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2 15:55

과메기

조회 수 315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과메기

경북 남부 해안지방에서는 겨울철 별미로 과메기를 즐겨 먹는다. 추운 겨울에 날꽁치를 얼렸다 말렸다 하면서 만든 과메기는 이제 전국 각지로 팔려나가 유명해졌다. 포항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어르신들의 말로, 과메기는 본디 청어로 만들었는데, 청어가 귀해져서 꽁치로 만든다고 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과메기’를 경북지방 사투리로서 ‘꽁치를 차게 말린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관목’(貫目)은 ‘말린 청어’라는 풀이와 함께 모든 사전에 올려놨다. 여기서 포항 고장 어르신들이 하는 말씀의 실마리가 잡힌다.

‘과메기’는 ‘관목’이 변한 말로 짚어볼 수 있다. ‘관목’에 접미사 ‘-이’가 붙어서 ‘관목이’가 되고 다시 [ㄴ]이 떨어져 ‘과목이’가 되었을 것이다. 여기서 뒷모음 [ㅣ]가 앞모음에 영향(ㅣ모음역행동화)을 주어 ‘과뫼기’가 된다. 이런 현상은 우리말에서 자주 나타난다. ‘남비’가 ‘냄비’로 되는 따위의 음운현상이다. 그 다음 ‘과메기’로 형태가 굳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때 이 말의 본고장인 포항에서조차 ‘과메기’냐, ‘과매기’냐 하는 이야기가 오간 적이 있었다. 귀로 이 두 발음을 골라 듣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관목’에서 추적하면 쉽게 해결된다.

산(山)의 우리말은 ‘뫼’였다. 이것이 오늘날 ‘메’로 바뀌었다. 멧돼지·멧새 등에서 보기를 찾을 수 있다. ‘뫼’가 ‘메’ 바뀌어 왔다는 사실로 미루어보면 ‘과뫼기’는 ‘과매기’가 아니라 ‘과메기’로 되어야 할 것이다.

우재욱/우리말 순화인·작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모어에 대한 인식 3 - 언어와 민족, 그리고 문화 바람의종 2008.04.25 3739
120 모어에 대한 인식 2 - 낮은 목소리, 짧은 표현 바람의종 2008.04.24 3077
119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3047
118 명절, 절후 용어 3 - 외래 명절과 고유 명절 바람의종 2008.04.05 3075
117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247
116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587
115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바람의종 2008.05.12 3782
114 말의 어원 - "말"이라는 말의 뿌리 바람의종 2008.04.21 3483
113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175
112 마산과 무학산 - 가고파의 바다가 보이는 마잿골 바람의종 2008.09.23 3122
111 라면은 살짝 끓여서 물을 버리고 다시 삶아 먹는 것이 좋다는군요. 風磬 2006.11.04 3559
110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254
109 동사는 사라지고 명사만 남은 '기침'의 어원 風磬 2006.10.23 4431
108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020
107 다방의 '레지'는 영어의 'register'에서 온 말 風磬 2006.12.01 5003
106 농경 생활 용어 3 - 사계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8 3065
105 농경 생활 용어 2 - 바람의 고유 이름 바람의종 2008.04.07 3167
104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012
103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2920
102 낭떠러지, 벼랑 & 칭송, 칭찬 風磬 2006.09.14 4403
101 남원과 춘향 - 여성의 절개, 남성의 절개 바람의종 2008.09.18 3185
100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165
99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3009
»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153
97 공주와 금강 - 곰나루와 백마강 전설 바람의종 2008.08.28 32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