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21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우리말에 대한 반성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청와대 음식이 왜 칼국수입니까?" 김영삼 정권 시절 청와대를 방문한 젊은이들에게 이런 질문을 받고 대통령은 그것이 서민적인 음식이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가볍게 던진 질문이지만 정작 그 이름이 왜 칼국수인지를 곰곰이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칼국수는 기계로 뽑아 내는 "틀국수"와는 구분된다. 또한 칼국수는 크기나 모양에서 수제비와도 다르다. 제조 과정에 칼을 사용하기는 하나 기계가 아닌 사람 손으로 만든다는 점에서 "손국수"라는 이름이 더 어울린다. 먹는 음식에 "칼"이라는 말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 다는 이유도 덧붙일수 있다. 서민적인 음식이 비단 칼국수만은 아닐텐데 "왜 하필이면 칼국수냐"는 질문에는 다분히 복선이 깔려 있다. 당시 개혁이라는 명분 아래 사정의 칼날이 매서운 때라 이를 의식한 질문으로 보인다. 사정의 칼이든 칼로 만든 국수든, 칼국수는 어쨌든 좋은 이름은 못된다. 

  아구탕 또는 아구찜도 잘못된 이름이다. 아구가 아니라 "아귀"가  맞는 말이다. 입(구)을 속되게 말할 때 아가리 또는 아구통이라 한다. 아귀가 유독 입이 크다보니 아구로 변질되었나 보다. 못생겨서 미안하고 그래서 출세한 코메디언도 있다지만, 이 아귀 역시 지독히 못생긴 형상에다 아구탕이라는 폭력적인 이름으로 더 유명해지지 않았나 싶다. 잘못되기는 "족발"도 매한가지다. 족이라 하면 발의 한자말로 소를 비롯한 돼지, 개 , 양등 가축의 무릎 아랫부분이 식용으로 쓰일 때 붙이는 이름이다. 그런데 족이면 족이고 발이면 발이지 족발은 또 무엇인가? 국어 사전에 따르면 "죽여서 각을 뜬 돼지의 발"로 족발을 규정하고 있다. 족발은 손발(수족)에서 유추되었거나 아니면 역전 앞, 처갓집과 같이 한자어에 고유어가 빈대붙어 이루어진 말인데, 이를 굳이 돼지의 발에만 한정 시킬수는 없다고 본다. 소발도 있고, 닭발, 개발도 있을 수 있으니 정확히 말한다면 "돼지발"이나 "돈족"으로 불러야 마땅하다. 

  육류중에 "주물럭"이라는 이름이 보편화 된 지도 오래다. 아직 사전에는 등재되지 못했지만 우리나라 사람 가운데 이 고기를 모르는 이는 없을 듯하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마포에 있는 어느 식당의 여주인이 칼을 잃어버린 나머지 급한 김에 손으로 고기를 뜯었던 데서 이런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이는 충무에서 출어하는 선원들에게 김밥을 만들어 주던 할머니가 어느 날 급한 나머지 김밥속에 속반찬을 넣지 못하고 대신 김치만 따로 담아 준 데서 비롯한 "충무김밥"과도 유사한 면이 있다. 주물럭은 손으로 만진다는 "주무르다" 또는 "주물럭거리다"에서 온 말이다. 동사가 직접 명사로 쓰인다는 점도 그렇지만 의미마저 야릇한이 말을 이름으로 삼은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듯하다. 그 이유는 젊은 남성들이 이 고기를 씹으면서 입가에 흘리는 야릇한 미소에서 찾아야 할 것만 같다.

  또 "닭도리탕"이라는 아주 고약한 이름의 음식이 있다. 음식이 고약한 게 아니라 이름이 잘못되었다는 말이다. 닭고기를 토막 쳐서 양념을 하여 볶은 것을 "닭볶음"이라 한다. 이런 닭볶음을 왜 닭도리탕이라 부르는지 모르겠다. "도리다"라는 동사는 둥글게 빙 돌려서 베어낸다는 뜻이다. 닭도리의 "도리"가  우리말 도리가 아니라면 일본어의  "도리(새를 뜻함)"를 말함인가? 일본어 도리는 우리말 닭에서 건너갔을지도 모르는데, 어쨌든 닭도리는 말도 안되는 이름이다.

  개고기를 뜻하는 사철탕, 보신탕도 좋은 이름은 아닌 것 같다. 구육, 곧 개고기를 고아 끓인 구장을 우리말로는 개장국이라 부른다. 개의 옛말이 "가히"였으므로 "가히국" 또는 "가히탕" 정도로 불렸을 것이다. 이 개장국이 언제부턴가 보신탕 또는 사철탕이라고 하는, 약간 포괄적이고 애매한 이름으로 바뀌었다. 몸 보신하는 게 어디 개고기 뿐일까마는 "개-" 라는 접두어가 주는 좋지 못한 인상에 애완동물을 먹는다는 외부의 따가운 질책을 의식해서인지 본래의 이름을 잃어버리고 만 결과이다. 보신탕, 사철탕이 널리 알려지면서 다시 "멍멍탕, 영양탕, 왕왕탕,"에서부터 "탕있음", "여전히 계속함", "개시했음"에 이르기까지 극단적으로 추상화 또는 암호화하고 있음을 본다. 이처럼 별칭이 많다는 것은 당당하지 않고 무언가 꺼린다는 증거다. 사람과 가장 친숙한 동물을 잡아먹는 다는 비인간적인 면, 거기에 살생을 금하는 불가의 계율이 우리의 의식 속에 남아 있는 탓일게다. 개고기를 먹는 것이 우리 식문화의 오랜 전통이고, 또 지금도 그 고기를 좋아한다면 굳이 숨어서 구차스러운 모습을 보일  이유는 없다. 북한에서는 개고기를  "단고기"라 하여 평양 네거리에 버젓이 "단고기료리집"이라는 간판까지 내 걸고 있다. 개를 소주처럼 고았다고 하여 "개소주"라는 약용 음식도 있지 않은가. 식품으로 공식 인정을 받고 이름도 되찾아 떳떳이 이 고기를 즐겨야 하지 않을까.

  사람이 먹을수 있는 식품을 일러 옛말에는 "머구리"라 하였다. 현재의 용어로 말하면 "먹을거리"가 되겠는데, 보통 "먹거리"라 부르고  있다. 먹을수 있는 것과 그렇지 못하는 것의 구분은 오랜 식생활을 통해 얻은 지혜와  관습의 소산이다. 지역에 따라, 생활 습관에  따라 저마다 고유한 식문화 전통을 가졌으니 이를 두고 제삼자가 왈가왈부할 일은 아니다. 먹거리의 이름하나 붙이는 것도 결코 소홀히 넘길 수는 없으니 좀 더 정확하고 적절한 이름, 이왕이면 구미가 당기는 이름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 모주 바람의종 2008.05.03 3901
120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2874
119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2944
»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05.06 3211
117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바람의종 2008.05.08 3605
116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2804
115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바람의종 2008.05.10 3226
114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바람의종 2008.05.11 3993
113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바람의종 2008.05.12 3758
112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바람의종 2008.05.23 3142
11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바람의종 2008.05.29 3548
110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바람의종 2008.06.02 3442
109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바람의종 2008.06.03 3046
108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바람의종 2008.06.22 3450
107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바람의종 2008.06.24 3737
106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2790
105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2768
104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바람의종 2008.07.19 3920
103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바람의종 2008.07.21 3325
102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바람의종 2008.07.24 3568
101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2879
100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2917
99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바람의종 2008.07.29 3119
98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바람의종 2008.07.31 4433
97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바람의종 2008.08.03 47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