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12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마산 앞바다에 그림처럼 떠 있는 작은 섬을 돋섬이라 부른다. 이 섬을 가리켜 오리가 먹이를 구하는 형상이라고도 하고, 돼지가 드러누운 형상이라고도 하나 항구 어느쪽에서 보아도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 마산항의 진주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아름다운 섬을 두고 하필이면 왜 돼지섬이라 부르게 되었을까? 옛날 가야국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백진가야의 왕에게 귀여운 공주(일설에는 후궁)가 있었는데 불행히도 행방불명이 되고 말았다. 백방으로 수소문한 끝에 골포(마산의 옛 이름) 앞 바다의 섬에 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어부가 전하는 바에 따르면 이 섬에서 공주처럼 보이는 미희가 웬 노파의 피리소리에 맞추어 춤을 추고 있다는 것이었다. 소문에 따르면 노파는 마귀할멈이라고도 하고 지리산의  마고선녀라고도 했다. 어떻든 정보를 입수한 왕은 군사를 풀어 그 할멈을 잡고 공주를 구출해 오라고 명한다. 수많은 군사가 섬에 올라 포위망을 좁혀 가자 춤추던 공주는 돌연 금빛 돼지로 변하고, 피리 불던 할멈은 한줄기 연기로 화하여 무학산 정상의 바위 틈새로 사라졌다. 공주 구출 작전은 실패로 돌아가고 만 것이다. 아리따운 공주가 일순 돼지로 변하다니, 현장에 달려온 왕은 자신이 손수 걸어준 조개 껍데기 목걸이가 돼지 목덜미에서 발견되자 그만 경악하고 만다. 이 일이 있은 뒤, 왕은 이 섬을 돋섬이라 명명하고 공주의 화신인 돼지가 편안히 살 수 있게 사람의 접근을 금하며 먹이감을 충분히 넣어주도록 배려했다. 그러나 돋섬은 이후로도 평안하지 않았다. 밤이면 돼지 울음소리가 요란하고 괴이한 광채가 밤새 섬주변을 맴돌았다. 그런데 이런 괴변은 대학자 최치원에 의해서 말끔히 해결된다. 당시 해변에 월영대라는 정자를 짓고 기거하던 최치원이 섬을 향해 활을 쏘았더니 울음과 광채가 멎었다고 한다. 이튿날 섬으로 건너가 화살이 꽂힌 곳에서 제를 올렸더니 다시는 그런 괴변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남쪽 바닷가 마산은 물 좋고 따뜻한 항구로 널리 알려져 있다. 십리 밖에서는 눈이 펄펄 내려도 이곳 마산 포구는 주룩주룩 비가 내리며, 무더운 한여름에도 시원한 바람이 불어온다고 한다. 이는 오로지 마산의 진산인 무학산이 북풍을 막아주기 때문이란다. 봉우리의 형세가 학이 춤추듯 펼쳐져 있다고 하여 최치원이 무학이라 명명했다고 하는데, 확인할 길은 없고 다만 일제 때 일인들이 지은 이름이 아닌가 한다. 문헌상으로는 이 산을 두척산이라 적었는데, 두척은 큰 고개라는 뜻의 고유어 "마루재(준말로 마재)"를 차자표기한 것이다. 지금도 마을 이름에 두척동이 남아 있고 현지인들은 이를  "마잿골"이라 부른다. 따라서 현 지명 마산도 여기서 유래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런데 마산이라는 지명과 말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고려 때 몽골 군사가 이곳까지 들어와 왜구 정벌의 전초기지, 곧 정동행성을 설치했다고 하니 말도 함께 들어왔을 법하다. 그러나 그 이후로 말과의 인연은 끊어졌고, 또 이곳 지형에서 말을 닮은 곳도 발견되지  않는다. 따라서 마산의 마 자는 마루재, 마재의 "마"를 단순히 차음표기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개항 백년의 마산은 그 역사가 짧은 만큼 유적이나 유물도 별로 많지 않다. 신라 때 고운 최치원이 후학을 가르쳤다는 월영정이나 고려 때 몽골 군사가  물을 마셨다는 몽고정, 조선시대 서원의 모습을 보여주는 관해정등이 고작인데, 그것마저도 잘 보존되지 않은 실정이다. 유물, 유적은 적으나 마산은 예향이라 부를 만큼 노래와 시의 고장으로 유명하다. 시내 한복판에 있는 산호 공원에 "시의 거리"를 조성하여 10여개에 이르는 이 고장 출신 시인의 시비를 세워 놓았다. 뿐만 아니라 여객선 터미널에 "반야월 노래비" , 역 광장에 "선구자 노래비"등도 외래인들의 눈길을 끈다. 이 고장에서 태어난 노산 이은상은 타향을 전전하며 그렇게도 남쪽 바다 그의 고향을 "가고파" 했고, 출생지는 아니지만 이곳을 고향 이상으로 여긴 아동문학가 이원수는 동요의 고전 "고향의 봄"을 이 곳에서 지었으며, 또한 40여 년을 이 고장에서 살아 온 작곡가 조두남은 민족의 노래 "선구자"를 작곡하여 3, 15의거를 일으킨 이곳 마산 시민의 혼을 기렸다.

  마산은 문화제가 적은 만큼 작은 전설 하나라도 현실로 만들어 놓는다. 무학산 중턱, 신마산에서 예곡동 감천골로 넘어가는 산마루에 "만날 고개"가 있고, 이 고개에 얽힌 전설을 상기하여 오늘날까지 그 일을 되새기고 있다. 만날고개는 먼 옛날 가난한 집 맏딸이 고개 너머 부잣집의 장애인에게 시집간 뒤 친정 가족과 극적인 상봉을 이루었다는 곳으로, 지금도 그 날이 오면 감천 사람들이 이 고개에서 만나 각자 준비해 간 음식과 함께 인정을 나누는 일이 지역 행사로 정착되고 있다.

  노산 선생만큼 고향의 푸른 바다를 그리워한 마산인도 드물  것이다. 그러나 그가 태어난 집, 그가 뛰놀던 동산이 제대로 보존되지 않아 아쉬움을 준다. 집은 이미 허물어지고 그의 부모가 아들의 출생을 기념하기 위해 팠다는 "은상이 샘" 만이 폐정이 된 채 버러져 있다. 그가 뛰놀던 동산, 곧 노비산은 이제 아파트 단지로 변모하였다. 예전에는 백로가 날아와 온통 산을 하얗게 뒤덮었던 노비산에 이제는 백로도, 제비도 날아오지 않는다. 이를 미리 예측이나 한 듯 선생은 "날 비"를 빼고 노산만을 자신의 호로 삼았던 게 아닐까. 노래말 그대로 내 놀던 옛동산에 오늘 와 다시 서니 산천의구란 말 옛 시인의 허사로다.
 


  1. No Image 04Aug
    by 바람의종
    2008/08/04 by 바람의종
    Views 3694 

    탄천과 동방삭 - 수청과 탄천

  2. No Image 08Aug
    by 바람의종
    2008/08/08 by 바람의종
    Views 3255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3. No Image 19Aug
    by 바람의종
    2008/08/19 by 바람의종
    Views 3749 

    황지와 태백산 - 밝은 뫼에서 솟는 시원의 샘

  4. No Image 28Aug
    by 바람의종
    2008/08/28 by 바람의종
    Views 3235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5. No Image 02Sep
    by 바람의종
    2008/09/02 by 바람의종
    Views 3082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6. No Image 03Sep
    by 바람의종
    2008/09/03 by 바람의종
    Views 4059 

    진안과 마이산 - 난달래골에 내려온 신선 부부

  7. No Image 04Sep
    by 바람의종
    2008/09/04 by 바람의종
    Views 3129 

    안동과 하회 마을 - 제비연에서 물도리동까지

  8. No Image 06Sep
    by 바람의종
    2008/09/06 by 바람의종
    Views 3282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9. No Image 07Sep
    by 바람의종
    2008/09/07 by 바람의종
    Views 3242 

    영일과 호미동 - 호랑이꼬리에서의 해맞이

  10. No Image 09Sep
    by 바람의종
    2008/09/09 by 바람의종
    Views 2945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11. No Image 18Sep
    by 바람의종
    2008/09/18 by 바람의종
    Views 3196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12. No Image 18Sep
    by 바람의종
    2008/09/18 by 바람의종
    Views 2986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13. No Image 19Sep
    by 바람의종
    2008/09/19 by 바람의종
    Views 3726 

    영암과 월출산 - 달래골에서 만나는 두 성인

  14. No Image 20Sep
    by 바람의종
    2008/09/20 by 바람의종
    Views 3585 

    지리산과 섬진강 - 노고단 밑으로 달래강이 흐르고

  15. No Image 23Sep
    by 바람의종
    2008/09/23 by 바람의종
    Views 3124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16. No Image 24Sep
    by 바람의종
    2008/09/24 by 바람의종
    Views 3031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17. No Image 25Sep
    by 바람의종
    2008/09/25 by 바람의종
    Views 3700 

    해남과 두륜산 - 종착지가 아닌 시발지

  18. No Image 26Sep
    by 바람의종
    2008/09/26 by 바람의종
    Views 3771 

    제주와 한라산 - 한라산 철쭉은 왜 붉은가

  19. No Image 14Apr
    by 바람의종
    2009/04/14 by 바람의종
    Views 2886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20. No Image 01May
    by 바람의종
    2009/05/01 by 바람의종
    Views 3319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2/2)

  21. No Image 02May
    by 바람의종
    2009/05/02 by 바람의종
    Views 2892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22. No Image 04May
    by 바람의종
    2009/05/04 by 바람의종
    Views 3369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2/4)

  23. No Image 09May
    by 바람의종
    2009/05/09 by 바람의종
    Views 2991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3/4)

  24. No Image 09May
    by 바람의종
    2009/05/09 by 바람의종
    Views 3166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4/4)

  25. No Image 12May
    by 바람의종
    2009/05/12 by 바람의종
    Views 3140 

    우리말의 상상력 1 - 3. 3-1. 싹과 사이 (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