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149 추천 수 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주망태'의 '고주'는 원래 토박이말...그 뜻은?

  사람이 술을 많이 마셔서 정신을 차릴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때 '고주망태'라는 말을 흔히 씁니다.  '고주망태가 되도록 퍼마셨다'고 말하지요.   고주망태는 어디에서 온 말일까요? '고주'를 '고주'(쓸고, 술 주)라고 해석하는 분도 있지요. 그러나 '고주'는 '쓴 술, 또는 독한 술'이란 뜻을 가진 한자어가 아닙니다.  '고주'는 고유어 입니다.  원래는 '고자(아래 아)'이지요.  '고자(아래 아)'란 '고조'라고도 썼는데, 그 뜻은 누룩이 섞인 술을 뜨는 그릇을 말합니다. '망태'는 '망태기'와 같은 것으로, 무엇을 담는 그릇을 말하기도 하고, 전혀 쓸모없이 되어버린  상태를 말하기도합니다.  그래서 '고주망태'란  술통을 통째로 마신 것처럼 술에 곤드레만드레 취하여 정신을 못차리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 되었습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6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바람의종 2007.01.22 3836
245 '눈 위에서 달리는 말'이 '썰매'의 어원 風磬 2006.11.20 4368
244 '눈꼽'의 '꼽'은 원래 '곱'...'곱'은 '기름'이란 뜻 風磬 2006.10.19 3541
243 '다니다'는 원래 '달려 간다'는 뜻 風磬 2006.11.16 4026
242 '대리다' '대리미'는 전북 지방의 방언입니다. 風磬 2006.11.07 4669
241 '딴따라패'는 영어 'tantara'의 음을 빌려 온 것 風磬 2006.12.06 4124
240 '마누라'는 원래 '임금이나 왕후를 일컫는 극존칭' 風磬 2006.11.30 4238
239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바람의종 2007.01.24 3576
238 '마요네즈'는 스페인 항구도시 '마욘'의 특산품 風磬 2006.12.25 4106
237 '먹거리'는 옳지 않은 말...그 까닭은? 風磬 2007.01.19 4495
236 '멀국/말국'은 전라도 방언...'국물'이 표준어 風磬 2006.11.06 4172
235 '메리야스'(내의)는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요? 風磬 2006.12.23 3373
234 '무좀'의 '좀'은 벌레이름...'좀도둑'의 '좀'은 '조금'의 준말 風磬 2006.12.30 3544
233 '미역국을 먹다'는 여러가지 어원이 있습니다. 風磬 2006.12.15 3538
232 '바바리 코트'는 상표에서 나온 말 風磬 2006.12.22 3432
231 '박쥐'의 '박'은 '눈이 밝다'의 '밝-' 風磬 2006.12.09 4113
230 '베개'를 전북지방에서는 '비개' '벼개'라고도 합니다. 風磬 2006.11.05 4245
229 '보신탕'은 이승만 정권 시절에 생긴 말...그 이전에는 '개장국' 風磬 2006.09.16 4858
228 '사꾸라'는 일본어...말고기를 뜻합니다 風磬 2006.11.29 4245
227 '사냥'은 원래 한자어 風磬 2006.11.14 3311
226 '사냥'의 어원에 대한 부연설명 風磬 2006.11.02 3967
225 '새'는 '동쪽'의 의미...'샛별'은 동쪽에 제일 먼저 뜨는 별 風磬 2006.11.11 4514
224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風磬 2007.01.17 3648
223 '수저'는 '숫가락'과 '젓가락'이 쳐진 말 風磬 2006.09.07 4642
222 '숨바꼭질'의 '숨'은 '숨 쉬다'의 '숨'...'숨 + 바꿈 + 질' 風磬 2006.12.27 38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