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59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옛사람의 이름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특별히 눈에 띄는 여성이름이 있다 가야국의 시조 김수로왕의 부인인 허황옥이 그 주인공이다. 대게 성도 없이 이름만 고유어로 불린 다른 여성들에 비해 현대 여성 못잖게 제대로 갖춘 한자식 이름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허황옥은 놀랍게도 그 옛날 머나먼 인도 땅에서  이 땅에 최초로 시집 온 이국 여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콧날이 오똑하고 피부색이 까무잡잡한 현대의 "미스김"이나 "미스허"는 특히 이 이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여인이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의 시조할머니가 되기에 하는 말이다.

  지금부터 무려 1947년 전의 일이지만 "삼국유사"는 이 여인의 생애를 매우 소상하게 기록하고 있다. 허황옥은 서기 32년에 태어나 열 여섯 나이에 가락국의 시조 수로왕에게 시집 오기 위해 머나먼 항해길에 오른다. 허 소녀 일행이 맨 처음 발을 디딘 곳은 김해 앞바다 망산도, 진해시 용원동에 있으나 지금은 간척 공사로 이미 섬은 아니다. 신부를 맞기 위해 나온 여섯 살짜리 신랑은 망산도와 왕궁의 중간 지점인 명월산 산자락에 장막을 치고 신부를 맞는다. 수로왕과의 첫 대면에서 신부는 먼저 입고 왔던 비단 바지를 벗어 산신령께 바치고 신랑앞으로 나가 자신을 소개한다. "신첩은 아유타국의 공주로 성은 허씨요, 이름은 황옥이며, 나이는 열 여섯입니다.외람스럽게도 매미같은 얼굴로 용안을 가까이 모시게 되었습니다." 신부가 바지를 벗어 던지는 것은 인도 남부 지방의 전통  혼례 관습이란다. 이에 여섯 살짜리 신랑은 으젓한 태도로 화답한다. "이제 현숙한 그대가 스스로 왔으니 이 몸은 행복하오." 당시 이들 신혼 부부가  주고 받은 대화가  중국어였는지 아요디아(ayodhya)어 였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통역이 있었다는 기록이 없으니 이들은 한가지 언어로 대화를 나누었으리라 짐작된다.

  우리나라 국제 결혼 제 1호로 기록될 법한 신혼례는 이렇게 진행되었다. 이들이 보낸 첫날밤에는 달이 무척 밝았던 모양이다. 신방이 꾸며졌던 산을 지금도 명월산이라 부르고, 전에는 명월사라는 절도 있었다고 하니 말이다. 이틀 밤과 하루 낮이 지나고서야 이들은 신혼의 단꿈에서 깨어나 가야국의 왕실로 환궁한다. 황금알에서 태어난 수로왕과 인도처녀와의 이 세기적 결혼은 허황후가 157세의 나이로 승하할 때까지 지속된다. 그동안 열명의 아들과 두 명의 딸을 낳았고, 이들 가운데 한 아들은 어머니의 성 허씨를 하사받아 오늘날의 김해 허씨가 출현하게 되었다. 같은 부모에게서 나온 두 성인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가 지금도 혼인하지 않는 것은 그런 이유에서다. 신화나 전설은 액면 그대로 믿기가 어려운데 수로왕의 건국 신화에서도 수용하기 어려운 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두 사람 사이에 누가 중매를 섰는지도 의아하고, 그 시절 그렇게 먼 뱃길 항해가 가능했을까 하는 점도 의문이다. 가야국의 신비라 일컫는 이 의문은 최근 두 마리의 마주 보는 물고기, 즉 쌍어문의 흔적을 추적하는 학자들에 의해서 하나씩 풀려 나가고 있다. 수로왕릉이나 신어산 은하사의 대웅전에 그려진 이 물고기 문양은 멀리 이라크의  메소포타미아에서 비롯되어 인도 남부 아요디아와 중국의 보주 및 무창을 거쳐 우리나라 김해일원과 일본의 구슈등지로 흩어져 있다. 이 흔적이 이 민족의 이동 경로를 알려 주는 결정적인 증거가 될 줄이야. 허 왕후는 지금도 수로왕의 탄생지인 구지봉 옆에 잠들어 있다. 능 앞에는 비석이 서있는데, 이 비명 가운데 보주라는 지명이 앞서 제기한 의문을 푸는 열쇠가 된다. 대게 옛 여인들은 출신지명을 이름으로 삼는 것이 통례인데 여기서의 보주는 인도나 우리나라가 아니라 중국에 있는 땅(정확히 말하여 촉나라 땅이었던 사천성 안악의 옛이름)임이 밝혀진 것이다. 허황옥이 본디 인도 아요디아국의 공주이기는 하나 중국으로 이주해왔고 이곳에서 성장하여 가야국의 왕비로 시집오게 된 것이다. 지금도 보주 땅에는 허씨 집성촌이 있어 후손들이 살고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허황옥이라는 한자식 이름이 붙은 것도, 배를 타고 이  땅까지 왔다는 기록도 쉽게 이해될 수 있다. 항해의 출발지가 인도가 아니라 가까운 중국이었던 것이다.
 


  1. 모주

    Date2008.05.03 By바람의종 Views3943
    Read More
  2.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Date2008.05.05 By바람의종 Views2918
    Read More
  3. 문래

    Date2008.05.05 By바람의종 Views2986
    Read More
  4. 음식 이름 - 족발, 주물럭, 닭도리탕

    Date2008.05.06 By바람의종 Views3240
    Read More
  5. 가족 호칭어 - 며느리와 새아기

    Date2008.05.08 By바람의종 Views3622
    Read More
  6. 보은단

    Date2008.05.08 By바람의종 Views2826
    Read More
  7. 된소리 현상 - 꿍따리 싸바라 빠빠빠

    Date2008.05.10 By바람의종 Views3245
    Read More
  8. 형벌 관련 욕설 - 오라질 년과 경칠 놈

    Date2008.05.11 By바람의종 Views4032
    Read More
  9. 망나니 호칭 - 지존이 무상하다

    Date2008.05.12 By바람의종 Views3776
    Read More
  10. 막가파 용어 - 전쟁과 파괴의 시대

    Date2008.05.23 By바람의종 Views3166
    Read More
  11. 지명 속담 - 보은 아가씨 추석비에 운다

    Date2008.05.29 By바람의종 Views3562
    Read More
  12. 지명어의 작명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Date2008.06.02 By바람의종 Views3468
    Read More
  13. 잃어버린 지명 - 아름다운 이름, 보은단, 고운담

    Date2008.06.03 By바람의종 Views3083
    Read More
  14. 신도시의 이름 - 일산과 김정숙군

    Date2008.06.22 By바람의종 Views3471
    Read More
  15. 전철역의 이름 - 향토색 짙은 서울 역명

    Date2008.06.24 By바람의종 Views3760
    Read More
  16.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Date2008.07.12 By바람의종 Views2823
    Read More
  17.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Date2008.07.18 By바람의종 Views2796
    Read More
  18. 고유어 인명 - 돌쇠면 어떻고 개똥이면 어떤가

    Date2008.07.19 By바람의종 Views3938
    Read More
  19. 여성의 이름 - 언년이, 영자, 정숙, 한송이

    Date2008.07.21 By바람의종 Views3363
    Read More
  20. 어느 여인의 이름 - 최초로 이 땅에 시집 온 여인

    Date2008.07.24 By바람의종 Views3591
    Read More
  21.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Date2008.07.26 By바람의종 Views2918
    Read More
  22.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Date2008.07.28 By바람의종 Views2951
    Read More
  23. 김포와 휴전선 - 애기봉에 울려퍼지는 어울림의 합창

    Date2008.07.29 By바람의종 Views3153
    Read More
  24. 철원과 한탄강 - 큰 여울 줄기 따라 한탄의 전설이

    Date2008.07.31 By바람의종 Views4472
    Read More
  25. 춘천과 의암 - 맥국의 맥이 흐르는 쇠머리골

    Date2008.08.03 By바람의종 Views474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