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99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생활 속의 우리말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우리 고유의 음료수를 말한다면 단연코 숭늉과 막걸리를 빼놓을 수 없다. 숭늉처럼 우리의 민족성을 잘 드러내는 음료수도 없을 것 같다. 숭늉은 용어가 비록 한자 승랭(숭랭, 숙맹이 본말)에서 왔지만, 우리가 붙인 고유 한자어로서 고유어나 다름없이 쓰인다. 색깔이 없는 듯하면서도 사발에 따라 놓으면 마치 우리릐 피부색이나 온돌방의 장판색과도 같은 노르스름한 색이 내비친다. 색깔과 마찬가디로 맛 또한 없는 듯하면서도 깊숙히 숨어 있는 것이 숭늉이다. 오랫동안 혀 끝에 감도는 여운과도 같은 구수한 맛 말이다. 집집마다 전기 밥솥을 쓰는 요즘에는 누룽지도, 숭늉도 구할 수 없어 그 특유한 구수함을 맛볼 수 없어 아쉽기만 하다. 어느 식당에서 누룽지와 숭늉을 특별 서비스한다 하여 손님이 몰린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잃어버린 맛에 대한 향수인가, 한잔의 숭늉을 통해 옛 시절의 추억을 되새기기 위함인가. 막걸리는 창조를 뜨지 않고 걸러낸 것이기에 색깔도 맑지 않을 뿐더러 맛이 텁텁한 고유의 술이다. 한자말로는 탁주, 농주,  박주, 백주, 모주 등으로 불리나 이름 그대로 "막 거른 술"이기에 막걸리라는 이름이 가장 잘 어울린다. 주모를 쓰지 않고 맴쌀과 누룩에 물을 부어 그냥 발효시켜 빚은 술, 다시 말하면 인공 효소나 향료를 쓰지 않은 술이기에 어떤 한자 이름보다도 막걸리가 제격이다. 촌스럽고 투박한, 그러면서도 은근한 맛을 지닌 숭늉과 막걸리는 그 자체가 한민족의 본성을 대변한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니다. 그 속에  무뚝뚝한 할아버지의 기침소리가 배어 있고 따스한 할머니의 손길이 스며 있으며, 여기에 한국인의  애환과 체취가 서려 있다고나 할까.

  숭늉과 막걸리를 마시는 모습도 역시 우리식이라 할 수 있다. 누가 한국인의 스케일이 작다고 했는가? 소주는 작은 "고뿌"에 따라 홀짝이고 맥주는 글라스(컵)에 따라 마신다. 양주, 특히 포도주는 투명한 글라스에 반쯤 따라 조금씩 음미하면서 마셔야 격에 맞는다. 그런데 막걸리는 어떠한가? 서구인들이 반쯤 따른 포도주를 들고 코 끝으로 향내를 맛보며 고양이처럼 혀끝으로 햝을 때 우리는 대형 국사발에 철철 넘치는 막걸리를 바닥이 드러날 때까지 단숨에 들이킨다. 수염에 묻은 막걸리를 손바닥에 훔쳐내며 숨을 몰아 쉬는 그 호방한 모습을 어찌 서구인과 비교하랴. 그런데 술잔을 기울이기 전에 우리 조상들은 뭐라고 외쳤울까 궁금하다. 건배 용어라 할까, 축배 인사말이라고 할까. 어떻든  이런 용어는 우리 술자리에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전 문학에서도 "먹세 그려"라든가 "드사이다, 먹사이다, 듭세" 정도가 고작으로 이렇다 할 용례가 발견되지 않는다.

  "한잔 먹세그려, 또 한잔 먹세그려, 꽃 꺽어 산 놓고 무궁무진 먹세그려"

  주선 송강 선생의 술 권하는 노래에서도 이처럼  "먹세"정도로 그치고 있다. 어느 구절을 보아도 술잔을 들고 경망스럽게 무언가 외쳐대는 말은 찾을 수가 없다. 꽃 꺽어 산 놓으며 조용히 술잔이나 비우고 그러다가 흥에 겨우면 시문이나 읊조리는,  그런 점잖고 격조 높으 장면밖에는 찾을 수가 없다는 얘기다. 음주 형태를 두고 서양의 자작과 중국, 러시아, 동구의 대작, 우리의 수작의 세 가지 형태로 나누기도 한다. 수작이란 말은 서로 술잔을 주고 받는다는 뜻이다. 우리의 경우 막걸리를 마시는 자리에서 사람수만큼 별로의 사발이 갖추어졌을 리 만무하다. 술잔이 적다 보니 동시에 술잔을 들어올릴 수 없으므로  하나의 잔으로 여러 사람이 돌려 가며 마셨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음주 형태는 진정한 의미에서 자작이라 할 수 있으니, 홀로 자연을 벗삼아 자음자작하며 즐기던 유형이었으리라 짐작된다. 수작이라는 말도 좋은 뜻으로 쓰이지 않는다. "수작 떨다, 수작 부리다"라고 하면 무슨 음모를 꾀하거나 말로써 경솔하게 구는 행동을 일컫는다. 술자리에서 술잔을 주고 받는 풍습이 언제부터 유행했는지 몰라도 지금은 잔도 많아지고, 또 위생적인 면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니 이제 수작은 그만 부리도록 해야겠다.

  잔을 들어 부딪치며 소리를 지르는 주법은 어디까지나 서양인의 것으로 보아야 할 것 같다. 우리의 술잔인 사발은 한 손으로 들어 다른 사람의 것과 부딪칠 수 있는 그런 그릇이 못 된다. 일본의 술잔은 우리 것보다 작긴 해도 그들의 "간빠이(건배)"라는  풍습은 서양의 "브라보(bravo)" 풍습이 유입된 이후의 일이라는 게 통설이다. 그러나 근본적인 이유는 다른 데 있다. 우리에게는 손윗사람  앞에서 맞술을 들거나 술잔을 들어 쨍 하고 부딪치는 행위가 애초부터 동방예의지국의 주법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성인이 되어 술을 배울 때도 무릎을 꿇은 자세로 잔을 받고 마실 때도 상체를 돌리는, 그런 엄격한 주법을 배워 왔다. 어려운 분 앞에서 어찌 "브라보, 쨍!"이니 "위하여, 쨍!"과 같은 경솔한 행동을 보일 수 있겠는가 말이다. 브라보에 해당하는 우리 고유의 용어가 없음을 서운하게  여겨 "위하여!"와 같이 밑도 끝도 없는 새 말을 만들거나, 그것도 아니면 중국이나 일본의 "건배"를 수입하여 그들을 흉내낼 필요는 없다고 본다. 우리식대로 그저  "듭시다, 드십시오"라고 점잖게 권하면 "네, 드시죠."하며 조용히 술잔을 기울이면 그만이다. 우리가 마시는  한잔의 숭늉, 한잔의 술은 그것이 정이요 추억이요 예절일 따름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2998
20 모어에 대한 인식 1 - 말 속에 담긴 것 바람의종 2008.04.23 2997
19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2997
18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5 2982
17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2982
16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2975
15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2969
14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3/4) 바람의종 2009.05.09 2958
13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2952
12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2929
11 우리말의 상상력- 3. 물과 불의 만남 - 생명의 기원 바람의종 2010.02.08 2925
10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4 2912
9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바람의종 2008.09.09 2904
8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2891
7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2885
6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2850
5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2843
4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마니산과 하늘신 바람의종 2009.11.29 2839
3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2815
2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2801
1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27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