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910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생활 속의 우리말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연거푸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동작을 일러 "들락날락, 들랑날랑" 또는 "들락대다, 들락거린다"고 한다. 도 드나들다란 말도 있어서 드나들면서 하는 고용살이를 "드난살이"라 한다. 이와 반대로 날랑들랑, 나락들락, 나들살이라는 말이 없는 것을 보면 어디까지나 들어옴(입)이 먼저요 나감(출)이 나중인 것으로 안 모양이다. 그러나 현대인의 생각은 좀 다른 것 같다. 모든 동작은 움츠린 데서, 그리고 안에서  밖으로 나가는 데서 시작되는 것으로 인식한다. 차에서도 승객이 내린 다음에 타는 것이 순리에 맞는다. 한자어 출입도 고유어로 "나들이"라 하고, 외출할 때 입는 옷을 난벌, 집안에서 입는 평상복을 든벌, 그리고 이 둘을 겸하는 옷을 든난벌이 아니라 "난든벌"이라 한다. 이는 책상이나 장롱 따위의 서랍을 열고 닫는다하여 "여닫이", 빼고 닫는다 하여 "빼닫이"라고 이르는 것과 같은 이치다. 출입을 뜻하는 나다(출)와 들다(입)가 이처럼 상반된 뜻이기는 해도 경우에 따라 비슷한 의미로 쓰일 때가 많다. "병이 나다"와 "병이 들다"라는 발병의 경우도 그런 예이다. 발병을 우리말로는 "병이 나다, 병이 들다, 병에 걸리다, 병을 얻다"등으로 표현한다. 그런데 동일한 뜻으로 보이는 이 말들을 곰곰이 되씹어 보면 얼마간의 차이점을 느낄 수 있다. 우리말의 뛰어난 감각성을 여기서도 찾아볼 수 있다고나 할까. 우선 병이 나다와 얻다를 하나의 의미군으로 묶고, 병이 들다와 걸리다를 따로 묶어 이 두 표현의 차이를 음미해 보기로 한다. 이런 표현은 어떤가? "몸살이 걸렸다, 감기가 났다, 골병에 걸렸다, 성병이 났다, 에이즈가 들었다..." 큰 잘못이라 할 수는 없지만 웬지 어색하게 느껴진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몸살은 발병 요인이 신체 내부에 있기 때문에 "몸살이 났다"고 해야 맞는 말이다. 골병도 그렇지만 고독이란 병, 누군가를 지독하게 짝사랑한 데서 비롯된 상사병도 같은 경우일 것이다. 그러나 감기나 성병 또는 에이즈와 같은 전염병은 요인이 외부에 있기 때문에 "걸렸다, 들었다"고 해야 적절한 표현이 된다. 그러고 보면 병이란 본래 나는 것이 들거나 걸리는 것보다 먼저인 모양이다. 몸살이란 피로가 누적되다 보니 신체의 군형이  깨어진 상태라서 이때 외부에서 병균이 침입하면 그만 병이 들고 만다. 감기가 들거나  감기에 걸리는 것도 같은 상황이다. 또한 각종 전염병이나 외부에서 심한 자극을 받아 골병이 든 경우도 마찬가지다.

  병이 드는 경우는 그럴 수 있다지만 병에 걸리는 경우는 좀 성질이 다르다. "성병에 걸렸다, 에이즈에 걸렸다"에서 보듯 "재수 없게 걸린 것"만은 아닌,  자신의 과오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따라서 이럴 때는 "걸렸다"는 표현이 더 어울린다. 달리 말하면 난 병은 과로에서 비롯된 것이요, 든 병은 과오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병은 물론 한자말이기는 해도 그 병에 해당하는 고유어가 무엇인지 모를 만큼 질과 함께 우리말 속에 뿌리 내린 지 오래다. 우리말에서는 아마도 "앓다"나 "몸져눕다"라는 동사가 이를 대신하지 않았나 싶다. 앓다에 "ㅡ브다"라는 접미사가 연결되면 "아프다"라는  형용사가 된다. 이는 곯다에서 고프다, 낮다에서 나쁘다, 싫다에서 슬프다가 파생된 것과 같은 유형이다. 한자말인 병이나 질도 본래 "병하다", "질하다"로 쓰인 것을 보면 병이나 질은 원래부터 동사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훈몽자회"에서도 질을 훈하여 "병할 질"로  적고 있다. 또한 "이 염병할 놈아!"라는 욕설에서 보듯 병은 "하다"란 접미사가 붙어 동사로 쓰였다. 이 "병하다"라는 말은 "치른다"라는 말로 발전한다. 옛날에는 일단 병이 걸리면 이와 싸워 이겨낼 수 밖에 없었으니 "앓다"라는 말보다 "치르다"가 더 적절한 표현이다. 특히 한 번씩은 꼭 앓아야 했던 홍역 같은 병은 더욱 그러하다. 이울러 응당 치러야 할 병을 이겨낸 이들에게 과분한 찬사도 아끼지 않는다. "벼슬"이란 말이 바로 그것인데, 홍역을 치른 아이들에게 "큰 벼슬했구나!"하면서 위로함을 잊지 않았다. 그것을 치러내는 과정이 그토록 어려웠기에 "나도 큰 마마, 작은 마마다 치른 놈이라고!"하면서 자신의 경력을 과시하기도 한다. "마마"란 천연두와 같은 역병을 두려워하여 붙인 말로서 이 두 가지를 이겨냈다면 그야말로 대단한 벼슬을 한 셈이다.

  인간의 병은 크게 보아 전염병과 성인병으로 나뉜다고 한다. 현대인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전염병이 아니라 성인병이라고 하니, 곧 든 병이 아니라 난 병이라 말할 수 있다. 특히 정신계통의 신경성이 많다고 하는데, 요는 자신을 잘 다스리는 것만이 난병을 치유하는 길이라 생각된다.  건강은 건강할 때 지켜야 한다. 무리하지 않고 바른 생활을 해야 나는 병은 물론 들거나 걸리는 병까지도 막을 수 있다. 병이 난다는 말보다 병을 얻는다는 말이 더 높임말 같으나 병이란 본래 달갑지 않은 것이기에 아예 주지도, 얻지도 말아야 할 대상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風磬 2007.01.20 4400
170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風磬 2007.01.21 6129
169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바람의종 2007.01.22 3554
168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바람의종 2007.01.23 4069
167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바람의종 2007.01.24 3365
166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바람의종 2007.01.25 3827
165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 같은 게 달려 '따발총'이라고 불렀답니다 바람의종 2007.01.26 4155
164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바람의종 2008.03.16 4438
163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바람의종 2008.03.16 4795
162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바람의종 2008.03.18 3776
161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바람의종 2008.03.19 4375
16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바람의종 2008.03.20 3971
»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바람의종 2008.03.22 3910
158 과메기 바람의종 2008.03.22 3102
157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바람의종 2008.03.24 3417
156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바람의종 2008.03.25 3209
155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바람의종 2008.03.27 3456
154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바람의종 2008.03.28 3279
153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바람의종 2008.03.29 3706
152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2977
151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바람의종 2008.03.31 2971
150 우리말 숫자관 - 닫히고 열리기가 골백번 바람의종 2008.04.01 3005
149 상거래 용어 - 에누리와 디스카운트 바람의종 2008.04.02 3005
148 명절, 절후 용어 1 - 어정 칠월 동동 팔월 바람의종 2008.04.03 3563
147 명절, 절후 용어 2 - 한가위, 수릿날 아으 동동다리 바람의종 2008.04.04 32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