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 같은 게 달려 '따발총'이라고 불렀답니다

  6.25를 겪으신  분은 '따발총'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소련식 기관단총이지요.  이것을 보통 '다발총'(많을 다, 필  발, 총 총)이라고  해석해서 한자어인 줄로 알고 계신 분이 많으실 것입니다.  국어사전에도 그렇게 기록되어 있을 정도이니까요. 그래서 '그 사람 말은 따발총 같애.' 라고 말하여 마치 속사포를 일컫는 것으로 이해하여 지금도 사용하고 있지요. 그러나 그것은 잘못 알고 계신 것입니다. '따발총'을 직접 보신  분이 계신가요? 탄창이  어떻게 생겼던가요? 마치 '또아리'(물동이 등을 머리에 일 때에 머리 위에 얹도록 만든, 짚으로 둥글게 틀어서 만든 물건)처럼 생기지 않았던가요? 이 '또아리'를  함경도 방언에서 '따발'이라고 합니다('또아리'를 '또바리'라고 하는 방언도 있습니다). 함경도에서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와 같은 것이 달렸다고 하여, 이 총을 그 방언에 따라 '따발총'이라고 한 것입니다. 그런데 이 '따발'이 한자의 '다발'과 비슷하니까, '다발총'으로 인식하게 된 것이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1. 아기들이 차는 '기저귀'의 어원은 무엇일까요?

    Date2006.11.15 By風磬 Views4468
    Read More
  2.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Date2008.06.22 By바람의종 Views3622
    Read More
  3. 식사 후 "양이 찼느냐?"에서 '양'은 '위장'의 '위'에 해당하는 토박이말

    Date2007.01.01 By風磬 Views3717
    Read More
  4.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Date2008.03.28 By바람의종 Views3511
    Read More
  5. 수원고 화산 - 아버지를 그리는 효심의 물골

    Date2008.08.08 By바람의종 Views3433
    Read More
  6.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 같은 게 달려 '따발총'이라고 불렀답니다

    Date2007.01.26 By바람의종 Views4403
    Read More
  7. 섬유회사 '코오롱'은 '코리아'+'나이롱'

    Date2006.11.28 By風磬 Views4469
    Read More
  8. 선산과 금오산 - 복사골에서 솟는 불도의 샘

    Date2008.09.06 By바람의종 Views3468
    Read More
  9. 서울의 어원

    Date2009.08.01 By바람의종 Views3915
    Read More
  10.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Date2008.07.12 By바람의종 Views2980
    Read More
  11. 생식기 근처에 난 털을 뭐라고 하는지 아셔요?

    Date2006.10.27 By風磬 Views4293
    Read More
  12.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Date2008.03.24 By바람의종 Views3641
    Read More
  13.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Date2008.04.02 By바람의종 Views3249
    Read More
  14.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Date2008.03.29 By바람의종 Views3924
    Read More
  15. 보은단

    Date2008.05.08 By바람의종 Views3050
    Read More
  16. 보은과 속리산 - 속세가 산을 떠나 있네

    Date2008.09.02 By바람의종 Views3301
    Read More
  17.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Date2008.07.26 By바람의종 Views3160
    Read More
  18.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Date2008.03.25 By바람의종 Views3464
    Read More
  19. 미각어의 다양성 - 달짝지근하고 달콤새콤하고

    Date2008.04.20 By바람의종 Views3847
    Read More
  20. 문래

    Date2008.05.05 By바람의종 Views3195
    Read More
  21. 몸짓 언어 3 - 입으로 하는 또다른 말

    Date2008.04.16 By바람의종 Views4737
    Read More
  22.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Date2008.04.15 By바람의종 Views3242
    Read More
  23.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Date2008.04.14 By바람의종 Views3172
    Read More
  24.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Date2008.09.18 By바람의종 Views3171
    Read More
  25. 모주

    Date2008.05.03 By바람의종 Views413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