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생활 속의 우리말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왕후장상이라도 사람은 누구나 어머니의 뱃속에서 태어난다. "태어난다"는 말 자체가 모체의 "태"에서 세상으로 나왔다는 뜻이다. 태어난 날, 곧 생일을 달리 일컬어 "귀 빠진 날"이라 말하기도 한다. 모체에서 분리될 때 태아의 귀가 보이면 출산이 완료된 것이나 다름 없으므로 정확한 출생 시간은 바로 귀가 빠진 그 순간이 될 수도 있다. 귀 빠진 날에 대해 "코 생긴 날"을 생일로 삼자는 의견도 있다. 인간이 생겨난 날, 곧 어머니의 자궁 속에서 최초로 형체가 만들어진 때(잉태)를 지칭한 것인데, 흔히 말하는 비조라는 말은 여기서 비록된 것이다. 또한 생일을 "고고성일"이라고도 하는데 말하자면 고고지성을 울린 날이라는 뜻이다. 고고성은 앞서 말한 대로 아기가 세상에 나오면서 "응애"하고 우는 첫 울음을 말하는데, 이는 자신의 출현을 알리는 최초의 인간 선언이라 할 수 있다. 갓 태어난 아이는 "배내짓"이라 하는 무의식적이고 본능적인 행위를 보인다. 이를테면 자면서도 방긋 웃는다거나 눈이나 코, 입을 찡긋거리는 등의 행위를  말한다. 여기서 "배내"란 말은 "배 안에 있을 때부터"라는 뜻이다. 예컨대 태어나 아무것도 먹지 않은 상태에서 누는 똥을 배내똥이라 한다. 이 밖에도 배냇병신, 배냇니, 배냇머리, 배내옷 등은 여기서  파생된 말들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태어나 처음 싸는 똥뿐만 아니라  마지막 숨을 거둘 때 누는 똥도 역시 배내똥이라 부른다는 사실이다. 용어가 같을 뿐 아니라  그것의 성분도 이와 비슷하다고 하니 세상만사가 시작과 끝, 곧 극과 극은 서로 통한다는 말이 과연 옳은가 보다.

  갓난쟁이가 입술을 털며 투투거리는"투레질"도 일종의 배냇짓에 속한다. 투레질뿐 아니라 입으로 풀무질처럼 바람을 불어대는 "풀무질"이나 두 손을 쥐었다 폈다 하는 "죄암질(쥐엄질)", 시도 때도 없이 오줌을 싸대는 "쉬야질", 잠들기 전이나 깬 후에 부리는 "잠투세"등도 역시 배냇짓의 일종이다. 성장하면서 아이는 여러 가지 호칭으로 불리운다. "얼뚱아기"란 말도 그런 것인데, 둥둥 얼러 주고 싶은 재롱스런 아기를 두고 이름이다. 아무리 밉둥을 피워도 세상의 모든 아기는 부모들에게 "이쁘둥이"일 수 밖에 없다. 만세를 부르듯 두 팔을 벌리고 새근새근 나비잠을 자는 모습이며, 팔다리를 휘저으며 "당싯거릴"때도 기쁘기 한량없다. 뿐인가, 문짓문짓 배를 바닥에 문지르고 기어가며 "배밀")하는 모습도, "아우타는 짓"이라 하여 먹을 것만 찾는 "밥빼기"를 할 때도, 공연히 트집을 잡아 "아망그릴"때도 그 모든 행위가 부모들에게는 오로지 귀엽고 사랑스러울 뿐이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이런 자식을 두고  부모들은 여러 방법으로 얼러준다. "가동질"이 그렇고 "부라질"이나 "시장질"이 모두 아이를 얼러 주는 방식을 이르는 말이다. 아이의 겨드랑이를 치켜들고 오르내리면 아이는 다리를 오므렸다 폈다 하기를 반복하는데, 이런 동작을 가동질이라 한다. 부라질은 아이를 곧추 세워 좌우로 흔들며 두 다리를 번갈아 오르내리게 하는 동작이며, 두 손을 잡고 앞뒤로 밀고 당기는 동작을 시장질이라 한다. 이때 "부라부라" 또는 "시장시장"이란 말을 반복하기 때문에 그런 명칭이 생겼다. 아이가 도담도담 잘 자라 옴포동이처럼 토실토실 살이 오르면 부모는 더욱 자식 키우는 재미를 느낀다. 새순처럼 너무 연약하기에 더욱 귀엽고 앙징스럽고, 그래서 아이들에게는 거기에 알맞은 말을 만들어 사용한다. 젖먹이가 일어나서 처음 떼놓는 걸음마를 "밟다"라 하고, 뒤뚱뒤뚱 어설픈 걸음발이 앙증스러워 "조작거리다", "자칫거리다" 또는 "아칫거리다"라는 표현을 쓴다.

  자식이 똘똘이가 아니여도 좋고 지독한 똥싸개라도 아무 상관없다. 세상 부모들에게 모든 자식은 공히 "어화둥둥 금자둥이며, 얼싸둥둥 은자둥이"다. 이에 보답이라도 하듯 아이들도 손뼉을 짝짝 맞추는 "짝짜꿍"에서 도리도리"도리질"이나 곤지곤지 잼잼에 이르기까지 갖가지 "이쁜짓"을 연출한다. 부모들도 이들을 손 위에 곤두곤두 "곤두세우기"나 따로따로 혼자 "따로 서기"를 시키며 즐거워 마지않는다. 그러나 아기가 언제나 귀여운 것만은 아닌가 보다. 때로 "곽쥐"나 "먼지털음"을 할 때도 있다. 곽쥐란 아이가 쭐래둥이여서 간혹 칭얼거리며 보챌 때 이를 위협하여 달래는 방식을 이름이요, 어쩔 수 없이 한  대 쥐어박는 경우를 "먼지털음"이라 한다. 어린 것에게 어디 때릴데가 있겠는가. 엄포용으로 기껏해야 옷에 묻은 먼지나 털어준다는 뜻으로 이런 예쁜 말을 지어냈으니 이 얼마나 적절한 표현인가.

  자식이 귀할수록 매는 아끼지 말라는 충고도 있다. 너무 오냐오냐하고 키우면 응석 받이에 버르장머리 없는 놈이 될 수도 있다. "지지다"하고 소리치면서 만져서는 안 될 것은 못 만지게 하고, "애비다"라며 해서는 안 될 일은 못하게 해야 한다. 아이들이 크는 과정에서 으레 치러야 할 역질 따위를 "제구실"이라 이른 것을 보면 옛 어버이들은 이런 점에서 매우 현명했던 것 같다. 어렵고 힘들지만 이런 과정을 이겨내야만 사람으로서 제 구실을 할 수 있다는 교훈이 담겨 있다. 때로는 따끔한 매가 진정한 의미의 사랑 표현일 수 있다는 얘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風磬 2007.01.20 4402
170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風磬 2007.01.21 6133
169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바람의종 2007.01.22 3563
168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바람의종 2007.01.23 4073
167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바람의종 2007.01.24 3367
166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바람의종 2007.01.25 3836
165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 같은 게 달려 '따발총'이라고 불렀답니다 바람의종 2007.01.26 4159
164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바람의종 2008.03.16 4441
»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바람의종 2008.03.16 4804
162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바람의종 2008.03.18 3784
161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바람의종 2008.03.19 4378
16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3981
159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3911
158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106
157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419
156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바람의종 2008.03.25 3214
155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461
154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바람의종 2008.03.28 3282
153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바람의종 2008.03.29 3707
152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2982
151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2981
150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005
149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바람의종 2008.04.02 3005
148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567
147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2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