조, 폭력 사태로 얼룩지는 사회 병리 현상은 이런 거친 언어와 결코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국어 순화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아름다운 심성을 가지기 위해서도, 고운 우리말을 되살리기 위해서도 우선 된소리부터 자제해야겠다.  "꿍따리 싸바라"라는 말은 제발 "꿍따리는 사라지다"라는 뜻으로 해석하고 싶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바람의종 2008.03.25 3219
7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팔공산은 믿음의 터 바람의종 2009.10.07 3218
69 우리말의 상상력- 3. 옷이 날개인가 / 겨레와 한 몸 되기 바람의종 2010.02.15 3217
68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두만강과 조선왕조, 대동강과 한겨레 바람의종 2009.07.16 3217
67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217
66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212
65 '클랙션'(경적)도 상표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風磬 2006.12.26 3209
64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 風磬 2006.12.22 3207
63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바람의종 2008.08.08 3206
62 우리말의 상상력 1 - 4. 돌과 원운동 (1/2) 바람의종 2009.05.17 3202
61 우리의 미의식 1 - 작은 것, 아름다운 것 바람의종 2008.04.17 3199
60 '무좀'의 '좀'은 벌레이름...'좀도둑'의 '좀'은 '조금'의 준말 風磬 2006.12.30 3192
59 '원숭이'를 '잔나비'라고 하는 까닭을 아셔요? 風磬 2006.12.20 3191
5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지리산과 파랑새 꿈 바람의종 2010.01.20 3189
57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바람의종 2008.09.07 3186
56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186
55 언어코드로 보는 '돼지'의 다양한 의미 風磬 2007.01.03 3180
54 우리말의 상상력 2 - 1. 백마강, 강릉 바람의종 2009.09.21 3158
53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153
52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7 3149
51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145
50 우리말의 상상력 1 - 8. 힘과 해 (2/2) 바람의종 2009.06.12 3128
49 우리말의 상상력 2 - 2. '해'의 소리 상징, 말하는 남생이 바람의종 2010.01.23 3126
48 우리말의 상상력 1 - 9. 겨레와 분화 (2/2) 바람의종 2009.06.16 3124
47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1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